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피로 얼룩진 60년 골육상쟁, 끝내 사죄 안 하다
━ 노비로 전락한 송익필 가족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사노(私奴) 송익필 형제를 체포하라! 주인을 배반하고 도망하여 숨은 죄인을 당장 잡아들이라는 왕의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과거는 유교국가 떠받치는 인재풀, 조선판 능력주의
━ 서양엔 없는 과거제 오항녕 전주대 사학과(대학원) 교수 “퇴계가 공부는 수양을 위한 것이라고 하면서도 자손에게 보낸 편지에는 과거 공부에 힘쓰라고 했거든. 퇴계도 자식
-
[유성운의 역사정치] '강남좌파' 원조···개혁가 조광조, 불공정 입시로 몰락했다
정암 조광조 적려 유허비. 전남 화순 능주 조광조 유배지의 영정. [중앙포토] ━ [유성운의 역사정치] “조광조 등을 보건대, 서로 붕당을 맺고서 저희에게 붙는 자는
-
500년 문화유산에서 세계유산된 '한국의 서원' 9곳은
도산서원. 퇴계 이황이 제정한 제향의례의 절차를 철저하게 지켜 한국 서원 제향의 정형을 이룬다. [사진 문화재청] 6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된 '한국의 서원' 9곳은 조선시대 대
-
[유성운의 역사정치]인간의 욕구를 통제한다고? 금주령 실패한 영조의 탄식
“술을 빚은 자는 섬으로 유배를 보내고, 술을 사서 마신 자는 영원히 노비로 소속시킬 것이며, 선비 중 이름을 알린 자는 멀리 귀양 보내고, 일반인들은 햇수를 한정하지 말고 수
-
[이코노미스트] 세기의 결혼을 바란다면 올바른 상대 찾기보다 올바른 상대가 되어야
부부관계 유지에는 부단한 희생 필요 … 사랑은 빵처럼 늘 새롭게 구워야 하는 것 마릴린 먼로가 뉴욕 메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케네디 대통령의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른 후 로버트
-
사랑도 시대도 새롭다 … 드라마로 뜬 격동의 대한제국
양반집 ‘애기씨’로 불리는 고애신(김태리 분)은 비밀리에 총술을 익혀 의병 조직과 함께 움직인다. 오른팔 노릇을 하는 이 집안 노비 함안댁(이정은 분)의 캐릭터와 연기 역시 호평
-
‘머슬퀸’ 된 바둑캐스터 김여원
지난달 ‘올림피아 아마추어 아시아 그랑프리’에 출전한 모습. [사진 김여원] “바둑과 운동은 스스로 한계를 이겨내야 한다는 면에서 닮은 점이 많아요.” 김여원(31) 바둑 캐
-
'머슬퀸'이 된 바둑캐스터 김여원 "바둑과 운동은 닮은꼴"
'2018 올림피아 아마추어 아시아 그랑프리' 비키니 노비스 부문 2위를 차지한 김여원 바둑캐스터. [사진 김여원 제공] "바둑과 운동은 스스로 한계를 이겨내야
-
영·정조도 쓰던 말 ‘백성의 나라’ … 실학은 ‘양반 편애’
━ [실학별곡 - 신화의 종언] ⑥ ‘민국’ 외면했는데 근대적인가 ‘민국’이란 말은 영·정조 때 이미 널리 쓰였다. 대한제국 시기 신문·잡지를 통해 일상화됐고, 대한민국
-
“역사에서는 성공이 실패의 어머니”
김환영의 책과 사람 (1)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의 저자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 인터뷰 대한민국 서울 광화문에는 조선‘왕조’ 인물인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 동상이 서
-
“서재필은 일제 밀정, 안중근은 고종 밀명 받고 거사”
━ 대한제국 관련 저서 4권 출간한 황태연 동국대 교수 올해 1월 『갑오왜란과 아관망명』을 출간한 황태연(62·사진) 동국대 교수가 지난주 『백성의 나라 대한제국』 『갑진왜란과
-
[7인의 작가전] 매창 ㅡ거문고를 사랑한 조선의 뮤즈ㅡ #9. 이 맑고 시린 공기는 누구의 것입니까? (1)
전쟁이 터지고 스무날도 안 돼 임금은 도성을 내놓고 북쪽으로 피난을 갔다. 사월 그믐날 어두운 새벽에 임금은 수행원 몇 사람과 함께 서대문을 빠져나갔다. 비는 추적추적 내리고 한양
-
[김종명의 샐러리맨 코칭스쿨] 부탁받지 않은 조언은 비난이다
상대가 듣고 싶은 말을 하는 게 직장생활 비결... 자기 생각의 감옥에서 벗어나야아재 개그가 유행이다. 다소 썰렁하지만 웃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좋다. 지난 번 모임에서 들은
-
"'죽지 마라, 너희가 조선이다' 이순신 대사엔 저도 울컥했어요"
신라에서 조선까지 9편의 사극 출연, 역사 속 영웅들에게 숨결을 불어넣은 작업 펼쳐와… 최근 에서는 인간미 넘치는 가장(家長)으로서의 이순신 연기 감동줘 50대 나이가 무색할 만큼
-
당에 사신 갔던 전쟁 영웅의 옥사, 나당 전쟁 부르다
일러스트=강일구 『삼국유사』 중 ‘흥법(興法)’이라는 이름이 달린 챕터가 있다. 불교를 일으킨 일화를 묶어놓은 것으로 ‘원종흥법(原宗興法) 염촉멸신(厭觸滅身)’이라는 제목을 단
-
개혁군주 정조, 새로운 조선 위한 대반전 꿈꾸다!
【총평】 ? 영조와 정조의 탕평 정치는 국왕에게 권력을 집중시켜 붕당 간의 대립을 억누르고 정국의 안정 가져왔으나 집중된 권력을 제도화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순조 때부터 안동 김
-
남의 힘으로 왕이 된 성종, 문(文) ? 무(武) 갖춘 새로운 조선 꿈꾸다!
2017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한국사가 필수 과목이 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한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앙SUNDAY는 과거 연재했던 인기 역사 기획 내용을 토대로
-
대박 장근석 여진구 멈춤 없는 매력 릴레이에 60분이 '훌쩍'
대박 장근석 여진구[사진 드라마 대박 방송화면 캡쳐]'대박' 장근석은 일어났고 여진구는 발톱을 세웠다. SBS 월화드라마 ‘대박’은 왕의 잊혀진 아들 대길(장근석 분)과 그의 아우
-
‘임금도 사대부’ 예학의 틀에 갇혀버린 효종 장례 , 국왕 장례 예법 둘러싼 사대부 싸움, 王權만 추락하다
조선 성리학의 흐름을 예학으로 이끈 태두 김장생을 모신 충남 논산 돈암서원. 김장생과 송시열?송준길 등 당대의 서인-노론 계열 예학자들을 배향하고 있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4)
선조는 학문을 좋아하고 예술에도 능한 임금이었다. 『열성어필(列聖御筆)』에 실린 선조의 그림과 글씨. 제목은 난죽도(蘭竹圖). 동아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사진가 권태균
-
[신명호의 ‘조선왕조 스캔들’⑨]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내몬 부왕(父王) 영조의 금주령
길 가다 개미조차 밟지 못했을 만큼 마음 여렸던 어진 임금… 그러나 소통·신뢰 부재 탓에 아들 죽이는 비극의 주인공으로 조선 제21대 임금 영조는 조선왕조 500년을 대표하는 성군
-
‘밤선비’ 이준기-이유비 이별 비하인드컷 공개 "애틋하다"
밤을 걷는 선비 [사진 콘텐츠K 제공] ‘밤을 걷는 선비’ 이준기 이유비의 짠내폭발 비하인드 스틸이 공개됐다. MBC 수목드라마 ‘밤을 걷는 선비’ 측은 애절한 장면을 촬영을 위해
-
[커버스토리] '하녀들' 삼각 로맨스, 끌리는 걸
참 널찍한 부엌이다. 부뚜막에는 솥단지가 세 개나 걸려 있다. 수고로운 설 음식 장만도 이런 부엌이라면 신이 날 것 같다. 갈수록 재미를 더하는 JTBC 주말드라마 ‘하녀들’(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