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책꽂이] '까마귀가 쓴 글' 外

    [책꽂이] '까마귀가 쓴 글' 外

    ◇까마귀가 쓴 글(김현영 지음, 문학동네, 8천5백원)=소설집 '냉장고'로 주목받았던 작가의 두번째 소설집. 까마귀의 입을 빌려 인간 세계를 풍자한 '까마귀가 쓴 글' 등 8편이

    중앙일보

    2003.09.05 17:45

  • 한국-이탈리아戰 길거리 응원 여기서!(전국 대형 전광판 설치 장소)

    ◇서울▶시청앞 광장▶광화문▶여의도LG야외무대▶평화의 공원▶코엑스 야외무대▶한강시민공원 잠실트랙구장▶잠실야구장▶장충체육관▶마포문화체육센터▶마로니에공원 ◇부산▶부산역광장▶부산아시아드

    중앙일보

    2002.06.18 00:00

  • 31일 '생명의 숲 가꾸기 운동' 제1차 간벌체험

    중앙일보가 후원하는 '생명의 숲 가꾸기 운동' 제1차 간벌 체험 행사가 31일 경기도 광주군 도척면 상림리 태화산에서 이보식 (李輔植) 산림청장.최열 (崔冽)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중앙일보

    1998.06.01 00:00

  • [우리마을 유래]세종로 청와대…경복궁 뒤뜰이자 고려 이궁 터

    내년 2월25일 새주인을 맞이하게 될 청와대 (靑瓦臺) 의 터는 현재 행정적으로 종로구세종로1번지에 속하는 곳으로 경복궁의 뒤뜰이자 고려때 남경의 이궁 (離宮) 이 자리잡았던 곳이

    중앙일보

    1997.12.24 00:00

  • [백두대간 환경대탐사]4.싸리재∼진부령구간(1)

    천연기념물인 열목어가 노닐 정도로 얼음처럼 차고 맑은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계곡. 설악산국립공원 남쪽 경계에 위치한 점봉산 (해발 1, 424m)에서 시작돼 내린천으로 흘러드는

    중앙일보

    1997.11.10 00:00

  • [술익는 마을]5.함양 국화주

    오는 10일은 음력으로 9월9일. 양 (陽) 의 최고 숫자인 9가 겹쳐 양기가 가장 왕성하다는 중양절 (重陽節) 이다. 중양절 세시음식의 압권은 국화주였다. 이날 양반들은 국화주를

    중앙일보

    1997.10.07 00:00

  • 詩心을 찾아서

    삶의 표현 양식이 문화다.문화는 사회를 표현하고 사회는 문화를 주도하는 사람들에 의해 조금씩 바뀐다고 보는게 나의 소박한 문화관이다.지금 이 사회를 뒤덮고 있는 의혹과 불신과 부정

    중앙일보

    1997.04.04 00:00

  • 함양 상림

    무더웠던 여름이 엊그제인가 싶더니 벌써 따뜻한 아랫목이 그리워진다.날씨가 추워졌다고 해서 움츠러들기보다 옛 선인의 얼이 새겨진 곳을 찾아가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다. 국내에서 가장

    중앙일보

    1996.11.20 00:00

  • 21.전라도 지지里와 경상도 운산里

    호남과 영남을 관통하는 고갯길로 가장 잘 알려진 곳은 무주의나제통문과 육십령,그리고 팔랑치일 것이다.전북장수군장계면명덕리와 경남함양군서상면대남리를 잇는 육십령은 옛날 도둑떼가 자주

    중앙일보

    1996.04.07 00:00

  • 15.가야산의 최치원

    가야산 해인사 입구의 그리 높지 않은 석벽에는 다음과 같은 고운(孤雲)최치원(崔致遠)의 친필시가 새겨져 있습니다.「첩첩이쌓인 바위계곡을 굽이치며 온 산을 뒤흔드는 물소리 때문에 지

    중앙일보

    1996.03.17 00:00

  • 8.함양에서 남해까지

    함양에서 남해까지 이르는 3번 국도변에는 울창한 숲으로 조성된 천연기념물과 노송숲이 산재해 있다.이 구간에는 특히 삼천포포구에서 남해군창성면 단항까지 3㎞와 남해군창성면과 삼동면

    중앙일보

    1995.06.09 00:00

  • 경찰에서 조사중 자해/30대 피의자/병원옮기자 탈출 음독자살

    【거창=허상천기자】 경남 거창경찰서에서 형사피의자로 조사를 받던 정두석씨(30·택시운전기사)가 지난해 12월31일 오후 2시 탈출,자신의 집에서 농약을 마시고 신음중인 것을 추적한

    중앙일보

    1992.01.03 00:00

  • 전남 고흥군 풍양면 상림리

    전남 고흥군 풍양면 상림리 고흥반도의 중간지점인 고흥읍을 지나 녹동항으로 달리는 길목, 천등산을 마주보고 아늑한 분지에 1백20여 가구 곡부공씨들이 처마를 맞댔다. 4백여년전 인향

    중앙일보

    1984.11.16 00:00

  • 설악산 「식생도」 완성-임량재교수(중앙대생물학과)가 2년걸려 조사

    국립공원 설악산의 식물 되는 설악산 식생도 (식생생태를 파악하는데 기본이 도·Vegetation map)가 국내최초로 완성됐. 중앙대 생물학과 식물생태학 연구실 임량재교수가 한국자

    중앙일보

    1982.09.09 00:00

  • (72) 역사의 고향(33) 함양 상림제

    한국의 농민들은 하늘을 보고 산다. 가뭄이 아니면 장마, 장마가 아니면 조풍수해가 겹치는 땅덩어리 위에서, 그래도 농자지대본이라고 흙을 파며 살고 있다. 조국근대화의 불이 켜지고

    중앙일보

    1967.07.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