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만명이 16시간씩 일해 번 2조원으로 김정은은 핵을 쥐었다…文 거론한 北 해외노동자 실태는

    5만명이 16시간씩 일해 번 2조원으로 김정은은 핵을 쥐었다…文 거론한 北 해외노동자 실태는

    20대 북한 주민 최모씨는 2004년 12월 쿠웨이트로 파견됐다. 매달 100달러는 벌 수 있다는 소문만 듣고 신청해 중앙당 대외건설총국의 실기시험을 통과했다. 하지만 현지에서 건

    중앙일보

    2017.09.06 11:18

  • 文 대통령, 푸틴에게 ‘북한 노동자’ 말한 이유는?…'김정은 돈줄' 핵심 지목

    文 대통령, 푸틴에게 ‘북한 노동자’ 말한 이유는?…'김정은 돈줄' 핵심 지목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일 오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한 해외 노동자’ 문제를 거론했다. “대북 원유 공급 중단과 북한 해외노동자 수입금지등 북한의 외화

    중앙일보

    2017.09.06 10:49

  • [단독] 하산에 제2 개성공단을…한민족의 유라시아 진출 베이스캠프 세우자

    [단독] 하산에 제2 개성공단을…한민족의 유라시아 진출 베이스캠프 세우자

    반도(半島)의 생명력은 대륙과 해양의 접점에서 비롯된다. 대륙과 해양으로 맘껏 뻗어나갈 수 있을 때만이 반도는 활기를 얻을 수 있다.그런 의미에서 한반도는 위기다. 폐쇄적인 북한에

    중앙일보

    2016.08.25 02:30

  • "北 해외노동자 하루 16시간 일하고 월급은 120달러"

    "北 해외노동자 하루 16시간 일하고 월급은 120달러"

    자료 아산정책연구원북한 해외노동자들이 심각한 인권 침해를 당하고 있으며,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쓰일 가능성이 있는 현금 운반책으로 이용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아산정책연구원은 17

    중앙일보

    2016.02.17 15:39

  • [이영종의 평양 오디세이] 자본주의 물들 위험에도, 달러벌이 8만 명 내보낸 북한

    [이영종의 평양 오디세이] 자본주의 물들 위험에도, 달러벌이 8만 명 내보낸 북한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근로자들이 블라디보스토크 나베라즈나야 해변에서 보수공사를 하고 있다. 북한은 김정은 체제 들어 외화벌이를 위해 근로자 수를 늘리고, 농업 등으로 진출분야를 확

    중앙일보

    2015.11.10 01:22

  • '노예노동'하는 해외의 북한 근로자들 생생 실태

    “동복(겨울옷)에 기름이 짜들짜들해서, 내가 손가락으로 긁으면 기름때가 묻어나는 게 끔찍해요. 20세기 원시인들을 보려면 러시아 아무르 주(州)에 있는 북한 노동자 숙소로 들어오라

    중앙일보

    2015.03.10 17:00

  • [브리핑] 러시아 내 북한 벌목공 8명 한국으로

    러시아 시베리아에서 일하던 북한 벌목공 8명이 지난 11일과 13일 모스크바 주재 한국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국내로 들어왔다. 모처에서 한국행을 대기 중인 탈북자들도 30여 명에

    중앙일보

    2012.04.26 01:57

  • 탈북자 강제 북송, 국제 이슈로 확산

    탈북자 강제 북송, 국제 이슈로 확산

    ‘중국의 국제난민협약 준수 촉구집회’가 27일 서울 효자동 중국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박선영 의원(왼쪽에서 셋째)과 참가자들이 탈북자 강제북송 반대를 촉구하고 있다. [뉴시스] 정

    중앙일보

    2012.02.28 01:40

  • [문창극 칼럼] 북쪽 땅끝을 가다

    [문창극 칼럼] 북쪽 땅끝을 가다

    문창극대기자 나에게는 조그만 꿈이 있었다. 우리 땅 끝자락을 내 발로 걸어보는 것이었다. 남쪽 끝자락인 땅끝마을은 걸어보았다. 다음, 서해의 압록강에서부터 동해의 두만강까지 북쪽

    중앙일보

    2011.09.27 00:13

  • 北서 있는집 자녀들이 주로 가는 군부대는

    北서 있는집 자녀들이 주로 가는 군부대는

    '놀새부대' '깡판부대' '까마귀부대'…. 북한 군부대들의 별칭이다. 초모생(입대를 앞둔 신입병)과 초모병을 둔 부모, 북한 주민들이 붙인 이름이다. 군 복무조건이나 대우, 사회

    온라인 중앙일보

    2011.08.08 00:27

  • 뱃길 9시간 연해주서 3모작’ 캄보디아까지 후보지 5곳 떠올라

    뱃길 9시간 연해주서 3모작’ 캄보디아까지 후보지 5곳 떠올라

    지난 3월 초 대두를 수확하고 있는 브라질의 한 농장. 브라질은 정부가 구상 중인 해외 식량기지 후보 중 한 곳이다. 중앙포토 정부의 해외 식량기지 개척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중앙선데이

    2008.05.11 03:16

  • 오일 개발 붐 타고 국제도시로 성큼-블라디보스토크

    오일 개발 붐 타고 국제도시로 성큼-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 항에 정박 중인 2차대전 참전 구축함 Vladivostok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 도착 첫날인 5월 18일. 항구가 바로 눈앞에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

    중앙선데이

    2007.07.14 23:43

  • 北, 석유값 못 내 러시아에 '인력 송출'

    북한이 러시아 연해주에서 수입하는 석유 물량을 해마다 늘렸으며, 그 대금을 갚지 못해 대규모 인력을 송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동아일보가 3일 전했다. 러시아 전문가들은 "이 인력

    중앙일보

    2006.11.03 10:31

  • [1994]

    1994. 01. 02 김일성, 사민당위원장 김병식·최고인민회의 의장 양형섭 등 정당·단체대표 면담 1994. 01. 14 훈민정음 창제 550주년 '평양시 기념보고회' 개최 19

    중앙일보

    2005.08.09 10:56

  • IHT '시베리아의 탈북자' 보도

    한국 외교관들은 탈북자들을 꺼리고, 러시아인들 역시 북한 주민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다. 그래서 탈북자들은 시베리아에서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고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이

    중앙일보

    2005.01.03 18:59

  • [91-2000]

    1991년 1. 3 : 최의웅(군사정전위 북한측 수석위원), 유엔군측 수석위원을 한국군장성으로 교체하는 것을 반대하는 담화 발표. 1.28 : 김영남(부총리 겸 외교부장), 알렉산

    중앙일보

    2004.10.25 14:04

  • 김정일, 벌목공 수천명 파견 러에 제안

    [모스크바=김석환 특파원]러시아를 방문 중인 김정일(金正日)북한 국방위원장은 모스크바 일정을 마치고 6일 오전 9시(한국시간 오후 3시) 특별열차편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했다.

    중앙일보

    2001.08.07 00:00

  • 前고려인협회장 故 허진씨 유해 환국

    옛소련내 고려인협회장으로 한.소 관계개선에 공헌했던 고(故) 許眞(본명 許雄培)씨의 유해가 유언에 따라 27일 환국한다.고인의 유해는 27일 고려대부속 안암병원에 마련될 빈소에 모

    중앙일보

    1997.03.25 00:00

  • 북한,脫北者 체포組 운영 배경과 실태

    『북한을 탈출해 숨어 지내던 어린 자매가 철사줄에 손목을 꿰인 채 북한으로 끌려갔다』(중국 창바이현),『양강도 혜산에서 탈북자 3명이 공개총살형에 처해지는 것을 봤다』.지난 겨울

    중앙일보

    1996.11.11 00:00

  • 세련된 인도주의 정책

    한국전 당시 미군실종자에 관한 미국방부 내부자료가 미국 일부언론에 공개되었다.한국전쟁시 실종된 미군 가운데 북한에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을 지적한 보고서였다. 미국방부는 이 문건이

    중앙일보

    1996.06.20 00:00

  • 95년이후 북한 귀순자

    ▶1.6=북한군 예술 선봉대 소속 정선산(26)상사 ▶2.18=시베리아 벌목공 김봉찬.전성철등 2명,농업연구사이민복 ▶9.14=시베리아 벌목공 윤철 ▶9.23=시베리아 벌목공

    중앙일보

    1996.05.31 00:00

  • 脫北者 한국정착 대책 급하다

    금세기중 남.북한이 통일될 것이라는 낙관론은 점차 수그러들고있다. 한국 정부는 북한 정권이 언제 추락할지 모르는 조종 불능의 비행기와 같다고 보고 있으며 북한의 「연착륙」에 대한

    중앙일보

    1996.03.21 00:00

  • 20년간 감옥살며 망명요구 북한벌목공 끝내 송환당해

    72년 러시아에 벌목공으로 파견됐던 한 북한 노동자가 20여년동안 고의로 러시아에서 감옥생활을 하면서 정치적 망명을 요구했으나 결국 지난해 9월 북한으로 송환된 안타까운 사연이 밝

    중앙일보

    1996.02.29 00:00

  • 對北정책 선거때마다 强穩 교차

    우리정부의 대북(對北)정책은 선거철만 되면 때로는 강(强),때로는 온(穩)의 한편으로 치우쳐 왔다. 6공 정부가 91년말「연내타결」을 외치며 서둘러 추진했던 남북기본합의서와 비핵화

    중앙일보

    1996.02.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