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61-70]

    1961년 1.11 : 북한-예멘 간 통상협정 및 무역대표부 설치의정서 조인. 1.12 : 북한-루마니아 간 방송협정 체결. 1.23 : 쿠바주재 북한 초대대사 홍동철 임명. 1.

    중앙일보

    2004.10.25 11:45

  • 재일 한국인 지위향상에 노력

    【동경=김영배 특파원】한일의원연맹 제2차 합동총회가 2일 일본동경 경단련회관에서 한국측의 권익현 회장, 일본측의 「후쿠다」회장 등 양국대표단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회의는

    중앙일보

    1986.09.02 00:00

  • 「중·소 이산가족회」폐문위기|10년 동안 활동, 빚더미 못 견뎌

    【대구=연합】 10년 동안 소련과 중공에 억류 되어있는 동포들로부터 서신을 받아 국내 연고자를 찾아주고 이들의 귀환을 추진해온 중·소 이산가족회(회장 이두열·44)가 적자운영으로

    중앙일보

    1981.02.04 00:00

  • 데모하다 연행된 사할린 교포

    【동경=김경철 특파원】「사할린」억류동포 귀환 촉진 회(회장 박노학)에 따르면「사할린」에 억류 중인 도만상 씨(64·경북 의성 출신)일가족 l2명은 지난 9월10일「사할린」시청 앞에

    중앙일보

    1976.10.20 00:00

  • 사할린 억류교포|백25명 추가확인

    【대구】 「사할린」에 억류돼 있는 우리동포의 명단이 추가로 39가구 1백25명이 확인됐다. 이로씨 「사할린」동포 생존자는 모두 2천8백94가구 9천9백54명으로 밝혀졌다. (명단은

    중앙일보

    1976.02.16 00:00

  • 「사할린」억류 교포 천8백명 귀환희망

    【대구】「사할린」에 억류중인 우리나라 동포 가운데 4백62가구 1천8백백41명이 귀환을 바라고 있다고 12일「사할린」억류 동포 귀환촉진회(회장 한영상·대구시서성로)가 밝혔다.

    중앙일보

    1976.01.12 00:00

  • 사할린 한국교포

    【동경 30일 AFP 동양】2차 대전말부터 「사할린」에 있는 한국인 가족 2가구가 소련 당국으로부터 북괴적을 포기하고 일본으로 떠나도록 허용되었다고 30일 동경에서 알려졌다. 2차

    중앙일보

    1975.10.31 00:00

  • 사할린 억류교포

    저의 아버지는 33년 전에 일본에 징용으로 끌려간 뒤 생사조차 모르고 지내다가 지난 72년에야 대구에 있는「사할린」억류교포 귀환 촉진회를 통해 「사할린」에 살고있음이 확인됐고 그

    중앙일보

    1975.09.25 00:00

  • 사할린 한국인교포|귀환청구소송 준비

    【대구】일본인 변호사 19명으로 구성된「사할린」한국교포귀환변호인단 (단장「가시와끼」변호사·전 일본인권 옹호위원회 위원장)은 12월 일본정부를 상대로「사할린」한국 교 포귀환 청구소송

    중앙일보

    1975.08.19 00:00

  • 사할린 억류 교포 귀국 좌경 간부들이 방해

    【대구】사할린 억류 교포들의 귀환이 좌경억류 교포들의 방해공작과 일본 정부의 무성의로 막히고 있음이 17일 대구시 중구 서성로 1가 31사할린 억류 교포 귀환촉진 회(회장 한영상)

    중앙일보

    1975.03.18 00:00

  • 중공동포 망향편지 75가서 보내 와

    【동경10일 합동】 일제 때 중국으로 이주했다가 귀국하지 못하고 지금까지 중공 땅에 살면서 고향을 그리고 있는 한국교포들이 일본에 있는「사할린」억류 교포귀환 촉진 회(회장 박노학)

    중앙일보

    1975.03.11 00:00

  • 중공교포 귀국신청

    【대구】중공 상해에 살고 있는 한국교포 박규현씨(64)가 6일 대구시 중구 서성로1가31「사할린」억류교포귀환촉진 회(회장 정영상)에 동생 박규진씨(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1의18)와

    중앙일보

    1975.03.07 00:00

  • 30년 막혔던 사연에 벅찬 기대|공산국과 우편물 교환 발표…사할린·만주 등 교포 연고자들

    소련 등 14개 비적성공산국가와 오는 9월1일부터 직접 우편물을 교환한다는 정부발표가 나오자「사할린」이나 옛 만주지역(현 중공)에 친척들이 있는 연고자들은 금새 그들의 생생한 소식

    중앙일보

    1974.08.03 00:00

  • 귀국희망「사할린」교포 백13명 명단

    【동경=박동순특파원】 「사할린」억류교포 가운데 한국으로 귀국을 희망하는 김득조씨(51) 등 23가구 1백13명의 명단이 동경에있는 「사할린」 억류동포귀환촉진회(회장 박노학) 에 의

    중앙일보

    1974.06.06 00:00

  • 사할린교포 6백54명 또 귀환희망

    【대구】일제하에 일본정부의 징용명령을 받고 군속이나 정신대·산업전사등으로 끌려간「사할린」억류 교포들가운데 42가구 1백37명이 올들어 처음으로 귀환희망의 뜻을 알려온데뒤이어 27일

    중앙일보

    1974.05.28 00:00

  • 생존자 43명 새로 명단판명

    【대구】일제하에 정신대나 징용으로 끌려가「사할린」에 억류 됐던 교포들 가운데 생존자·사망자 등 지금까지 모두 1천4백72명의 명단이 밝혀진데 이어 또 43명의 생존자명단이 20일

    중앙일보

    1974.05.21 00:00

  • 사할린에 조사단파전 촉구

    【동경13일합동】일본에 있는「사할린」억류교포 귀환촉진 한국인회 (대표 박노학)및 이를 협력하는 부인회(대표삼원명), 그리고 한국 대구에 있는 「사할린」억류교포 귀환촉진회 (대표한영

    중앙일보

    1974.05.13 00:00

  • 귀환청원서를 인쇄 사할린교포에 우송

    【대구】 일본 「도오꼬」에있는 「사할린」억류 교포귀환한국인회(회장 박노학)가「사할린」억류 교포들의 귀환을 실현시키기위해 주일 한국대사관과 일본외무성의 동의를 얻어 귀환청원서 5만장

    중앙일보

    1974.04.17 00:00

  • 「사할린」교포 40명 새명단

    【대구】 일제하에 정신대나 징용으로 끌려가 「사할린」에 억류됐던 교포들 가운데 새로 사망자 12명과 생존자 40명의 명단이 16일 밝혀졌다. 이명단은 이날 일본 「도오꼬」에 있는

    중앙일보

    1974.04.17 00:00

  • 사할린 교포 60명 명단 밝혀져

    【대구】일제 하에 정신대나 징용으로 끌려가「사할린」에 억류됐던 교포들 가운데 새로 사망자 18명과 생존자 60명의 명단이 6일 밝혀졌다. 이 명단은 이날 일본「도오꾜」에 있는「사할

    중앙일보

    1974.03.07 00:00

  • 사할린 교포 생존자 32명 명단 더 밝혀져

    【대구】일제 하에 징용으로 끌려가 「사할린」에 억류됐던 교포 명단(1천3백10명)이 밝혀진데 뒤이어 4일 또 32명의 생존자 명단이 새로 밝혀졌다. 이 명단은 「사할린」억류 교포들

    중앙일보

    1974.02.05 00:00

  • 한일합방 당시의 희귀한 사진 수록

    재일 교포 작가 장재술씨 편저의 『일본 제국 한국 병합 침략 화보 사진사』가 최근 동경에 있는 사할린 억류 귀환 한국인 회에 의하여 간행됐다. 두개의 판이한 자료 즉 1920년 상

    중앙일보

    1974.02.01 00:00

  • 「사할린」생존교포 1천25명

    「사할린」교포에 관한 소식은 한국 국민들에게는 항상 묵은 상처를 건드리는 아픔을 준다. 이역만리에서 멀쩡하게 30년의 공백기간을 강요당한 이들이 자유를 되찾고, 조국의 품에 안기기

    중앙일보

    1973.12.10 00:00

  • 사할린 교포 사망자 2백85명·생존자 천25명 천3백명 명단 판명

    【대구】「사할린」에 끌려간 우리 동포들 가운데 새로 사망자 2백85명과 생존자 1천25명 등 총 1천3백10명의 명단이 더 밝혀졌다. (명단 8면에) 이로써 지금까지 총 4만 명으

    중앙일보

    1973.12.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