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1)|전남 진도군

    진도개의 본산지로 이름난 진도군은 우리 나라에서 세번째로 큰 진도 본섬 (334평방킬로)을 비롯해서 대·소 2백26개 (유인도 58·무인도 168)의 도좌를 거느리고 있다. 한반

    중앙일보

    1966.10.20 00:00

  • 섬광 터지면 주홍 빛「무희의 군무」

    여기는 동굴 속일까? 칠흑 같은 암흑이 다가선다. 도무지 지척을 분간할 수 없다. 미궁 속에 휘말려든 것은 아닐까? 가슴이 두근 거린다. 심산 계곡은 바닷 속에도 있다. 그 계곡,

    중앙일보

    1966.08.18 00:00

  • (2)울산시·울주군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태화강과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동천이 맞닿는 곳, 울산은 천연의 양항과 이수삼산의 평야로 행운의 공업 「센터」 건설지로 지정 받았으나 정유공장 하나만이 세워졌

    중앙일보

    1966.08.11 00:00

  • 등대|11종류 3백9개에 백54명

    바다위로 오고가는 배에 밝은 빛과 맑은 소리를 보내주어 뱃길의 안전을 돕기 위한 것. 바다의 눈이 되고 귀가되는 등대가 서있는 외로운 섬. 떨어진 언덕 배기에는 뭉게구름과 갈매기만

    중앙일보

    1966.06.28 00:00

  • 「문명의 혜택」 정착|울릉도에 발전소

    포항에서 열 한 시간. 닷새에 한 번 밖에 배편이 없는 동해의 외딴 섬-. 울릉도에 개발의 꿈이 여물어가고 있다. 그 첫 번째 열매가 지난 3일 준공된 추산 수력발전소. 출력이 불

    중앙일보

    1966.05.13 00:00

  • (6)세계대열… 그 속에 우리작품을

    해마다 미국의 권위있는 음악 「콩쿠르」에서 한국의 젊은 음악인들이 보여준 탁월한 재능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그들 대부분은 아직 20대전후의 청소년 소녀들. 좀 억지를 부리자면

    중앙일보

    1966.03.05 00:00

  • 연구직 4급=4천 원

    정부는 공무원 제 수당 규정을 개정, 1월 1일부터 소급 실시한다. 총무처는 이 공무원수당지급규정 개정안에서 특수직 근무수당의 종류를 ⓛ일반 공무원 ②등대근무 공무원 ③우체국 및

    중앙일보

    1966.02.03 00:00

  • 「사랑의 지도」한 성직자의「인간기록」저작 고종옥 신부를 찾아-전충림 통신원

    신년의 기본이 아직 거리에서 감돌고 있는 어느 추운 날 아침 기자는「캐나다」에서 불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도시「몬트리올」시의 어느 성당 앞에 차를 멈췄다. 기자는 지금 서울과 불란서

    중앙일보

    1966.01.29 00:00

  • 「사랑의 지도」한 성직자의「인간기록」저작 고종옥 신부를 찾아-전충림 통신원

    신년의 기본이 아직 거리에서 감돌고 있는 어느 추운 날 아침 기자는「캐나다」에서 불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도시「몬트리올」시의 어느 성당 앞에 차를 멈췄다. 기자는 지금 서울과 불란서

    중앙일보

    1966.01.29 00:00

  • 철도건널목의 여간수|밀양역 가곡동 죽은 남편 대신한 이 여사

    기적소리가 목쉰 듯 멀리 메아리져 나갔지만 이 기적소리를 삶의「시그널」로 삼고 이곳에 등대처럼 서 지키고있는 한 여인. 밀양역 가곡동 철로 건널목 간수 이병화(37·가곡동 440)

    중앙일보

    1966.01.27 00:00

  • 거진에 새 등대

    동해인 거진 앞바다에 30만촉광에 광달거리 25「마일」의 대형 등대가 준공되어 28일 하오2시 현지에서 점등식을 거행했다. 이 등대는 총공사비 9백16만원으로 세워진 것이다.

    중앙일보

    1965.12.28 00:00

  • 박대통령이 위로금

    17일 상오 박정희 대통령은 지난 16일에 열린 지방장관·시장·군수·구청장대회에서 상록수 공무원으로 표창 받은 강원도 인제군 재무과 재경주사보 고 서정희씨의 미망인 김주영(22)씨

    중앙일보

    1965.12.17 00:00

  • 독도는 한국땅이 분명하오

    일제때 서울전역의 수도는 자기가 놓았다는 일본인 실업가가 한국을 돕겠다고 과수재배 등에 관한 20여권의 농업서적을「룩색」에 메고 그가 떠난지 19년만에 한국땅을 다시 밟아 자못 감

    중앙일보

    1965.10.22 00:00

  • 무적의『용호』…적전포진|「베트공·이잡기」첫 작전|「날르는 탱크」포탄세례

    월남전쟁은 이미 월남만의 전쟁이 아니었다. 5천의 청룡해병이「캄란」만에 얼룩철모를 누비고 1천여 맹호선발대가「퀴논」만에 상륙했을 때 더욱 그러했다. 한달 전만 해도「캄란」과「퀴논」

    중앙일보

    1965.10.14 00:00

  • (상)한국의 새벽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 새벽이 찾아온다. 다시 동이 트는 새벽에 보다 나은 날을 기대해보는 버릇이 믿음처럼 굳어진 땅. 새벽에 일어난 큰일들은 많았어도 새벽을 찬미한 시와 노래는

    중앙일보

    1965.09.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