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의 기원은 중국인" → "단군이 고조선 세워"

    미국 컬럼비아대 출판사가 만든 인터넷 백과사전(www.columbia.edu)이 한국의 고대사 관련 항목을 16일 정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사는 기원전 12세기에 중국 학자인

    중앙일보

    2004.12.17 17:52

  • [글로벌 아이] 현대사를 자학하지 말라

    역사는 인간을 비추는 거울이라고 한다. '자치통감' '동국병감'과 같은 많은 역사책들의 제목에 거울을 의미하는 '감(鑑)'이 들어가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한다. 이 삶의 거울

    중앙일보

    2004.10.11 18:30

  • 근·현대사 교과서 "친북 서술" "문제 없다" 공방

    일선 고교에서 쓰고 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반미.친북.반재벌적인 관점에 서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나라당 권철현 의원은 4일 교육인적자원부 국감에서 "금성출판사의 '고교

    중앙일보

    2004.10.05 01:27

  • [내 생각은…] 국가역사·문화 연구기관 통합 지원체제 만들자

    역사 왜곡 문제로 온 나라가 뜨겁다. 이 열기가 예전처럼 곧 식어들 것인지, 지속적인 관심사가 될 것인지는 두고 볼 일이다. 동북공정을 비롯한 중국의 여러 공정(프로젝트)은 국가

    중앙일보

    2004.08.15 18:54

  • "중국 사학계 역사 조작 그만"

    중국의 유명 지식인이 중국 당국의 고구려사 빼앗기 등 중화주의적 역사 편향에 경종을 울리고 나섰다. 당과 정부가 한목소리만 내는 중국 풍토에서 이 같은 비판은 드문 일이다. 광둥(

    중앙일보

    2004.08.11 06:28

  • 고병익 前 서울대 총장 영전에

    고병익 前 서울대 총장 영전에

    "잠깐이야!" 두달 전 선생님께서 혼수 상태에 들어가신 것 같다는 큰 따님(고혜령 박사)의 다급한 연락을 받고 병실로 달려갔을 때 선생님께서 제게 하신 말씀이지요. 아마도 그 순간

    중앙일보

    2004.05.20 18:55

  • 백제 지배층 고분 전시관 익산시 웅포면에 문 열어

    백제시대 지배계층의 유적인 입점리 고분(국가사적 347호) 전시관이 익산시 웅포면에 문을 열었다.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의 하나로 지난 2000년부터 총사업비 58억원이 투자된 입점리

    중앙일보

    2004.04.25 20:20

  • 사학계 태두 김석형의 아들·손자, 민족사 연구 대물림 3대

    북한에 3대에 걸친 역사학자 집안이 탄생해 화제다. 북한역사학계의 태두(泰斗)인 김석형(金錫亨.(右)) 전 사회과학원장(1915~96)과 그의 둘째 아들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강

    중앙일보

    2004.03.30 09:20

  • 北사학계 태두 김석형의 아들·손자, 민족사 연구 대물림 3대

    사학계 태두 김석형의 아들·손자, 민족사 연구 대물림 3대

    북한에 3대에 걸친 역사학자 집안이 탄생해 화제다. 북한역사학계의 태두(泰斗)인 김석형(金錫亨.(右)) 전 사회과학원장(1915~96)과 그의 둘째 아들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중앙일보

    2004.03.29 17:15

  • 동북공정 실무책임 리성 주임을 만나다

    동북공정 실무책임 리성 주임을 만나다

    ▶ 리성 중국 변강사지연구중심 주임(右)과 이길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산하 국제한국문화홍보센터 소장. 중국 학계에서도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보는 시각은 소수 학설에 불과했으나

    중앙일보

    2004.03.21 17:55

  • [마이너리티의 소리] 한민족 뿌리찾기에 더 관심을

    3월이 오면 중국에서 불어 닥칠 황사가 한류의 미몽 속에 즐거워하고 있는 우리의 건강을 위협할 것이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수출을 걱정해야 하는 한국은 재계 지도자들의 눈치를 보며

    중앙일보

    2004.02.25 18:49

  • [week& cover story] 1940년대 '황금백합 작전' 전설

    "일본군에 밭을 뺏기고는 만주로 쫓겨갔어. 광복 후에 와 보니 평평하던 내 밭에 푹 꺼진 웅덩이가 있더라고. 다들 그러는데 일본군이 그 자리에 깊이 굴을 팠다가 폭파시켜 메웠대.

    중앙일보

    2004.02.19 15:23

  • [문화] 휘둘리고 흔들린 조선末 양반

    "밤새 집안에 별일 없었느냐? 오늘도 새벽에 일어나 중용(中庸)을 읽으며 모르던 뜻을 이해해가니 재미가 쏠쏠하다. 세상의 변화가 끝이 없지만 그냥 내버려 두고 이 일을 즐기는 것으

    중앙일보

    2004.01.27 18:31

  • [집중 토론] 중국의 고구려史 왜곡 막으려면

    [집중 토론] 중국의 고구려史 왜곡 막으려면

    *** 참석자 ▶崔 光 植 고려대 교수.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위원장 ▶安 秉 佑 한신대 교수.교과서 운동본부 교과서 위원장 ▶尹 輝 鐸 동아대 연구교수.한.중.일 역사교재위원

    중앙일보

    2003.12.03 18:51

  • [시론] 청계천, 역사·문화 복원하라

    서울이 우리나라의 수도로 정해진 지도 6백년이 넘었다. 이 기간에 청계천은 서울 사람들의 삶의 현장을 가로질러 흐르면서 문화와 역사를 지켜보며 간직해 왔다. 그리하여 청계천은 성곽

    중앙일보

    2003.09.19 18:00

  • [사람 사람] 하버드대서 한국어로 한국사 강의

    서울대 국사학과의 이태진(60)교수가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영어가 아닌 한국어로 조선시대 역사를 강의할 예정이어서 눈길을 끈다. 오는 9월 15일부터 내년 1월까지 한 학기 동안 이

    중앙일보

    2003.08.27 17:57

  • [중국의 고구려사 빼앗기] '동북공정' 연구목록 입수

    지난달 15일 중앙일보에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을 위한 '동북공정(東北工程)' 프로젝트가 보도된 이후 국내 사학계의 관심은 첨예화했다. '동북공정'프로젝트는 최근 급변하는 동북아 정

    중앙일보

    2003.08.05 18:47

  • [고조선부터 백두산 국경문제까지 망라] 국내 사학계의 반응

    서명국(62) 대진대 사학과 교수는 지난 4월 중국 길림성동북사범대학 역사계(系.과) 권혁수 교수로부터 편지 한 통을 받았다. 서교수가 1997년 혜안출판사에서 펴낸 '고구려제국사

    중앙일보

    2003.08.05 18:46

  • [문화] 이우혁씨 신작 '치우천왕기'

    [문화] 이우혁씨 신작 '치우천왕기'

    PC 통신 연재로 시작해 1994년 책으로 묶여 나오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국내 팬터지 문학의 대표작 자리를 굳혔던 소설 '퇴마록'의 저자 이우혁(38)씨가 신작 장편소설 '치

    중앙일보

    2003.07.22 18:00

  • [축하합니다] 성곡학술문화상 수상

    [축하합니다] 성곡학술문화상 수상

    성곡학술문화재단(이사장 홍승희)은 24일 '제18회 성곡학술문화상'수상자로 인문사회과학 부문에서 차하순(73.사진(左))서강대 명예교수, 자연과학 부문에서 박재갑(55.(右))국립

    중앙일보

    2003.06.24 18:01

  • [지식/교양] '일그러진 근대'

    일그러진 근대/박지향 지음, 푸른역사, 1만3천원 영국사를 전공한 박지향(50.서울대 서양사학과)교수의 창끝은 한국 사학계의 심장을 겨눈다. 국권 상실과 뒤이은 분단과 전쟁, 실패

    중앙일보

    2003.05.23 16:54

  • [지식/교양] '세계사 산책-서양 고대'

    세계사 산책-서양 고대/김창성 편저, 2만3천원 20여년간 서양고대사를 전공한 저자가 인류의 기원부터 로마제정 멸망까지를 원사료를 바탕으로 꼼꼼하게 조명했다. 저자는 강의록과 서양

    중앙일보

    2003.04.18 16:20

  • 제주 관덕정 원상 복원

    제주의 대표적 건축문화재로 손꼽히는 관덕정(觀德亭·보물 322호)이 전면 해체 후 복원된다. 제주시는 1일 문화재청이 최근 전문기관에 맡긴 복원 설계용역 결과가 나오면 6월부터 2

    중앙일보

    2003.04.01 20:34

  • "관람객에 즐거움 주는 박물관 만들 터"

    "어깨가 무겁습니다. 함께 관장 공모에 응해 경쟁했던 다른 후보들에게 죄송스럽기도 하구요. 앞으로 중앙박물관에 어려운 현안이 있을 때 마다 주저없이 그분들에게 연락해 협조를 구할

    중앙일보

    2003.03.31 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