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가정의학|치아질환 최상묵

    요즘은 아이들이 입속에 이상한 모양의 철사나 쇠붙이로된 소위 교정장치라는 것을 끼고 있는 것을 흔히 볼수 있다. 옛날보다 안경을 낀 아이들이 현저히 늘어난것처럼 치아가 삐뚤게 나오

    중앙일보

    1984.05.30 00:00

  • 「구강보건 주간」을 맞아 본 치아관리 요령|치아의 건강 젖니관리가 좌우

    6세9(구)치. 6세에 첫 영구치인 제1대 구치가 나오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각 시-도 치과의사회에서는 해마다 6월9일부터 1주간을 구강보건주간으로 삼고 이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

    중앙일보

    1982.06.09 00:00

  • "음식을 먹은 후엔 3분간 양치질을"|어린이들의 치아 관리는 어떻게 해야하나

    이(치)는 음식물이 들어가는 관문. 이가 건강하지 않으면 음식물을 제대로 씹을 수 없어 소화·흡수에 장애를 주게되므로 신체의 건강을 기대할 수 없다. 방학 철은 이러한 치아에 문제

    중앙일보

    1982.01.16 00:00

  • 어린이성장 오전9시에 가장 왕 성

    어린이의 성장은 상오 9시경에 가장 왕성하고, 하오 9시쯤에 가장 저조하다는 것이 프랑스의 한 과학자에 의해 밝혀졌다. 프랑스의 루이·파스퇴르 대학의「클로딘·우데」박사는 캘리포니아

    중앙일보

    1982.01.09 00:00

  • (129)구강 김종배(서울대 의대 예방치과 교수)|가지런하지 않은 이(3)

    치과에서는 이를 다물었을 때 가지런히 맞지 앉는 것을 부정교합이라고 부른다.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성과 후천성으로 나뉘는데 윗니 전체가 밖으로 향해 뻐드러져 나오는 것 등 일부 유

    중앙일보

    1981.02.14 00:00

  • 손동수박사 『소아치료 교정의 중요성』 발표

    27, 28일 양일간 「호텔신라」에서 개최된 대한 치과의사협회 제31회 학술대회는 「아동의 해」를 보내면서『소아치과질환에 관한「심포지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소아의 구강이상

    중앙일보

    1979.11.29 00:00

  • 어린이의 치아보건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체위향상실태를 보면 6세 남아의 경우 체중은 40년대의 18㎏에서 70년대의 20㎏으로, 신장은 1백6㎝에서 1백15㎝로 약 7∼9%가 증가했다. 지난해의 GN

    중앙일보

    1978.01.11 00:00

  • 9일부터 구강보건주간|건강은 건치에서

    타질병과는 달리 이(치)의 질병은 원상회복이 결코 불가능하다는데서 예부터 건치는 오복중의 하나로 여겨왔다. 9일부터는 구강보건주간. 구강보건일을 맞아 꼭 알아야 할 이(치)의 건강

    중앙일보

    1970.06.08 00:00

  • 아주·태평양 치과회의 미국 대표|조셉·R·자라백 박사

    제5회 「아시아」·태평양 치과회의에서 특별학술강연을 하기 위해 치과학계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조셉·R·자라백」박사가 내한했다. 「자라백」박사는 현재 미국 「로요라」대학교 치과

    중앙일보

    1967.04.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