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추석 귀성길 올 가이드] 국도 상황도 휴대폰 서비스

    [추석 귀성길 올 가이드] 국도 상황도 휴대폰 서비스

    고향에 계신 부모님을 생각하면 한시라도 빨리 달려가고 싶은 것이 귀성객의 심정이다. 하지만 고속도로에 들어서 가다 서다를 반복하다 보면 귀성의 즐거움은 사라지고 짜증이 앞선다. 이

    중앙일보

    2003.09.08 18:03

  • "불나면 이렇게 피하세요" 재난체험관

    진도 7의 지진은 어떤 느낌일까. 불이 나면 어디로, 어떻게 빠져나가야 할까. 이런 궁금증을 풀 수 있는 가상 재난체험 시설인 '시민안전체험관'이 오는 3월 국내 처음으로 서울에서

    중앙일보

    2003.01.16 17:37

  • 인사

    ◇행정자치부▶경기소방재난본부장 박용호▶서울시 소방감 문동주▶예방과 소방정 문정식▶소방행정과 〃 조성완 ◇금융감독위원회▶시장조사과장 이병래 ◇중소기업청▶정책총괄과장 전대열▶기업진흥

    중앙일보

    2002.05.21 00:00

  • [인사] 행정자치부 外

    ◇ 행정자치부▶충남소방안전본부장 임용배▶부산시 전출 김한룡▶예방과장 김철종▶대구시소방본부장 김차수▶울산시〃 김정화▶충북〃 이범진▶경북〃 강현호▶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 한기성 ◇ 금융감

    중앙일보

    2001.02.15 00:00

  • 정부 부처·각 기관,'Y2K 막자' 막바지 총력

    새천년을 5일 앞둔 27일 정부 각 부처와 기관들이 Y2K 문제 방지를 위한 총력작업에 돌입했다. 정부는 지난 21일 전국 시.도 행정부시장.부지사 회의,24일 총리주재 `Y2K

    중앙일보

    1999.12.27 16:44

  • [물난리 끝내자]방재 통합관리 대책

    서울시립대 방재공학센터 윤명오 (尹明悟) 소장은 "현재의 정부조직상 수해예방의 핵심부서는 건교부지만 재해대책 기능이 행정자치부에 있다 보니 지휘체계에 일관성이 없어 효율적인 대응이

    중앙일보

    1998.08.18 00:00

  • 災難 가상체험 교육장 건립-동작구에 98년 무료개장

    서울시소방본부는 9일 각종 재난예방을 위해 시민들에게 간접 재난을 체험토록하고 지진.아파트붕괴 대피 요령등을 가르치는 이색적인 「방재체험교육센터」를 만들기로 했다. 내년에 착공될

    중앙일보

    1996.08.09 00:00

  • 1.안전.편리한 도시

    조순(趙淳)서울시장의 취임일성은 「안전한 도시를 만들고,삶의질을 높이겠다」는 것이었다.이를 위해 전시성 대형사업등은 하지않겠다고도 밝혔다.시장임기 3년중 첫번째 예산안인 내년도 예

    중앙일보

    1995.11.11 00:00

  • 허점드러낸 도심 가스폭발사고-예방만이 최선 또다시 입증

    가공할 인명.재산피해를 낸 7일 오후 서울마포구아현1동 가스폭발화재는 또다시 재난에는 예방만이 최선책이라는 교훈을 남긴 채 우리나라 방재시스템의 허점을 여실히 드러냈다. 도심 한복

    중앙일보

    1994.12.08 00:00

  • 민방위훈련 「재난」 위주로/안보개념서 탈피

    내무부는 방공대피 등 안보차원 위주의 민방위훈련을 재난예방과 수습을 위한 종합훈련 개념으로 전환키로 하고 이를 15일 실시된 2백40차 민방위의 날 훈련부터 시행해 들어갔다. 정부

    중앙일보

    1993.09.15 00:00

  • 급수탑 시설·소화전 등 소방력 대폭보강

    서울시 소방본부는 15일시내 전 소방파출소에 구급 대를 배치하고 도로 1백m마다 소화전·급수 탑 시설을 갖추는 것 등을 골자로 하는 소방력 보강 7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소방본부는

    중앙일보

    1992.02.15 00:00

  • 자연재해 항구대책 세우자|이규학(방재전문가·전 내무부 민방책 자문위원)

    여름이 다가온다. 여름은 만물이 생육하는 계절이지만 태풍·홍수 같은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계절이기도 하다. 지난해 전국을 강타한 태풍·홍수에서 보듯 자연재해는 순간에 엄청난 재

    중앙일보

    1988.05.12 00:00

  • 고층건물과 화재

    동경 뉴저팬호텔 화재는 결코 남의일이 아니다. 8명의 한국인이 희생됐고 우리도 대연각호텔 화재때 더큰참사를 겪었다. 오늘날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도시에 임립하고 있는 빌딩숲에서는

    중앙일보

    1982.02.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