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선로 응용한 쇠고기 콩소메 호평 받아”

    “신선로 응용한 쇠고기 콩소메 호평 받아”

    이준희씨가 장어 요리를 만들어 보이고 있다. [강정현 기자] “신선로를 응용한 요리를 선보였을 때 관객이 보내준 박수 소리는 아직도 잊지 못합니다. 한식이 얼마나 매력적인 요소로

    중앙일보

    2009.03.03 00:45

  • 어린이 발명왕·논문왕의 특별한 과학 학습법

    어린이 발명왕·논문왕의 특별한 과학 학습법

    얼마 전 우리나라의 기초과학 수준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학생들의 이공계 대학 기피와 그에 따른 기초 과학 부실이 사회 문제화된지 오래다. 이런 때 우리나라의 과학

    중앙일보

    2008.12.30 15:21

  • 미래 유망 직종은 ‘저CO2 녹색성장 일자리’에 눈 돌려라

    미래 유망 직종은 ‘저CO2 녹색성장 일자리’에 눈 돌려라

     한국은 산업화를 거쳐 이제 지식기반 경제로 빠르게 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산업과 관련된 직업에서 제공하는 일자리는 정체되거나 감소될 것이다. 반면 새롭게 성장하는 산

    중앙일보

    2008.12.08 00:56

  • 고교 때부터 문·이과 분리 창의적 인력 못 길러낸다

    고교 때부터 문·이과 분리 창의적 인력 못 길러낸다

    기존 산업 포화, 新산업으로 돌파해야“1970년대에 유선전화를 이용한 화상통화가 기술적으로 가능해졌어요. 하지만 상용화했는데 실패했지요. 사람들에겐 ‘상대방에게 내 모습을 보여

    중앙선데이

    2008.11.30 02:34

  • 군사 로봇 상용화 물꼬 튼 미국 ‘아이로봇’ 그라이너 회장

    군사 로봇 상용화 물꼬 튼 미국 ‘아이로봇’ 그라이너 회장

    “로봇은 전쟁터에서 수많은 군인의 생명을 살리고, 일상의 변화를 이끌 겁니다. ‘옛날에 로봇 없이 어떻게 생활했지’라고 말할 때가 곧 올 거라고 봐요.” 군사용 로봇과 로봇청소기로

    중앙일보

    2008.10.17 01:58

  • 한·독 기술 교류 30년 인연 “인간·기계 공존의 지혜를”

    한·독 기술 교류 30년 인연 “인간·기계 공존의 지혜를”

    21일 대전 과학기술 창조의 전당에서 열린 제41회 과학의 날 기념식에서 벽안의 독일인 공학자 한스 바르네케(75·사진) 박사가 과학훈장 2등급 혁신장을 받았다. 그는 1980년

    중앙일보

    2008.04.25 01:07

  • [양재찬이 만난 사람] “뻔한 연구는 안하는 게 낫다”

    국내 최고의 이공계 대학 KAIST(한국과학기술원)에 개혁 태풍이 몰아쳤다. 테뉴어(tenure·정년보장)를 신청한 교수 35명 가운데 15명을 탈락시켰다. 07학번 학생부터 영

    중앙일보

    2008.04.04 12:09

  • 문화기술(CT) 개발 경쟁 5개국 르포

    문화기술(CT) 개발 경쟁 5개국 르포

    일본 ICC에서 전시 중인 ‘드리프트 넷’. 한 관람객이 3면으로 된 대형 스크린 속에 들어가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내려받은 데이터들을 팔로 움직이고 있다. 몸동작에 따라 다른 사

    중앙선데이

    2008.01.05 23:24

  • 서남표 총장 ‘MIT 동문상’

    서남표 총장 ‘MIT 동문상’

    MIT 한국동문회(회장 원제무)는 ‘자랑스러운 MIT 동문상’수상자로 서남표(71·사진) KAIST 총장을 선정했다고 6일 발표했다. 서 총장은 기계공학자로서 새로운 학문을 일궜으

    중앙일보

    2007.12.07 05:55

  • 장영실 물시계 573년 만에 돌렸다

    장영실 물시계 573년 만에 돌렸다

    그래픽 크게보기 건국대 남문현(65.전기공학) 교수는 21일 한복을 차려 입고 서울 세종로 고궁박물관에 나타났다. 조선시대 표준시계인 보루각(報漏閣) 자격루(自擊漏)를 20년이

    중앙일보

    2007.11.22 05:07

  • 성공 창업의 첫걸음 “온라인 MBA로 손쉽게”

    안철수 연구소 안철수 의장이 창업 10년을 맞아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안철수 연구소를 떠났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와튼스쿨 EMBA(Executive MBA) 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

    온라인 중앙일보

    2007.11.16 11:30

  • [행복한책읽기Review] ‘인류사 대격변’ 이미 시작됐다

    [행복한책읽기Review] ‘인류사 대격변’ 이미 시작됐다

    수퍼맨이나 ‘600만불의 사나이’처럼 초자연적인 힘이나 국가 비밀 프로젝트의 도움으로 초능력을 갖게 된 사람의 이야기는 오랫동안 SF의 주요 소재였다. 하지만 미국 워싱턴 포스트

    중앙일보

    2007.11.02 19:57

  • [시론] 의료용 로봇을 주목한다

    최근 수술 로봇 기사를 자주 접한다. ‘닥터 로봇 2년 만에 500명 수술’ ‘인터넷으로 원격로봇 수술’ 등이 그런 기사다. 첫째 기사는 외국 로봇을 사용한 우리나라 의료진의 뛰어

    중앙일보

    2007.10.18 21:16

  • 윙윙 날아다니는 잠자리 알고보니 스파이 로봇?

    윙윙 날아다니는 잠자리 알고보니 스파이 로봇?

    대학 졸업반인 바네사 알라콘은 지난달 워싱턴DC 백악관 근처의 라파예트 광장에서 열린 반전 시위에서 이들을 목격했다. 알라콘은 "'세상에 저걸 좀 봐'라고 옆 사람이 말하는 걸

    중앙일보

    2007.10.09 17:45

  • '정년 보장' 대거 탈락 KAIST 이번엔 파격 스카우트

    '정년 보장' 대거 탈락 KAIST 이번엔 파격 스카우트

    "디즈니랜드 창업자인 월트 디즈니가 '불가능한 것을 하는 것은 일종의 재미'라고 말한 것처럼 학생들과 함께 그런 불가능에 도전하고 싶습니다." 외국인 여성 과학자로는 처음으로 한

    중앙일보

    2007.10.02 04:20

  • [BOOK책갈피] 몹쓸 기술이 ‘기계치’ 를 낳는다

    [BOOK책갈피] 몹쓸 기술이 ‘기계치’ 를 낳는다

    호모파베르의 불행한 진화 킴 비센티 지음, 윤정숙 옮김, 알마, 360쪽, 1만8000원  #사례 1:1981년 캐나다에서 시판되던 자동 선반의 이상적 사용자는 키 127.5 센티

    중앙일보

    2007.07.27 19:05

  • [로봇이야기] 몸속으로의 로봇 여행

    [로봇이야기] 몸속으로의 로봇 여행

      원자 축소술로 사람들이 탄 잠수정을 초소형화하여 인체 내를 돌아다니며 병을 치료하고 적과 싸우는 공상과학 영화는 대표적인 게 두 편이다. ‘환상여행’(1966)과 ‘이너스페이스

    중앙일보

    2007.07.13 19:17

  • [로봇이야기] 로봇 의사

    [로봇이야기] 로봇 의사

    필자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의사들을 만나 왔다. 2000년부터 5년간은 캡슐형 내시경 개발을 위해, 그 이전에는 짬짬이 만났다. 최근 또다시 만남이 시작됐다. 모두 인체 진단이

    중앙일보

    2007.06.15 20:41

  • [로봇이야기] 영화 속의 로봇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로봇태권브이'가 30년 만에 복원, 상영됐다. 며칠 전 로봇기술 분석차(?) 이 영화를 봤다. 지금 시점에서도 신선한 점은 박쥐로봇이다. 이런 새날개 형태의

    중앙일보

    2007.06.08 19:01

  • [로봇이야기] 머리 나쁜 로봇

    [로봇이야기] 머리 나쁜 로봇

    무대에 조명이 들어온다. 로봇이 유연한 동작으로 걸어나온다. 로봇이 관중 앞에서 다른 사람들을 소개한다. 사람과 그럴듯하게 악수도 한다. 그리고 사회자의 물음에 여유 있게 대답한

    중앙일보

    2007.06.01 20:18

  • [르포]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세계 빅3로 성장한 비결은

    [르포]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세계 빅3로 성장한 비결은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보스턴 연구개발센터 전경.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 공대(MIT)를 앞세운 보스톤 바이오 클러스터가 세계 바이오 원천기술의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 198

    중앙일보

    2007.05.24 18:53

  • [로봇이야기] 로봇은 '미래의 이브'인가

    '미래의 이브'는 프랑스의 상징주의자 빌리에 드릴라당이 1886년 발표한 소설 제목이다. 이 소설은 로봇 역사를 다룰 때 종종 인용될 정도로 시대를 뛰어넘는 작품이다. 소설 속에서

    중앙일보

    2007.05.04 19:36

  • 미래학문 중심에 ‘關係學’이 선다

    미래학문 중심에 ‘關係學’이 선다

    지난달 29일 서울대에서 열린 미래 학문ㆍ대학 콜로키엄에서 참석자들이 ‘21세기 지식체계’란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맨 오른쪽과 그 옆이 공동발제를 한 김광웅 서울대 명예교수와

    중앙선데이

    2007.04.28 16:59

  • 미래학문 중심에 '關係學'이 선다

    미래학문 중심에 '關係學'이 선다

    저명한 교수 20여 명이 지난달 29일 서울대에 모였다. 제1회 ‘미래학문과 대학을 위한 범대학 콜로키엄’이었다. 공동 발제자인 김광웅 서울대 명예교수와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중앙선데이

    2007.04.01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