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작구청 “혹시 당근이세요?”…단골이면 구정소식·경품을
동작구는 오는 21일까지 동작구청 당근 채널 오픈 기념 '단골맺기 이벤트'를 진행한다. 동작구(구청장 박일하)가 지역생활 커뮤니티 플랫폼인 ‘당근(당신 근처)’ 공공프로필을 개설
-
알바도 취미도 집 근처에서…엔데믹 와도 ‘슬세권’ 강세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에도 ‘하이퍼로컬(Hyper-local·지역 밀착형)’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생활 반경이 좁아지면서 최근 2~3년 새 급성
-
알바도 취미도 슬리퍼 신고 간다…엔데믹에도 뜬 '슬세권 경제'
CU 단골 고객 이미지. 편의점 CU에 따르면 단골 고객 매출의 전년 대비 신장률은 올해 1분기 22.6%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엔 16.9%였으나 코로나19로
-
빌라 한 채를 1유로에 빌렸다…동네 슈퍼의 반란, 보마켓 유료 전용
전 세계에서 건너온 유용한 생활 소품과 소포장의 신선한 식재료를 파는 가게. 와인과 떡볶이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식당. 편안한 차림의 동네 주민과 외지인이 한데 모여 일상과 비
-
떡볶이에 와인 마시는 동네마켓 있다? 요즘 입소문 난 그곳 [비크닉]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좋은 브랜드를 탐닉하는 윤경희 기자입니다. 최근 유럽에선 패션위크가 한창입니다. 지난주 런던에 이어 다음 주엔 파리에서 패션위크가 열려요. 아쉽게도 올해
-
[팩플] 메타버스 광풍, 우리가 놓치고 있는 질문들 유료 전용
팩플레터 201호, 2022.2.15 Today's Topic메타버스가 놓치고 있는 질문들 지난해 말 팩플팀의 2022년 기획회의에서 메타버스를 두고 토론했습니다. 마크 주커버그
-
[팩플] 번개장터·중고나라엔 있는 수수료, '당근페이'가 안 받는 이유
지난해 8월 중앙일보와 인터뷰한 김용현 당근마켓 대표. 김성룡 기자 매달 1700만명이 쓰는 당근마켓이 지역 기반 결제·송금 서비스 ‘당근페이’를 14일 선보였다. 당근페이는
-
이 “북 미사일 발사 강력 규탄” 윤 “지역주의 타파 정치 혁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디지털 지구 시대’ 대한민국 디지털 경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설 연휴를 앞두고 여야 대선후보들의 발걸
-
[팩플] 우리 동네 골목대장은 네이버? 당근?
팩플레터 76호, 2021. 04. 06 Today's Topic. 우리 동네에 뭐 먹을 게 있길래 팩플레터 76호 안녕하세요. 팩플레터 박수련입니다. 코로나19 이후 달
-
[팩플]"몸값 100조? 당근 가능" 3조 당근마켓 김용현 승부수
당근마켓이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기업) 대열에 합류했다. 18일 1789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로 기업가치 약 3조원을 인정받으면서다. 2년 전 2000억~3000억이
-
[View & Review] 생선·와인 같이 팔고, 수퍼서 그림놀이…동네 가게 생존법
물류와 자본을 앞세운 거대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이 일상을 지배하면서 동네 생활은 건조해졌다. 골목마다 하나쯤 있었던 철물점과 문구점, 과일 가게와 책방 대신 편의점만 여럿 불을
-
와인 파는 생선가게, 사랑방된 반찬가게...온라인 시대, 작은 '동네 가게'들의 특별한 생존기
엄지 두 개를 몇 번 놀리면 다음 날 새벽 집 앞으로 장바구니가 도착한다. ‘쿠팡’ ‘마켓컬리’ 등 물류와 자본을 앞세운 거대 플랫폼이 일상을 지배하면서 온라인 장보기와 새벽 배
-
[소년중앙] 우리 동네 맞춤 서비스로 삶의 질 높여봐요
왼쪽부터 김준효(서울 원촌초 5) 학생모델·이수정(경기도 소하초 5)·박하윤(경기도 서원초 4) 학생기자가 비대면 시대의 새로운 문화로 떠오른 ‘하이퍼로컬’ 서비스를 상징하는 소
-
플랫폼 강자 당근·네이버, 골목길서 딱 마주쳤다
당근, 네이버 플랫폼 코로나19 이후 ‘슬세권(슬리퍼 신고 다닐 만한 동네 상권)’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밥먹고 일하고 노는 생활 반경이 동네로 줄었기 때문. BC카드 빅데이터
-
무신사처럼…커뮤니티에 사람 모으면 물건도 팔린다
현대리바트 리바트 커뮤니티의 '랜선 집들이'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집을 공개할 수 있다. 리바트몰 캡처 스마트폰을 끼고 사는 ‘집콕족’이 늘면서 유통 업체들이 자체 온라인 커뮤니티
-
[하선영의 IT월드]음악·영상에 월 5만원 … 2030 ‘디지털 생활비’는 필수
━ 하선영의 IT월드 직장인 고은주(29)씨는 음악·드라마·전자책(e북) 등 모바일·웹으로 즐기는 콘텐트에 한 달에 평균 5만원 이상을 지출한다. 출퇴근 길에 듣는
-
음악·영상에 월 5만원 … 2030 ‘디지털 생활비’는 필수
━ 하선영의 IT월드 직장인 고은주(29)씨는 음악·드라마·전자책(e북) 등 모바일·웹으로 즐기는 콘텐트에 한 달에 평균 5만원 이상을 지출한다. 출퇴근 길에 듣는 음악
-
서정주도 머물렀던 75세 건물, 생활밀착 예술공간으로 부활
정면에서 본 ‘보안여관’(오른쪽)과 ‘보안1942’ ‘보안1942’ 지하 2층에 마련된 보안책방 10년 전 비 오는 가을날이었다. 곧 철거할 이층집의 지붕에서 물이 새기 시작했다
-
전국마트연합회, 마트 O2O ‘맘마먹자’ 전용사용권 계약체결
전국마트연합회 김성민 회장과 ㈜디멘터 김민수 대표전국마트연합회(회장 김성민)는 지난 2일 ㈜디멘터(대표 김민수)와 ‘맘마먹자’ 전용사용권 계약을 체결했다. 중소형 마트를 지원하는
-
“대한민국 인공지능, 내일은 없지만 모레는 있다”
“생명자본주의와 ‘디지로그’와 인공지능(AI)이 합쳐져야 인간과 공존이 가능한 로봇을 만들 수 있는데, 그걸 할 수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이어령), “셀레브리티 아바타
-
“대한민국 인공지능, 내일은 없지만 모레는 있다”
? “생명자본주의와 ‘디지로그’와 인공지능(AI)이 합쳐져야 인간과 공존이 가능한 로봇을 만들 수 있는데, 그걸 할 수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이어령), “셀레브리티
-
마트 O2O 맘마먹자, 중소기업 MRO 넘보다
㈜디멘터(대표 김민수)는 중소형 마트를 지원하는 온·오프라인 연계(O2O) 플랫폼 ‘맘마먹자’에서 지역상권 내 동네마트와 중소기업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