검색결과
  • 북한 우편물 첫 공식 배달…한전 금호원전서 띄운편지 중국 거쳐 도착

    북한에서 보낸 우편물이 남북 분단 이후 처음으로 공식 우편채널을 통해 남한에 도착했다. 한국전력은 18일 북한 경수로 건설현장인 함경남도 금호지구에서 박영철 (朴泳哲) 한전 금호원

    중앙일보

    1997.08.19 00:00

  • 필라코리아 94세계우표展 이모저모

    필라코리아 94세계우표전시회를 맞아 우표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우표는 方寸(사방 3㎝)의 크기에 대상을 생략과 축소를 통해시각화하는 특성때문에 대표적

    중앙일보

    1994.08.17 00:00

  • 우정총국 설립 홍영식 3대손 洪錫晧씨

    컴퓨터 통신을 이용해 편지를 주고받는「전자우편」시대에 사는 청소년들은 우편제도가 없었던 옛적의 불편함을 잘 모른다. 그러나 정절을 지키려다 옥중에 갇힌 춘향이가 이몽룡에게 보내는

    중앙일보

    1994.03.04 00:00

  • 36년 동안 우표 10만장 수집|체신의 날 국민훈장 받은 부산 이종구씨

    『단순한 취미 생활로서가 아니라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모은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우표 수집에 몰두해왔습니다.』 22일 체신의 날에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상한 이종구씨 (60·부산시 동

    중앙일보

    1992.04.23 00:00

  • 신비의 해저를 누빈다|모험레저 「스킨스쿠버다이빙」|폐활량 늘리고 전신근육 단련|잠수경험 20회는 넘어야 안심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숲처럼 하늘거리는 해초사이로 커다란 혹돔이 나타났다 사라진다. 레귤레이터 (호흡조절기)를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방울소리만 유난히 크게 귓전을 울리고 태고의 정적속

    중앙일보

    1989.06.01 00:00

  • 우정사의 요람 우정총국 단장

    체신부는 우리 우정사의 요람이던 서울 종로구 견지동39의7 옛 우정총국건물을 새로 단장, 체신기념회관으로 오는 4일 개관한다. 이 회관은 이조 때 궁외관아로서는 가장 오래된 건물로

    중앙일보

    1972.12.02 00:00

  • (123) |우정 80년 (3)|강직순

    우리 나라 우정 제도의 창시자 홍영식 선생은 남양 출신. 철종 6년 (1855) 영의정 홍순목의 2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중육, 호는 금석, 약관 16세 때 문과에 급제한 수재였

    중앙일보

    1971.04.03 00:00

  • 우리나라 우정사 한 눈에…우표 전

    우리나라에서 우표의 역사는 1884년부터 시작된다. 일제로 인해 약 40년간은 공백기. 해방 후 다시 시작하여 지난 7월말까지 모두 7백 52종의 우표가 발행됐다. 구 한국말의 것

    중앙일보

    1970.08.04 00:00

  • 체신의 날기념식

    제 13회 체신의 날을 맞아 체신부는 4일 상오 서울시민회관에서 정일권 국무총리를 비롯 수많은 체신공무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식을 가졌다. 우리나라의 우정사는 1884년 12월

    중앙일보

    1968.12.04 00:00

  • (57) 희망의 단계(2) 전화

    「득율풍」이라는 좀 괴상한 이름으로 전화기가 우리나라에 첫 선을 보인 것은 1893년. 그로부터 9년 후인 1902년 3월 20일 한성과 인천사이에 공중(일반)용 전화가 개통되고

    중앙일보

    1967.03.18 00:00

  • 체신의 날

    우표 모으기는 「취미의 왕자」라는 말이 있다. 1840년5월 영국의 「로탠드·힐」경이 우표를 우편요금을 냈다는 증표로 하자는 안을 내자 영국 우정당국이 이를 받아들인 이래 1백20

    중앙일보

    1966.12.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