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여보, 여보…당신이요? 예예, 얼마나 고생을…

    『여보, 고생 많았지요-.』15일 상오 서울과「와까나이」를 연결한 국제전화를 통해 1년2개월만에 만난 문종하·김옥자 부부는 기쁨에 목이 메었다. 처음 수화기를 받아든 부인 김옥자

    중앙일보

    1972.07.15 00:00

  • 눈이 큰 선생님

    지금 김 선생님께선 머리가 희끗희끗 해지셨을 것이다. 어쩌면 교단을 떠나 흙 내음 맡으며 보리밭이랑 길을 거니 실지도 모른다. 우리가 6학년 때 담임을 하셨다. 선생님께서 큰 눈을

    중앙일보

    1972.05.15 00:00

  • 스포크 박사가 말하는 어린이와 장난감 동물

    아기들이 동물을 좋아하는 정도는 어른들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정도다. 그들은 산 동물이나 장난감 동물을 가리지 않는다. 취학 전 어린이들은 인간에 관한 것보다 토끼에 관한

    중앙일보

    1972.03.04 00:00

  • 정금자|영흥도

    K선생님. 저의 집 앞 바다를 지나는 객 선이 오늘도 저렇게 피서객을 하얗게 싣고 내려갑니다. 뒷산 솔밭에 바람소리가 늘 시원한 섬이지만 이글거리는 태양과 내뿜는 지열 때문에 무성

    중앙일보

    1971.08.20 00:00

  • 우리 집 여름옷

    애들이 어렸을 때는 내 서투른 솜씨로 아이들 옷을 해 입혔던 한때도 있었다. 거기에 모정이란 「레테르」를 붙여서 말이다. 그런데 딸애들이 내 키보다 커지고, 안목이 높아짐에 따라

    중앙일보

    1971.08.12 00:00

  • 이모는 나를 몰랐다|단장의 레이스…삽보로 「프리·올림픽」의 남과 북

    【삽보로=조동오특파원】「프리·올림픽」에 참가한 한국의 김영희 양과 북괴 선수로 참가한 김 양의 이모 한필화는 같은 링크에서 숙명의 대결을 하게 됐다. 김영희 양은 한필화가 난생 처

    중앙일보

    1971.02.06 00:00

  • (4)「흐르는 별은 살아있다」의 저자「등원데이」여사의 수기

    내가 의식불명에서 깨어난 것은 미군「트럭」에 실릴 때였다. 이렇게 해서 우리들 네 식구는 이내 개성에서 의정부의 수용소로 후송되었다. 산 속을 헤매고 38선을 넘느라 나는 양쪽 신

    중앙일보

    1970.08.22 00:00

  • (3)「흐르는 별은 살아 있다」의 저자「등원데이」여사의 수기

    온 누리가 하얗게 눈에 덮였던 날, 나는 세 어린것들을 데리고 먹을 것을 찾아 나섰다. 살점을 에이는 바람에 눈가루가 회오리쳐 올라가는 눈길을 걸었다. 여름이라면 둑에는 버들명아주

    중앙일보

    1970.08.21 00:00

  • 엄마의 욕심

    오늘도 집 앞 큰 마당에는 꼬마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저희들 또래끼리 노느라고 야단법석이다. 집수리를 하느라고 사다 놓은 모래더미에서 모래성을 쌓다 부수기를 거듭하고, 두꺼비집을 만

    중앙일보

    1970.07.25 00:00

  • 펜 대회 특별강연|「기지와 해학」의 차이|토니·마이에

    「유머」는 가면이다. 여러 가지 형태를 한 가면이다. 모든 것을 가리는 가면으로 그것은 방위수단이며 「알리바이」·위장·수줍음이다. 그것은 또 잔인성을 빼버리며 억압된 감정의 「밸브

    중앙일보

    1970.07.01 00:00

  • 아빠가 만약에 …만약에 안돌아 오신다면

    『만일 아빠가 영원히 돌아오시지 않는다면 나는 어쩌면 영원히 불쌍한 인간이 될지도 몰라요.』-KAL기 피납자 중 돌아오지 않은 부조종사 최석만씨의 맏딸 은주양(15·중앙여중2년)

    중앙일보

    1970.02.16 00:00

  • 미국어린이들이본 "우리아버지"

    『「아버지」란 어떤것이냐』하는질문을 주어 본다. 귀여운 자녀들에게「아버지」는 어떤것인가. 「아버지」는 스스로 일잘하고 멋있고 존경할만하고 용감하고 진실하다고 섕각할 수있으며 스스로

    중앙일보

    1969.09.25 00:00

  • 미감아는 집이 그립다

    『새로운 친구들은 너무도 친절하다. 보모아줌마도 참 고맙다. 그러나 집에 가고싶고 엄마와 동생이 제일 보고싶다. 빨리 토요일이 왔으면 좋겠다』-. 미감아 노영숙양(13·가명·한국신

    중앙일보

    1969.07.12 00:00

  • 쌀 한 보시기

    직장 생활 4년동안 나이 스물다섯인 「하이 미스」(짖궂은 집안머슴애들이 「올드미스」대신 그렇게들 부른다)가 되도륵 저축이란 몰랐던 나였다. 이제 생각하면 바보스러운 이야기지만 나는

    중앙일보

    1969.04.17 00:00

  • 바쁜엄마 식는 모정

    고등교육을 받은 어머니들이 사회적으로 너무 많은 역할을 하기위해서 가장 소중한 육아문제를 소홀히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미국의 소아과의사 「벤저민·스코프」박사는 「육아전서」를 써내어

    중앙일보

    1969.04.05 00:00

  • (266) 관광버스

    사랑처럼 단잠을 또 깼다.『얘야, 일어나. 일하러 나가야 돼.』곁의 순이가 흔들어 깨우는통에 오늘아침도 경우 기지개를 폈지만 정말 한숨만 더자고싶은 욕심이다. 가을. 남들은 가을의

    중앙일보

    1968.10.18 00:00

  • (6)애들이 다 자란 뒤

    남편이 결혼선물로 준「박스」를 근30년만에 다락에서 꺼내 먼지를 털었다. 딸이 첫 월급을 타서 「이젤」을 사줬다. 작년 봄 옛 여고시절을 생각하며 새삼 붓을 들기 시작한 것이다.

    중앙일보

    1968.08.17 00:00

  • 저녁에 돌아온 모정

    생활고에 지쳐 두딸을 버렸던 어머니 김은열여인(35·서울동대문구전농동353의6)이 『이 못난 어미를 처벌해달라』고 29일하오 서울종로경찰서를 찾았다. 김여인은 이날아침 밥 달라고

    중앙일보

    1968.04.30 00:00

  • (9)잠을 원하는 13세 박기원

    며칠만의 목욕을 한 그애가, 그야말로 풀솜같이 잠이 들어 있다. 그것이 손에는 연필을 쥔채, 머리맡에는 책을 펼쳐논 채 잠들어 있다. 나는 손에서 연필을 빼주고 똑바로 뉘어준다.

    중앙일보

    1967.11.23 00:00

  • 추석은 다가왔는데

    1년에 겨우 몇 번 맞이하는 명절. 명절이 다가올 때마다 즐거움에 앞서 마음 무거워만 진다. 생활이 넉넉한 가정이야 평일이나 명일이나 별다른 차이없이 즐거운 하루를 보내면 그 뿐이

    중앙일보

    1967.09.14 00:00

  • (14) 삭제소동 빚은 「루크」지 「맨치스터」의 저서

    「후버」FBI 국장이 법무장관실로 긴급전화를 걸었으나 장관이 없어 「버지니아」주 「로버트·케네디」저택 수영장으로 전화가 연결됐다. 교환양의 전화를 받은 장관 부인 「에델·케네디」

    중앙일보

    1967.02.16 00:00

  • (10)몰상식한「상식」|고정관념을 헤쳐본다

    요란하게 차려입은 한여인이 어울리지않게 초라한 은반지를 끼고 있다. 그반지의내력을물으니 모교인 X여고의 졸업기념반지란다. Y여대 졸업반지도있지만 그건 창피해서 안 낀다고 한다. Y

    중앙일보

    1966.09.01 00:00

  • (4)환상적 피서

    여름의 피서지란 말에는 어딘지 낭만적이고 호사스런 어감이 난다. 시원한 해풍, 푸른 물결, 달빛이 부서지는 조개껍질이 밟히는 모래사장이-. 그리고 밤의 정을 나누는 인간가족들-그러

    중앙일보

    1966.08.16 00:00

  • (1)|깜찍하게 사람을 죽인 만10세의 조양

    우리주위에는 어른들이 돌보지 않아 구렁텅이로 빠져들어 가는 새싹들이 많다. 국가나 어른 개인이나 가정이나 눈앞의 일들에만 사로잡혀 자라나는 여러 어린이들의 상처 입기 쉬운 마음을

    중앙일보

    1966.06.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