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3)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67년의 「캠페인」|무대예술-대표집필 여석기

    한국연극이 현재 어디까지 와 있으며 앞으로의 전망이 어떤 것이냐에 대한 평가 및 판단에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합의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중앙일보

    1967.10.26 00:00

  • 소설 - 서기원

    ◇…문예지와 종합지를 중심으로 이달의 주요작품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김동리 「감람수풀」, 방영웅 「분례기-제2부」, 박용숙「매장」, 홍성원 「어둡고 아늑한곳」, 이청준「마기의죽

    중앙일보

    1967.09.19 00:00

  • 악령의 폭탄

    18일 북평의 거리는 수십만 시위 군중들로 메워졌다. 고성능이 확성기, 북과 꽹과리 소리는 중국대륙을 온통 들썩거리게 만들었다. 같은 날짜 해방군보는 『어떠한 핵무기·정치이념·제국

    중앙일보

    1967.06.19 00:00

  • 미 대학생들의 「공부전쟁」

    우리 대학생은 대체로 공부를 열심히 안 하는 모양이다. 문교부는 올해는 「공부하는 대학을 만들자」는 구호를 내걸었다. 구호를 내걸어야 공부를 한다면 한심한 일이다. 미국의 대학생은

    중앙일보

    1967.04.04 00:00

  • (2) 2번 주자 - 박경리 여사

    박경리 여사는 꼬박 5개월을 쉬었다. 가으내 겨우내 그는 도무지 붓을 들지 않았다. 『의식적으로 그랬어요. 창작생활을 하자면 의지도 중요하지만 체력이 그것을 감당할 수 있어야 된다

    중앙일보

    1967.02.28 00:00

  • 전장에서 온 편지 「물결은 메콩강까지」의 작가가 - 선우휘

    소설가란 무엇을 꼭 보고 써야 하는 것 도 그럴 수 있는 것 도 아니다. 이광수씨나 김동인씨는 수양을 만난 것도 아니며 그 시대를 산것도 아니지만 수양대군(세조)을 그려내었고 요즘

    중앙일보

    1967.01.17 00:00

  • 제삼세대가 본 66년의 문화계|송년좌담회

    본지 신년호부터 8회에 걸쳐 각 분야별로 연재한 제3세대의 주인공들-. 그들은 「66년의 문화계」를 어떻게 보나. 여기 그들은 한자리에 모아 송년좌담회를 마련해 본다. 그 가운데

    중앙일보

    1966.12.29 00:00

  • "혼혈아의 밝은 미래를 위해"|재단 통해「반미국인」돕겠다|내한한 펄벅여사환한 웃음

    세계적인 미 여류 작가 「펄벅」여사가 17일 하오 1시10분 일본 항공편으로 다시 한국을 찾았다. 전쟁과 더불어 미국이 세계곳곳에 씨를 뿌린 혼혈아들에 대한 양심적 책임감을 느껴

    중앙일보

    1966.10.18 00:00

  • 신문의 미래상

    -「다이얼」을 A로 돌리자「텔리비젼」밑에 있는 이상한 기계는 별 잡음도 없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흰 종이가 삐죽이 솟아오르고 있다. 그 위에는「중앙일보」라고 가로 쓴 제호 밑에 화

    중앙일보

    1966.04.09 00:00

  • 제자·방인근씨|춘해-방인근

    『이제부터라도 하는 생각이 있지만 그것도 정력이 있어야지. 지금은 늙고 힘이 없는게 유한이다』- 방인근 저「황혼을 가는 길」에서-. 춘해가 꼭 따르고 싶던 사람들이 있었다. 예수·

    중앙일보

    1966.04.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