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픽댓] 사진 한 점 안 남긴 명성왕후, 살해 배후는 흥선대원군?

    [픽댓] 사진 한 점 안 남긴 명성왕후, 살해 배후는 흥선대원군?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 2015년 공연 장면. [사진 서울예술단] 조선의 발전을 가로막은 장본인인가, 일본의 침략에 희생된 '성녀'인가 명성왕후는 조선 역사에서 가

    중앙일보

    2020.07.26 16:00

  • 공론화 없이 추진한 개화….. 실패는 필연

    공론화 없이 추진한 개화….. 실패는 필연

    청일전쟁의 참화 청일전쟁이 벌어진 평양 선교리의 모습이다. 고종이 청국군의 파병을 요청한 뒤 이 땅에서 청일전쟁이 벌어졌다. 사진가 권태균   【총평】 ? 일본은 청.일 전쟁에서

    중앙선데이

    2016.08.07 00:06

  • 고종, 동학 막으려다 외세 침탈 자초

    고종, 동학 막으려다 외세 침탈 자초

    【총평】 일본이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인 보호를 위해 군대 파병의 움직임을 보이자, 청은 신속히 군대를 파병했다. 청은 흥선 대원군을 군란의 책임자로 몰아 톈진으로 압송함으로써 일

    중앙선데이

    2016.07.31 00:06

  • [백가쟁명:유주열] 다시 을미년(乙未年)이다

    을미년 새해가 된다. 을미년 하면 120년 전 ‘을미사변’을 떠 올리지 않을 수 없다. 조선 왕조의 국모 명성황후가 왕궁에서 일본의 낭인에 의해 처참하게 시해된 사건이다. 치욕의

    중앙일보

    2014.12.29 13:01

  • 김옥균은 친일파였을까, 그의 라이벌도 아니라 한다

    김옥균은 친일파였을까, 그의 라이벌도 아니라 한다

    김옥균이 주도한 갑신정변(1884)은 한국사에서 근대국가 건설을 위한 최초의 정치적 개혁운동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자신들의 정적이자 집권 핵심세력이던 민씨 일파 살해라는

    중앙일보

    2014.07.09 00:24

  • 나라 무너뜨린 무능한 왕인가, 시대에 발목 잡힌 불운한 왕인가

    나라 무너뜨린 무능한 왕인가, 시대에 발목 잡힌 불운한 왕인가

    신문활용교육 (NIE·Newspaper In Education) 지면이 새롭게 바뀝니다. 시사 이슈를 다뤘던 기존의 ‘시사 NIE’는 잠시 쉬고,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역사 속

    중앙일보

    2014.02.05 00:01

  • [글로벌 아이] 갑신정변과 이어도의 하늘

    [글로벌 아이] 갑신정변과 이어도의 하늘

    정용환베이징 특파원 일전에 중국의 개인 사료 소장가가 고(古)서적을 보여 준 적이 있다. ‘역당(逆黨) 김옥균·박영효·홍영식·서광범·서재필…’로 시작하는 갑신정변(甲申政變) 사건

    중앙일보

    2013.11.30 00:34

  • 김응수·방의석, 맨손으로 운수업 일으킨 ‘자동차왕’

    김응수·방의석, 맨손으로 운수업 일으킨 ‘자동차왕’

    1930년대 경주 고적유람 택시. 1926년 스웨덴(瑞典) 왕세자 구스타프 아돌프가 경주 봉총(鳳塚)을 방문해 이름을 서봉총(瑞鳳塚)이라고 지었을 정도로 경주는 유명 관광지였다.

    중앙선데이

    2012.12.09 00:21

  • "고종은 개화 추진한 개혁파"

    1997년 논문 '고종황제의 암약설(暗弱說) 비판' 을 통해 '고종 다시 보기' 를 시도했던 서울대 국사학과 이태진(57) 교수가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집성한 단행본 '고종시대의 재

    중앙일보

    2000.08.09 00:00

  • [줌인]KBS '용의 눈물' 세자빈役 안연홍…사극통해 모진 삶 간접체험

    태조 이성계의 타계로 슬픔에 빠져있는 태종을 아랑곳하지 않고 기방을 드나드는 세자 양녕의 파격적 행동으로 KBS '용의 눈물' 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이 드라마의 갈등축

    중앙일보

    1998.02.11 00:00

  • ◇김옥균=1894년 피살. 구한말 개화기의 정치가·혁명가. 1884년 갑신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나 3일만에 청군의 출동으로 실패·일본 망명후 민씨 일파에 매수된 홍종우에 의

    중앙일보

    1992.03.28 00:00

  • 격동의 구한말 생생한 증언|알렌 미공사 일기 완역

    구한말 한-미 외교의 중심 축 역할을 했던 HL 알렌의 일기가 단국대 김원모 교수에 의해 6년만에 완역, 출간됐다. 의사였던 알렌은 1884년 장로교 선교사로 내한한 이래 1905

    중앙일보

    1991.07.05 00:00

  • 민영환의 순절|"죽기를 기약하면 살아남는다"

    (구차스레 살려고 하는 자는 반드시 죽게 되고, 죽기를 기약하는 자는 영원한 생을 얻을 것이다.) 살기를 좋아하고 죽음을 싫어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구차스레 목숨을 부지하

    중앙일보

    1981.04.18 00:00

  • 5천년을 이어온-민족의 슬기 (19)|매천 황현과 절명시

    구한말 일제가 조선 침탈 야욕을 노골화하자 망국을 지켜보고 있던 이 땅의 지식인들은 대략 네가지 길을 택했다. 가장 많이 택한 것은 의병. 유인석·최익현·민종식·신돌석 등 전국 각

    중앙일보

    1977.07.06 00:00

  • 역사의 뒤안

    「오오쓰(대진) 사건」이라는 것이 있다. 우리는 생소하지만, 일본의 근세사에선 극히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한다. 일명 「호남 사건」이라고도 한다. 1891년 4월 「러시아」의 황태자

    중앙일보

    1974.08.22 00:00

  • (6)흥선대원군의 별장|아소정

    임금도 신하도 아니었던 섭정 흥선대원군의 별장 아소정은 그의 영화와 곤욕이 한데 응결됐던 곳. 지금은 간곳없이 사라지고 다만 목재와 석재만이 신촌 새절 한귀퉁이에 남아 있을 뿐이다

    중앙일보

    1970.03.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