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4.에드워드 사이드 저,오리엔탈리즘

    동양의 근대는 사실상 자기부정의 역사였다.그러나 그 자기부정이 단순히 서양의 무력에 의해 가능했던 것이라고 믿는다면 그것은 순진한 생각이다.총칼의 힘만으로 동양의 서구화가 진행되었

    중앙일보

    1993.11.30 00:00

  • 32.가브리엘 G.마르케스,백년동안의 고독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백년동안의 고독』은 이상한 마력을 가진 책이다.전통적인 근대소설의 관점에서 보면 이 소설은 그리 뛰어난 작품이 아닌지도 모른다.무엇보다도 이 소설을 장

    중앙일보

    1993.11.16 00:00

  • (9)「상록수」배경 농민문학의 본 고장|안양 문학

    서울 도심에서 버스나 전철로 1시간도 채 떨어지지 않은 안양. 60년대까지만 해도 이곳은 포도밭으로 유명한 서울 근교 전원소읍이었다. 『안양은 서울 바로 아래라서/서울로 가려다 지

    중앙일보

    1990.09.16 00:00

  • 70년대 대중소설 체계…최근 종교·사회소설 붐

    독서계에서는 그때마다 한 시대를 재단하는 책들이 베스트셀러군을 형성했다. 6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국내작가들의 작품들이 베스트셀러에 오른 예는 흔치 않았다. 『데미안』『생의 한가운

    중앙일보

    1987.09.22 00:00

  • (1)어제를 돌아보고 내일을 생각한다|의식이 급속한 사회변화를 못따랐다

    ▲최정호=지금은 폐간되고 없지만 『월간중앙』은 70년대 문턱에서 1백명의 지식인에 대한 앙케트조사를 한적이 있습니다. 다가오는 70년대를 어떻게 보는가였지요. 그때 저는 이런 항변

    중앙일보

    1985.08.10 00:00

  • 현대시의 깃점은 소월의 『진달래꽃』·만해의 『님의침묵』

    지금까지 우리나라 현대시의 기점을 30년대 중반 김기림을 중심으로한 모더니즘 시운동으로 잡던 한국시사의 통설에 대해 이를 20년대 중반 김소월의 『진달래 꽂』, 만해의 『님의침묵』

    중앙일보

    1984.05.30 00:00

  • "다산연구는 역사적 현실 위에서"|광주에서 다산 학 학술대회

    오는 1985년은 다산 정약용의 1백50주기가 되는 해. 일제하인 l935년, 1백 주기를 맞아 벌였던 다산 학 학술행사가 민족운동의 일환으로 행해진 것이었다면 오는 85년의 학술

    중앙일보

    1982.11.17 00:00

  • 1910∼1950년까지 한국문학 평론을 한 눈에|단국대 권영민 교수,「한국현대문학 비평사」출판

    1910년부터 50년 6·25 직전까지의 국내문학 평론작품과 관계자료를 총망라한「한국현대문학비평사」가 8월말 단국대 출판 부에 의해 출판된다. 권영민 교수(단국대국문학과·문학비평)

    중앙일보

    1981.08.18 00:00

  • "군사비지출없었으면 일찍 경제자립"

    「뉴욕·마임스·매거진」은 지난 16일자 일요판에 28「페이지」에 달하는 한국에 관한특집기사와 광고를 게재했다. 『한국과 미국―동반자관계』라는 제목의 이 특집기사에서 『서울의견해』라

    중앙일보

    1979.07.17 00:00

  • 한국문학사에 고쳐야 할 부분 많다

    □…문학평론가 구중서씨는 최근 간행한 그의 저서 『한국문학사론』 에서 이제까지 발표된 한국 문학사에는 시정할 점과 새로 보완되거나 개척되어야 할 국면이 너무 많다고 주장,구체적인

    중앙일보

    1978.10.18 00:00

  • 서구적 방법론 도입은 오히려 장려할 일

    다음 글은 『오늘의 문단 진단』「시리즈」 첫회 서강대 이재선 교수의 『문학 비평은 제구실을 다하고 있는가』 (10월28일자)에 대한 문학 평론가 김주연씨의 반론이다. 문학 비평의

    중앙일보

    1977.11.04 00:00

  • (2)-송상일 「한국적인 것」의 순환적 이해-문학에 있어서의 한 방법

    보편화에 대한 반성은 보편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서부터 출발되어야 한다. 문화의 보편성을 거부함으로써 문화적. 상호공감을 포기하고, 따라서 스스로 절찬해 마지않는 특정한 문화자체

    중앙일보

    1976.01.13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등산 50년

    30년을 전후해서 서구적인「알피니즘」과 순수한 근대적인 등산이 서양인들의 전래로 한·일인간에 옮겨져 자라나고 있을 무렵, 이것과는 구별되는 우리사회에서 전통적으로 우러난 답사적인

    중앙일보

    1975.11.28 00:00

  • 이 달의 시|시가 없는 풍작|고은(시인)

    6월의 시단은 전문지1, 문예지2, 종합지3, 계간지1의 모두 7개지에 1백11편이 수록되었다. 이 밖에도 동인지·일간 주간지와 단행본을 합한다면 훨씬 많은 발표량이 될 것이다.

    중앙일보

    1971.06.11 00:00

  • 방향잃은「신문학정리」

    신문학 60년이라하여 금년들어 여러가지 행사들이많았다. 그것은 대견스럽다는 자축의 뜻도 있었을 것이다. 또는 그 동안의 한국문학 성장의 도정과 오늘의 모습에 대한 불안에서 새로운

    중앙일보

    1968.07.23 00:00

  • (7) 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 캠페인|예술의 지방성과 국제성 - 백철

    예술의 지방성과 국제성-. 오늘의 예술론을 위하여 지방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일견 지나간 날의 화제라는 느낌이 든다. 지금 무대위에선 「재즈」음악과 「트위스트」춤이 한창인데 그 무대

    중앙일보

    1967.02.16 00:00

  • 한국여성사의 문제점들-이현희

    우리 나라 여성사의 시발점은 두말할 나위 없이 한국사가 시작될 때로부터 그 근원을 잡아야 할 것이다. 그러면 적어도 여성사의 나이는 2천년이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직

    중앙일보

    1966.01.27 00:00

  • 「염상섭 재고」(1)|김치수

    자연주의라는 말이 언제부터 이 땅에서 쓰이기 시작했는지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염상섭의가 발표된 1920연대가 아닌가 생각된다. 『염상섭의 는 염상섭의 초기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중앙일보

    1966.01.15 00:00

  • [을사문화계]의 회고

    을사의 종막도 멀지않았다. 그러나 이대로 막을 닫는 허전함은 관객도 배우도 한결 같다. 우리 문화계는 정녕 정체된 소택지인가, 아니면 유유한 대하의 흐름인가? 65년에도 그 [정체

    중앙일보

    1965.12.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