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휴가치국평천하인데 휴가다운 휴가 갔어야

     ━ 이호영의 동양학 가라사대 한풀 꺾였다지만 아직 태양은 휴가를 명한다. 휴가는 재충전이다. 복지사회가 지향하는 ‘저녁이 있는 삶’이 말하는 바도 휴가와 여가일 것이다. 서양 개

    중앙선데이

    2017.08.13 01:00

  • 억울한 희생자 낳는 거짓 도덕주의자들

     ━ 동양학 가라사대 가짜 도덕이 세상을 채우고 마녀사냥도 서슴지 않는다. 노랫말에 시비 걸고, 책의 글 몇 줄 뽑아 여성혐오로 단죄한다. 이런 가짜 도덕 현상을 청(淸)나라 유학

    중앙선데이

    2017.07.09 01:06

  • 주입만하는 지식 이젠 설자리 없다

     ━ 동양학 가라사대 대선을 지나면서 진보지식인에 대한 비판이 비등하다. 대중은 진보지식인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진보지식인이 진보정권을 왕따시켰다는 것이다. 이를 1968년 혁명

    중앙선데이

    2017.06.11 01:07

  • 존경·자애 놓치면 어르신에서 꼰대로 그게 보수의 위기

     ━ 동양학 가라사대 정치는 존경(尊敬)을 먹고 산다. 이 점 보수는 더하다. 노인은 자애(慈愛)와 지혜(智慧)의 상징이기에 존경받는다. 하지만 보수 후보의 자애는 막말이었고 지혜

    중앙선데이

    2017.05.14 00:30

  • 금수저·흙수저… 쇠수저가 빠졌다

    금수저·흙수저… 쇠수저가 빠졌다

     ━ 동양학 가라사대  선거철의 흙수저는 서민을 상징한다. 하지만 진짜 흙으로 만든 수저로는 밥을 못 먹는다. 흙수저는 은유일 뿐이고 모든 한국인 앞에 놓인 현실은 쇠수저다. 금수

    중앙선데이

    2017.04.16 00:34

  • 개인이 보석이어야 세상도 빛난다

     ━ 동양학 가라사대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나보다 우리, 분열보다 통합, 개인보다 ‘관시(關係)’를 강조한 말이다. 관시는 동양을 일통하는 핵심어다. 가족, 집단,

    중앙선데이

    2017.03.19 01:27

  • 도로, 차 그리고 道

    도로, 차 그리고 道

     ━ 동양학 가라사대  중국 칭다오(靑島)에서 선물한 공자상이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바다를 바라보고 서있다. [중앙포토] 서세동점(西勢東漸)이던 19세기 말 서양의 무기와 과학의 공

    중앙선데이

    2017.02.19 01:36

  • 중화, 대국의 이빨

    중화, 대국의 이빨

    자칭 ‘중국’이라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이빨을 드러냈다. ‘가운데 나라(中國)’ ‘큰 나라(大國)’, 이 모두를 합쳐 ‘중화(中華)’라 한다. 음식점 상호 같지만 살 떨리는 말이

    중앙선데이

    2017.01.22 00:26

  • 소통하는 자가 민주주의 성군

    똑똑한 지도자(明君)가 이끄는 선한 정부는 누구나 바라는 이상일 것이다. 유교(儒敎)도 덕(德)을 베푸는 선한 정치가 이상이다. 선한 엘리트가 몽매한 국민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

    중앙선데이

    2016.11.20 00:26

  • ‘배움을 통해 사람이 되어가는 것’

    ‘배움을 통해 사람이 되어가는 것’

    “우리 자신에 대해 이해하려면 다른 사람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숭실대학교(총장 한헌수)가 11월 17일 교내 한경직기념관에서 개최한 ‘제5회 숭실석좌강좌‘에서 유학사상의 최고

    온라인 중앙일보

    2016.11.18 13:39

  • 유학의 지혜로 인류의 미래를 묻는다

    유학의 지혜로 인류의 미래를 묻는다

    숭실대학교(총장 한헌수)는 유학사상의 최고 권위자이자 전통 유학의 현대화를 선도하고 있는 뚜 웨이밍을 초청해 11월 17일 오후 7시 교내 한경직기념관에서 ‘제5회 숭실석좌강좌’를

    온라인 중앙일보

    2016.11.15 11:22

  • 공자의 和而不同 이미 흘러간 이상 자유와 평등이 답

    공자의 和而不同 이미 흘러간 이상 자유와 평등이 답

    어느 세계나 이상사회(理想社會)에 대한 동경이 있다. 유토피아(Utopia)란 ‘없는 곳’이지만 종종 사람들은 지나간 과거의 이상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동양 사회, 동양의 이상도

    중앙선데이

    2016.10.16 00:27

  • 감각·질서보다 깊은 곳에 있는 장자의 ‘혼돈’

    감각·질서보다 깊은 곳에 있는 장자의 ‘혼돈’

    혼돈의 신 제강(帝江) 『장자(莊子)』에는 온갖 이상한 녀석들이 들끓는다. 몸길이 수천 리의 물고기 곤(鯤), 엄청난 크기의 새 붕(鵬), 수천 년을 살아온 나무 신령, 해골 유

    중앙선데이

    2016.09.18 00:30

  • ‘주왕은 미친 폭군’ 쿠데타로 집권한 주나라의 프레임

    중국 은(殷)나라 주왕(紂王)은 ‘미친 폭군’의 대명사였다. 주지육림(酒池肉林)을 만들고 포락지형(?烙之刑)으로 신하들을 고문했다. 하지만 이 스토리는 갑골문 발견으로 날조임이

    중앙선데이

    2016.08.21 00:27

  • 유교 원리주의자 테러 무기는 ‘불륜’

    유교에서는 죽은 자의 호칭을 벼슬로 대신한다. 벼슬을 못한 사람은 ‘학생’이라 한다. 그래서 지방(紙榜)에 아버지 이름 대신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 올린다. 유교

    중앙선데이

    2016.07.24 00:30

  • 공자의 진짜 속내는 함께 하는 즐거움

    공자의 진짜 속내는 함께 하는 즐거움

    수십 년을 함께 노래해온 록그룹 롤링스톤즈. 오랫동안 기쁨과 슬픔을 같이한 친구라 할 수 있다. [shutterstock] 함께 하는 즐거움. 이게 바로 공자(孔子) 철학의 요지

    중앙선데이

    2016.06.26 00:30

  • [현장르포] ‘남방불교’의 본산 스리랑카를 가다

    [현장르포] ‘남방불교’의 본산 스리랑카를 가다

    부처의 치아사리 보관한 불치사는 스리랑카 70% 불교인들이 평생에 꼭 한번 참배하는 곳… ‘구전(口傳) 불교’를 나뭇잎에 처음 기록한 패엽경(貝葉經) 제작해 불경(佛經)의 맹아 싹

    온라인 중앙일보

    2016.06.26 00:01

  • ‘귀중한 성보’ 부처님 치아 모시고 살아있는 듯 정성으로 예불·공양

    ‘귀중한 성보’ 부처님 치아 모시고 살아있는 듯 정성으로 예불·공양

    기원전 3세기 인도 부다가야에서 스리랑카 아누라다푸라 지역에 옮겨 심은 보리수. 배영대 기자 ‘인도양의 진주’로 불리는 스리랑카. 인도 대륙 동남단에 위치한 이 섬나라는 대소(大

    중앙선데이

    2016.05.15 01:15

  • “사주는 결정론 아닌 가능론” 석·박사 따러 전문직 몰려

    “사주는 결정론 아닌 가능론” 석·박사 따러 전문직 몰려

    미래예측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서울 성북동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의 본관 전경(위)과 점집이 몰려있는 서울 미아리 점집 거리(아래). [중앙포토] 치과의사 강우석(57·서울 은평구)

    중앙선데이

    2016.02.14 01:09

  • 고미숙, 백수로 살고픈 인문학자

    고미숙, 백수로 살고픈 인문학자

    [여성중앙] 진중권의 여자 오디세이- 요즘 제일 잘나가는 인문학자 고미숙을 만났다. 요즘 제일 잘나가는 인문학자 고미숙에게 ‘주부라서’ ‘백수라서’ ‘학교를 안 다녀서’라는 변명은

    온라인 중앙일보

    2015.02.22 00:01

  • [브리핑] 단국대 31기 최고경영자 과정 모집 外

    단국대 31기 최고경영자 과정 모집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은 22일까지 31기 최고경영자 과정을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1993년 3월 문을 연 단국대 최고경영자 과정은 30기를

    중앙일보

    2015.02.06 00:40

  •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현존본보다 200년이나 오래돼 '충격!'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현존본보다 200년이나 오래돼 '충격!'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 [사진 중앙포토]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이 화제다. 지난 12일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단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 고승 원효대사의 대표 저술인

    온라인 중앙일보

    2015.01.13 14:43

  •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원효사상이 어디까지 미쳤을까?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원효사상이 어디까지 미쳤을까?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 [사진 중앙포토]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이 화제다. 지난 12일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단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 고승 원효대사의 대표 저술인

    온라인 중앙일보

    2015.01.13 14:10

  • 원효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현존본보다 200년이나 '어마무시!'

    원효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현존본보다 200년이나 '어마무시!'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 [사진 중앙포토] ‘대승기신론소 최고본 발견’이 화제다. 지난 12일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단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 고승 원효대사의 대표 저술인

    온라인 중앙일보

    2015.01.13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