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경무대 사계(93)-김상래|남기고 싶은 이야기들(466)-

    일본과의 국교정상화에 대한 이대통령의 태도는 몇차례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 회담을 시작 할 때는 미우나 고우나 일본이 이웃 나라인 만큼 한일문제를 해결해야겠다는 생각이었다. 그러

    중앙일보

    1972.05.23 00:00

  • (465)(제자 윤석오)|(제26화)경무대 사계(92)

    6·25동란으로 중앙청의 내부가 불탄 뒤 중앙청에 있던 대통령실은 자연히 없어졌다. 그에 따라 9·28수복 후부터 중앙청 비서실도 경무대로 통합됐다. 평소 중앙청 건물이 일본 통

    중앙일보

    1972.05.22 00:00

  • 경무대 사계(91)김상래(제자 윤석오)

    이 대통령과 장면박사와의 관계는 지난52년 정치파동 직전부터 나빠졌다. 그때 사이가 벌어진 이유는 직선제 개헌을 추진하는 이 대통령의 뜻에 거슬러 장 박사가 내각 책임제 개헌을

    중앙일보

    1972.05.20 00:00

  • (463) | 경무대 사계 (90)|김상래

    이 박사는 국내 신문을 거의 읽지 않았다. 그러나 외국 신문 특히 미국에서 발행되는 「뉴요크·타임스」「워싱턴·포스트」등은 관심 있게 읽었다. 그래도 초기에는 공보 비서였던 김광섭

    중앙일보

    1972.05.19 00:00

  • (462) | 경무대 사계 (89)|김상래

    항간에는 이 대통령이 구 황실을 홀대한다는 비난이 있었다. 그러나 내가 알기로는 그렇지 않았다. 오히려 대통령은 『구 황실분들이 체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도와드리라』는 말

    중앙일보

    1972.05.18 00:00

  • (461) | 경무대 사계 (88)|김상래

    이부란-. 별로 쓰이지 않아 널리 알려지지 않은 「프란체스카」 부인의 한국식 이름이다. 이 이름은 6·25전에 작명 됐다. 「마담」은 서양식으로 이 박사의 성을 취해 「이 프란체

    중앙일보

    1972.05.17 00:00

  • (460) | 경무대 사계 (87)|김상래

    이 박사는 물가에 대한 관심이 대단했다. 쌀값 걱정 때문에 쌀값이 오를 때마다 농림장관을 경질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 박사는 가끔 틈나는 대로 남대문 시장 등에 직

    중앙일보

    1972.05.16 00:00

  • (459)| 경무대 사계 (86)|김상래

    이 박사의 경호와 경무대 경비는 경무대 경찰서에서 맡았다. 경무대 경찰서는 이 박사가 대통령이 된 후 곧바로 생겼다. 초대 경찰서장은 작고한 김장흥씨였다. 김씨는 이 박사가 환국

    중앙일보

    1972.05.15 00:00

  • (458)경무대 사계(85)|김상래(제자 윤석오)

    이 박사는 앞에 말한 것처럼 수목과 동물을 무척 사랑했는데 취미가운데 낚시이외에 한시 짓기와 붓글씨 쓰기를 빼놓을 수 없다. 하오시간에 틈이 나면 이 박사는 붓글씨를 쓰기도 하고

    중앙일보

    1972.05.13 00:00

  • (457)제자 윤석오|경무대 사계(34)

    이 박사는 외국 손님을 초대할 때도 항상 한식으로 음식을 내놓았는데 여기엔 이 박사 나름대로 생각이 있어서였다. 한번은 이 박사에게 『왜 외국 손님에게도 한식을 대접합니까』하고

    중앙일보

    1972.05.12 00:00

  • (456)-제자 윤석오|경무대 사계(83)

    내가 경무대와 인연을 맺게된 것은 49년 6월이다. 그때 김량천씨 후임으로 수석비서관을 맡게된 고재봉씨가 추천해서 근무하게 됐다. 나는 일제 때 총독부 재무국에 근무했던 연고로

    중앙일보

    1972.05.11 00:00

  • 개강채비…분주한 캠퍼스|휴업령 해제가 발표되던 날

    30일 상오 대학가의 휴업령이 해제됐다. 지난 15일 위수령발동으로 군 병력이 학원에 진주함으로써 내려졌던 휴업령은 학원사태가 정상화함으로써 15일만에 해제되어 11월1일부터는 대

    중앙일보

    1971.10.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