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8) 직물 디자이너

    직물의 종류와 질에 따라 「센스」 있게 색깔을 배합하고 유행하는 「패턴」과 무늬를 도안해 내는 등 직물의 「디자인」을 도맡는 직업이 직물 「디자이너」다. 직물 「디자이너」는 경쟁이

    중앙일보

    1972.10.06 00:00

  • (51)경찰관

    1946년 25명의 운수 경찰관으로 시작한 여성 경찰관의 수는 현재 4백30명으로 증가, 전체 경찰력의 약1%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수의 증가뿐 아니라 초기의 여경이 맡던 업무

    중앙일보

    1972.08.14 00:00

  • (37)|무용가

    무용은 자신의 몸으로 표현하는 예술인만큼 무용가의 길을 타고난 소질과 신체조건, 그리고 어렸을 때부터의 훈련이 따라야 하는 고된 수업의 연장이다. 한국에 본격적인 무용예술이 무대에

    중앙일보

    1972.06.03 00:00

  • (34) 통신사

    일종의 기술 요원인 통신사는 불과 3∼4년 전까지만 해도 군대나 검찰청 같은 특수 기관에서만 필요로 하는 직종이라는 것이 일반의 인식이었다. 그러나 국내·국외에 지점을 설치하는 무

    중앙일보

    1972.05.19 00:00

  • 함부르크에 남창가 곧 등장

    【함부르크10일DPA합동】최근 서독 「함부르크」의 「상크트·파울리」유흥가에서 욕구불만의 여성들을 위한 남창가가 생기리라한다. 올 여름부터『개업』(?) 할 예정인 이 남창이 수지가

    중앙일보

    1972.05.13 00:00

  • 「뮌헨·올림픽」대표단 선발

    대한체육회는 9일 상오 제20회「뮌헨·올림픽」대회 파견 한국대표단의 선수 26명, 임원13명(미정6명)을 선발, 발표했다. 대한 체육회와 대한「올림픽」위원회의 합동전형위는 8일 하

    중앙일보

    1972.05.09 00:00

  • (28)속기사

    1945년 이전까지 「국어」를 사용할 수 없었던 우리 나라에선 해방 후인 1948년 국회 개원과 더불어 「국문 속기」가 처음 쓰여졌으며 이때 「속기사」라는 직업도 생겨나게 되었다.

    중앙일보

    1972.04.24 00:00

  • "비서직은 여성 전용이 아니다"|미 비서학교에 첫 남자 등록

    대개 비서직하면 곧 여성을 생각하듯이 여성의 직업처럼 되어버린 비서직은 60년 전만해도 남자들이 독차지하던 직업이었다. 그 당시 이 남성독점분야이던 비서직에서 여자들이 일할 수 있

    중앙일보

    1971.09.10 00:00

  • 여교수 냉대하는 미국의 대학

    교직의 여성화로 초·증등교육에서 새로운 교원정책이 시급한 한국의 경우처럼 최근 미국에서도 초등과 중등에서는 여교사가 남자를 앞지르고 있다. 그러면서도 대학에서는 여성의 교단진출이

    중앙일보

    1971.07.09 00:00

  • "완전하 아내 없이 완전한 중역 없다"|미국기업의『내조 진단』

    런던 남쪽에 있는 서리 군에는 각종 기업체의 간부 부인 물을 완벽하게 품위 있고 교양 높은 호스티스로 양성하는 학교가 있다. 이것은 사장이나 중역들을 초대했을 때 남편에게 창피를

    중앙일보

    1971.06.15 00:00

  • 여교사의 죽음과 근로여성 보호

    최근에 신문에 보도된 만삭의 여교사의 죽음은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동시에 직업여성의 근로조건에 대하여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물론 이 기사에서 단순히 만삭의 몸으로 일했

    중앙일보

    1970.11.21 00:00

  • 다시 불붙은 유사 이래의 장발논쟁

    남성들이 머리를 길게 늘어뜨리고 다니는 모습은 확실히 볼썽사납다. 그러나. 어느 시대에든지 머리를 치렁치렁 늘어뜨리고 다녀야 직성이 풀리는 장발족들이 있게 마련이어서 장발논쟁은 그

    중앙일보

    1970.08.06 00:00

  • 여성경제인 모임 만들어

    『적어도 여자가 사장으로 있는 회사에선 여직원을 많이 채용하고 남녀동등의 본보기가 될 수 있어야지요.』 지난 15일 창립한 대한여성경제인협의회 편정희씨(삼풍 수산사장)는 직장여성들

    중앙일보

    1970.04.24 00:00

  • 이조 여성 수사원 다무

    남성중심의 이조봉건사회에서 실제로 관직을 갖고 행정적인 일을 맡았던 여성으로 다무가 있다. 유교가 지배하던 이조사회이므로 다무는 정치사회의 표면에 두드러지게 드러날리 없고 그래서

    중앙일보

    1969.09.15 00:00

  • 국민교사 백84명 새로발령

    서울시 교육위는 27일 성신사대출신 30명과 작년도 채용고시합격자 가운데 발령이 늦어졌던 1백54명을 각국민교에 신규부임했다. 오숙련 숭신 유혜숙 을지 이진수 답십리 김주연 송천

    중앙일보

    1969.03.27 00:00

  • 뚜렷한 차별대우|직장여성 실태|이대 정충량교수 조사

    날이 갈수록 여성들의 직장진출은 활발해지고있지만 한국의 직업여성들은 아직까지 직장에서 여러모로 남녀차별대우를 받고있음이 밝혀졌다. 정충량(이대신문학)교수는 회사원·직공·공무원·교사

    중앙일보

    1968.02.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