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독서실 총무가 청와대 총무로

    청와대의 살림을 맡을 총무비서관에 최도술(崔道術.56)씨가 내정됐다. 崔씨는 노무현 당선자의 '영원한 사무국장'으로 불리는 인물. 지난 대선 때도 부산시 선대위에서 선거를 도왔다.

    중앙일보

    2003.02.13 22:20

  • [운동권, 신주류로 뜬다] 2. 80년 봄 주역들 이젠 정치판 核

    [운동권, 신주류로 뜬다] 2. 80년 봄 주역들 이젠 정치판 核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 내정자. 신계륜 당선자 인사특보. 이해찬 민주당 의원. 한나라당 소장 개혁파인 심재철.김부겸 의원. 유시민 개혁국민정당 전 대표. 이들은 23년 전인 19

    중앙일보

    2003.02.13 18:36

  • [운동권 신주류로 뜬다] 1. 민청학련 3인 '권부 핵심' 진입

    [운동권 신주류로 뜬다] 1. 민청학련 3인 '권부 핵심' 진입

    "이철 사형, 유인태 사형, 김지하 사형…." 1974년 7월 13일 비상보통군법회의는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 피고인들에게 선고를 내리고 있었다. 민청학련 사건이란 이

    중앙일보

    2003.02.12 18:20

  • [40년지기들이 말하는 盧당선자 됨됨이] 너무 소탈한 성격

    "유근아, 반갑다. 니 목소리 들으니까. 사업 잘되나? 잘된다고 들었다." 지난 16일 오후 정유근 대양상선 사장은 서울 을지로에 있는 사무실에서 노무현(盧武鉉)당선자의 전화를 받

    중앙일보

    2003.01.28 19:15

  • "노무현은 자본주의 마인드 당연히 갖췄다"

    "유근아,반갑다. 니 목소리 들으니까. 사업 잘되나? 잘된다고 들었다." 지난 16일 오후 정유근(鄭有根)대양상선 사장(56)은 서울 중구 다동에 있는 자신의 사무실에서 노무현(盧

    중앙일보

    2003.01.28 19:15

  • 盧당선자 자택관음죽, 꽃필때마다 '좋은 일'

    노무현(盧武鉉)대통령당선자와 관음죽(觀音竹)에 얽힌 이야기가 최근 측근 인사들과 지인들 사이에서 화제다. 盧당선자가 1978년 변호사 개업을 했을 때 사법시험 동기생(17회)인 부

    중앙일보

    2003.01.28 06:21

  • 밤정치 주무대 인사동으로

    밤정치 주무대 인사동으로

    '노무현 사람들'이 정치권의 풍속도를 바꾸고 있다. 식사 장소와 먹는 음식, 심지어 사는 곳까지 과거 정권의 핵심들과 다른 특징을 보인다. 우선 밤정치의 주된 무대가 바뀌었다.

    중앙일보

    2003.01.25 07:32

  • 문재인 민정수석 내정자 "국정원 등 권력기관 개혁"

    노무현(盧武鉉) 당선자가 오랜 민주화운동의 동지인 문재인(文在寅) 변호사를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으로, 이호철(李鎬喆)씨를 민정비서관으로 내정한 것은 시중의 민심을 여과없이 생생히

    중앙일보

    2003.01.23 18:26

  • 한나라 "첫 내정자 철저 검증"

    노무현 대통령당선자가 새 정부 첫 국무총리로 고건 전 총리를 내정함에 따라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高전총리는 최근 "1998년 서울시장 선거를 거치면서

    중앙일보

    2003.01.22 06:52

  • 지자체 반목 벗고 공조 바람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의 공조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지방 분권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지자체들이 지역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현안 해결에 힘을 모으고

    중앙일보

    2003.01.20 20:56

  • '지방문화 사랑방' 향토잡지 창간 바람

    '지방문화 사랑방' 향토잡지 창간 바람

    '지역을 생각하고 지역 사람들의 생각을 담는다'. 지역 향토잡지의 창간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2~3년 전부터 꾸준하게 제기돼 온 지방분권 요구와 노무현 대통령당선자의 지역균형발전

    중앙일보

    2003.01.16 19:16

  • [노무현 인맥지도] 6. 386참모 당·청 교통정리

    [노무현 인맥지도] 6. 386참모 당·청 교통정리

    지난해 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당선자 비서실의 안희정(安熙正) 정무팀장을 비롯한 '386'(30대.80년대 학번.60년대 출생) 참모들이 모였다. "2004년 총선 때 지역구에

    중앙일보

    2003.01.12 18:49

  • [노트북을 열며] 인수위 명단 보고 놀란 까닭

    "경제 1.2분과의 위원 8명 중 2명만 알고 다른 사람들은 이름도 들어본 적이 없다. "지난해 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 명단이 발표된 뒤 어느 경제부처 장관이 한 말이다. **

    중앙일보

    2003.01.09 19:00

  • 보름간 각부처 업무 파악 주요사안은 현장검증도

    30일 출범한 대통령직 인수위의 업무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정무·경제 등 인수위 6개 분과가 해당 부처의 주요 현안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새 정부의 대응 방향을 마련한

    중앙일보

    2002.12.31 00:00

  • 골프연습장 찾은 盧

    노무현 대통령당선자는 29일 명륜동 자택에서 전문가들과 북 핵문제 해법을 논의하면서 쉬는 시간에 부인 권양숙(權良淑)여사와 함께 인근 골프연습장에서 1시간 가량 운동을 했다. 盧

    중앙일보

    2002.12.30 00:00

  • 노무현 당선자에 바란다:개혁독재 유혹을 버려라

    치열한 선거를 거쳐 21세기를 여는 새 대통령으로 노무현 후보가 당선됐다. 이번 선거를 통해 변화한 국민의식만큼이나 사회변화에 대한 요구가 확인됐다. 아울러 이런 변화가 가져올

    중앙일보

    2002.12.21 00:00

  • [대선 지역별 득표 분석]盧, 서울은 서초·강남서만 져

    제16대 대통령 선거는 민주당 노무현(盧武鉉)당선자의 승리로 끝났다. 이번 대선의 최대 승부처는 수도권과 충청권, 그리고 부산·경남(PK) 등 세곳이었다. 盧당선자는 '세대 교체

    중앙일보

    2002.12.21 00:00

  • [막오른 노무현시대]盧당선자 일대기

    노무현은 승부사다. 그러나 14년의 정치인생 동안 승부사로서의 그의 성적표는 그리 신통하지 못했다. 그는 무려 네 차례의 자기 선거에서 패배했다. 하지만 그의 패배는 '실패'로

    중앙일보

    2002.12.20 00:00

  • [막오른 노무현시대]盧당선자 일대기: 도전 또 도전하는 '오뚝이 승부사'

    노무현은 승부사다. 그러나 14년의 정치인생 동안 승부사로서의 그의 성적표는 그리 신통하지 못했다. 그는 무려 네 차례의 자기 선거에서 패배했다. 하지만 그의 패배는 '실패'로

    중앙일보

    2002.12.20 00:00

  • [권양숙 여사]남편 정치 인생에 가장 든든한 후원자

    19일 대통령선거로 청와대의 새 안주인이 되는 권양숙(權良淑)여사는 노무현 당선자만큼이나 파란만장한 일생을 살아왔다. 고교(계성여상)를 3학년 2학기까지 마쳤지만 불우한 가정환경

    중앙일보

    2002.12.20 00:00

  • [막오른 노무현시대]노무현의 사람들:3金 계보정치 거부한 '통추'가 핵심

    노무현(盧武鉉)대통령 시대의 개막은 "개혁세력이 더 이상 저항세력이 아니라 중심세력으로 정치의 전면에 서게 된 것"이라고 정치권의 한 인사는 평했다. '대통령 노무현'을 만든 사

    중앙일보

    2002.12.20 00:00

  • 이회창 '대세론' 굳혀가다 문턱서 또 낙마

    1997년 대통령선거에서 39만5백표 차로 석패했던 이회창. 2002년 그에게 다시 똑같은 악몽(惡夢)이 재현됐다. 역대 선거의 어느 당선자보다 많은 1천1백40여만표를 받고도

    중앙일보

    2002.12.20 00:00

  • 단체장 홈페이지 선거 때만 '반짝'

    조해녕 대구시장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만들었던 인터넷 홈페이지는 지난 4일 曺시장의 취임사 게시를 끝으로 운영을 멈춘 상태다. 취임 이후 자유게시판에 올라온 글 6건 가운

    중앙일보

    2002.07.11 00:00

  • 자치단체장 취임식 날짜 혼선

    정부가 월드컵 선전을 기념해 7월 1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자 서울 등 전국 상당수 자치단체들이 신임 단체장 취임식을 2일로 하루 늦췄다. 그러나 행정자치부는 예정대로 1일에

    중앙일보

    2002.06.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