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민과 독자 여러분께 드립니다

    저희는 지난 한주일여를 비통하고 참담한 심정속에서 보냈습니다. 앞뒤 사정이야 어떻든 지난 15일에 일어난 지방 지국판매원들의 치사상사건은 국민과 독자여러분께 큰 실망과 놀라움을 안

    중앙일보

    1996.07.24 00:00

  • 미국 뉴스위크 사장 리처드 스미스

    『멀티미디어시대는 전자신문과 인쇄매체의 경쟁을 부추겨 독자들에게 훨씬 풍부한 정보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 지난 9~12일 서울삼성동 한국종합전시장(KOEX)에서 열린 세계광고대회

    중앙일보

    1996.06.13 00:00

  • 세계광고대회 중앙일보전시관 멀티미디어시스템에 관람객 감탄

    제35차 서울 세계광고대회가 열리고 있는 서울삼성동 한국종합전시장(KOEX)3층 대서양관에 마련된 중앙일보 특별전시관에는9일에 이어 10일에도 관람객들이 대거 몰려와 중앙일보가 선

    중앙일보

    1996.06.11 00:00

  • 애독자 여러분께-중앙일보 조간화 한돌을 맞아

    중앙일보가 보다 충실하고 알찬 정보를 독자 여러분께 전하고 21세기 세계 초일류 언론매체로 도약하겠다는 목표아래 석간에서조간체제로 전환한지 오늘로 만 1년이 되었습니다. 조간전환

    중앙일보

    1996.04.15 00:00

  • 중앙일보 창간30돌 축하 메시지-티모시 볼딩

    중앙일보 창간 30주년을 맞아 한국 언론 발전에 현저히 공헌한 중앙일보 발행인과 모든 사원에게 국제신문발행인협회(FIEJ)의 전세계 회원을 대신해 축하드립니다. 실로 이러한 노력들

    중앙일보

    1995.09.22 00:00

  • 창간 30주년 아침에 독자에게 드리는 글

    오늘 중앙일보가 창간 30주년을 맞았습니다.그동안 중앙일보를 한결같이 아끼고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리며,오늘의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또한 창간 30주년의 의미를 깊

    중앙일보

    1995.09.22 00:00

  • 신문활용 교육(NIE)어떻게 하나

    신문을 활용한 교육(NIE)의 가장 큰 목표중하나는 창의적 인간의 양성이다.정형화된 교과서 암기를 통한 교육은 획일적 사고를 지닌 인간을 양산하고,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은 억

    중앙일보

    1995.03.25 00:00

  • 新聞활용 교육 외국의사례-美 기자들이 학교방문 강의도

    외국에서는 일찍이 신문을 교육에 활용해왔다. 신문을 활용한 교육(NIE)의 발상지인 미국에서는 1795년메인州의 포틀랜드 이스턴 헤럴드紙에 관련기사가 나왔을 정도로 일찍 그 개념이

    중앙일보

    1995.03.24 00:00

  • 上海 신문들 화려한 변신-독자겨냥 기사는 짧고 재미있게

    중국 대도시 가운데 경제발전속도가 가장 빠른 상하이(上海)의신문업계가 이념위주의 천편일률적인 보도태도를 벗어나 독자를 사로잡기 위한「화려한 변신」에 나서고 있다. 이같은 변화 가운

    중앙일보

    1995.01.28 00:00

  • 선진국서 본 중앙일보 섹션화-프랑스

    올해 말로 르 몽드紙도 창간 50주년을 맞게 된다. 창간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여러 가지 준비가 한창인 가운데 한국의 유수한 신문인 中央日報가 창간 29주년을 맞게 됐다는 소식

    중앙일보

    1994.09.22 00:00

  • 1.전자신문 개발붐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메카」 실리콘 밸리를 중심으로 세계의 첨단산업을 이끌어가는 美國 정보산업계의 하이테크 비즈니스 관련이모저모를 생생한 현장소식으로 현지에서 전하는 연재를 시작한

    중앙일보

    1994.09.08 00:00

  • 뉴욕 두일간지 치열한 싸움

    미국 뉴욕시에서는 2개의 타블로이드판 대중일간지가 서로 붓수·광고및 기사경쟁으로 머리가 터지도록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다. 화제의 두 신문은 세계적 신문재벌 「머도크」의 뉴욕포스

    중앙일보

    1984.04.25 00:00

  • 그 근본적 반성|「카르텔」에 의한 발전의 저지 - 신상초

    해방 후 20여년이 지나는 동안 거의 모든 상품의 생산과 공급이 질과 양에 있어서 장족의 진보를 이루었다. 그러나 유독 신문이라는 상품은 질·양 공히 퇴보까지는 아니더라도 사실상

    중앙일보

    1967.04.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