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자신들의 적을 백성의 적으로 기록한 ‘붓의 권력’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자신들의 적을 백성의 적으로 기록한 ‘붓의 권력’

    객관적 사실(fact)과 주관적 의견(opinion)은 다르다. 그러나 세상에는 늘 의견을 사실로 만들려는 세력이 존재해왔다. 의견을 생산해 사실처럼 유통시키려면 권력과 기구가

    중앙선데이

    2008.12.14 04:09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자신들의 적을 백성의 적으로 기록한 ‘붓의 권력’ 사대부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자신들의 적을 백성의 적으로 기록한 ‘붓의 권력’ 사대부

    연산군이 이궁(離宮)을 세우려 했던 장의문(藏義門) 밖 장의사 터의 당간지주. 지금의 종로구 신영동 세검정초등학교 자리다. 사진가 권태균 『연산군일기』는 사실(fact)을 기술한

    중앙선데이

    2008.12.14 01:51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말 갈아탄 신하들 ‘참을 수 없는 옛 군주의 흔적’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말 갈아탄 신하들 ‘참을 수 없는 옛 군주의 흔적’

    권력은 시장과 같다. 권력자 주변은 시장 바닥처럼 항상 사람들로 들끓기 마련이다. 사람 장막에 갇힌 권력자는 이들이 보여 주는 환상에 도취된다. 권력이 사라지는 날, 이들이 새

    중앙선데이

    2008.11.30 05:43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말 갈아탄 신하들 ‘참을 수 없는 옛 군주의 흔적’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말 갈아탄 신하들 ‘참을 수 없는 옛 군주의 흔적’

    서울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사적 362호 연산군 부부의 묘(사진 위쪽). 이곳에 딸·사위의 묘도 있다. 연산군의 외동딸 휘순 공주의 시아버지 구수영은 연산군이 쫓겨난 후 아들 구

    중앙선데이

    2008.11.30 01:30

  • Walkholic과 함께 걷는 서울성곽 한바퀴 ⑥

    Walkholic과 함께 걷는 서울성곽 한바퀴 ⑥

    ■ 창의문(자하문) ~ 북악 쉼터 ~ 백악마루(정상) 성곽 안쪽에서 바라 본 창의문 인왕산 구간을 빠져나온 서울성곽은 자연스레 북악산 구간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그 접점에는 ‘창의

    중앙일보

    2008.10.17 11:36

  • [행복한책읽기Review] 현실을 가장 잘 표현한 책의 불행

    [행복한책읽기Review] 현실을 가장 잘 표현한 책의 불행

    조선을 훔친 위험한 책들 이민희 지음, 글항아리, 384쪽, 1만 5800원 조선시대의 가장 유명한 금서는『설공찬전』이다. 왕명으로 모든 책을 압수해 불살랐다고 중종 실록은 전하고

    중앙일보

    2008.06.14 00:47

  • 중종반정 때 ‘뇌물 공신’ 확 늘어

    때는 1478년(성종 9년). 새해 벽두부터 흙비(황사)가 매섭게 내렸다. 때 아닌 지진도 일어나 조선의 작은 땅이 온통 뒤흔들렸다. 그야말로 천재지변이었다. 막 왕위에 오른 성종

    중앙일보

    2008.04.26 12:28

  • ‘한국의 문(門)’을 찾아서’ ⑦ 숙정문

    ‘한국의 문(門)’을 찾아서’ ⑦ 숙정문

    “이 문을 닫지 않으면 여인들 마음에 바람듭니다” 조선시대 사람들도 이혼을 하고 살았다? 믿기지 않지만, 사실이다. 구체적인 통계자료가 없을 뿐 조선시대에도 이혼사례는 빈번했다.

    중앙일보

    2008.04.10 18:10

  • 김범과의 5분 토크

    『사화와 반정의 시대-성종·연산군·중종과 그 신하들』의 저자 김범은 카메라 앞에선 수줍어하지만 막걸리 앞에선 눈빛이 반짝거리는 젊은 학자다. 꾸준하게 조선 전기를 탐색해 온 그는

    중앙선데이

    2008.02.17 00:18

  • '사극 신인배우' 한다민-이진 인기 '폭발'

    '사극 신인배우' 한다민-이진 인기 '폭발'

    월화 안방 극장을 달구는 드라마 ‘왕과나(SBS)’가 인기 궤도에 안착하자 ‘사극 신인’들의 인기가 뜨겁다. 먼저 공혜왕후 한씨 역을 맡은 한다민(본명 함미나). 공혜왕후는 성종(

    중앙일보

    2007.10.09 14:07

  • 이진, '왕과 나' 첫 등장에 "나쁘지 않다" 호평

    이진, '왕과 나' 첫 등장에 "나쁘지 않다" 호평

    ‘핑클’ 이진의 첫번째 사극 도전이 화제다. 이진은 지난 8일 방송된 SBS ‘왕과 나’ 13회에서 성종의 세번째 왕비인 정현왕후 역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정현왕후는 성종의 계비로

    중앙일보

    2007.10.09 11:24

  • 471년 된 '한글 비석' 보물 됐다

    471년 된 '한글 비석' 보물 됐다

    서울 노원구 하계동의 서라벌고교 인근에 있는 한글 영비. 비석이 오래돼 글씨가 잘 보이지 않아 모형비를 만들었다(上). 내용은 ‘신령한 비라 쓰러뜨리는 사람은 재화를 입으리다’.

    중앙일보

    2007.10.04 05:09

  • [도올고함(孤喊)] 한국고전번역원을 '인문학의 카이스트'로

    [도올고함(孤喊)] 한국고전번역원을 '인문학의 카이스트'로

        4일 민족문화추진회에서. 왼쪽으로부터 전문위원 박헌순, 기획실장 이규옥, 편찬실장 백한기, 국역실장 김성애, 국역연구소장 서정문. 유능한 번역 상근연구원을 확보하고 있는

    중앙일보

    2007.09.05 04:54

  • [이훈범시시각각] “임금이 두려워하는 것은 사서뿐이다”

    [이훈범시시각각] “임금이 두려워하는 것은 사서뿐이다”

    조선 태종 임금이 사냥을 나갔다. 살찐 노루를 발견하고 활시위를 당기는데 말이 거꾸러지는 바람에 그만 떨어지고 말았다. 다치지는 않았지만 체면이 말이 아니었다. 좌우를 돌아보며

    중앙일보

    2007.08.27 20:17

  • 김진송의 드로잉 에세이-벌레와 목수

    김진송의 드로잉 에세이-벌레와 목수

    민달팽이, 향나무, 2001  조선이란 나라만 그랬던 것은 아니다. 중국의 춘추시대 242년간에도 해ㆍ별ㆍ얼음ㆍ서리의 변고와 물ㆍ불ㆍ조수의 움직임과 함께 벌레의 출현은 낱낱이 기

    중앙선데이

    2007.04.28 17:05

  • '조선이 낳은 인물' 정보 한눈에

    '조선이 낳은 인물' 정보 한눈에

    18세기에 만든 일종의 인물 사전인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가 완역됐다. 조선 건국기부터 영조 초기까지의 인물 2091명의 전기 자료를 모아놓은 책이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회장

    중앙일보

    2007.04.10 20:48

  • [이훈범시시각각] 아가씨와 선수들

    과거 풍류 즐기는 한량들의 술자리에 빠져서는 안 되는 게 기생이었다. 술 시중뿐 아니라 가무(歌舞)와 시서(詩書)에 능해 선비들의 말 상대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기생을

    중앙일보

    2007.01.29 20:19

  • [행복한책읽기] 망한 조직엔 멍한 리더 … 그 뒤엔 간신

    [행복한책읽기] 망한 조직엔 멍한 리더 … 그 뒤엔 간신

    다시 쓰는 간신 열전 최용범.함규진 지음, 페이퍼로드, 314쪽, 1만2000원 망한 조직에 멍한 리더가 있고 그를 부추기는 입속의 혀와 같은 간신이 있다. 단 말만 내뱉는 것이

    중앙일보

    2007.01.26 19:06

  • 고양시민 '서삼릉' 복원 나섰다

    고양시민 '서삼릉' 복원 나섰다

    '서삼릉 복원 추진위원회' 회원들이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 내 효릉에서 주변 석상들을 둘러보고 있다. 왼쪽부터 김득환 추진위원장, 안재성 기획실장, 한건녕·이은구 추진위원, 이은만

    중앙일보

    2006.09.08 04:54

  • 못다 핀 개혁의 꿈, 500년 비문으로 남다

    우리 주변에는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유적들이 많다. 정신없이 살다보면 집 옆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른다. 휴일 자녀들을 데리고 먼 곳으로 떠나기 보다 내가 사는 지역의 유적.유물을 먼

    중앙일보

    2006.05.16 11:07

  • [체험 테마가 있는 여행] 인왕에 올라 '天下'를 굽어보다

    [체험 테마가 있는 여행] 인왕에 올라 '天下'를 굽어보다

    요즘 '트레킹(Trekking)'이란 말이 자주 들린다. 대체로 정상 정복 산행이 아닌 산책과 같은 가벼운 산행을 의미한다. 옛날 아프리카에서 소달구지를 타고 집단 이주하던 것에서

    중앙일보

    2004.06.03 15:14

  • '관청 기생 황진이' 추정 공문서

    ▶ 황진이로 추정되는 '진이(眞伊)'라는 기생 이름이 적힌 조선시대의'송도관편관청공문서'. 조선 중종때의 명기(名妓) 황진이(黃眞伊)로 추정할 수 있는 기생의 이름이 적힌 조선시대

    중앙일보

    2004.03.25 21:12

  • 조선을 뒤흔든 여인들

    개봉전부터 화제를 모았던 영화 가 드디어 개봉한답니다. 조선시대 요부와 바람둥이 그리고 정절녀가 벌이는 사랑 게임을 그리는 있는 이 영화에서 단연 돋보이는 인물이 요부 조씨부인(이

    중앙일보

    2003.10.01 20:38

  • [메트로와이드] 서울에도 집성촌 있다

    아파트 벽 하나를 사이에 두고 몇 년을 살아도 이름은커녕 얼굴도 제대로 모르는 것이 서울 생활. 그러나 서울에도 같은 성(姓)을 가진 일가가 수백년째 모여 살며 전통을 지켜가는 동

    중앙일보

    2002.01.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