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馬-말 마

    馬(마)라는 글자는 상형(象形)문자의 전형이라 하겠다.본래 이 글자는 「갈기를 바람에 나부끼며 내닫는 말」의 모양을 본떠만든데서 비롯되었다.세월이 흐름에 따라 글자의 원형에서 눈이

    중앙일보

    1996.11.12 00:00

  • 지금은 가로쓰기시대

    미국에선 컴퓨터로 지도를 만든다는 말에 놀라 컴퓨터를 배우기시작한 때가 31년 전이다.이제는 비슷한 시기에 창간된 中央日報가 창간30주년을 맞았고 컴퓨터로 지도를 만드는 것은 물론

    중앙일보

    1995.10.03 00:00

  • "이름,22수의 주술"역문관 서우회編

    신비주의는 문화의 한 모서리에 있을 만한 좋은 위로(慰勞)이자 장식(裝飾)이다.알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점단(占斷)을 좇아 길(吉)하면 희용(喜用)하고 흉(凶)하면 금기(禁忌)한

    중앙일보

    1995.09.17 00:00

  • 한자문화권내 생활한자 문제 토론회-韓.中.日 略子접근

    지난해 9월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의해 한자는 하나의 문자세트로 편성돼 한.중.일 3국의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통신 교류에 새 계기가 마련됐다.이에 따라 현재 세 나라에서 통용되

    중앙일보

    1994.09.28 00:00

  • 6.삐삐는 생활필수품

    지난 1월25일 오후6시.서울양천구신정5동 Y비디오가게에 鄭모군(17)등 서울K고생 2명이 침입,여주인을 위협하고 돈을 빼앗으려다 경찰에 붙잡혔다. 『지난해말 할부로 산 삐삐(무선

    중앙일보

    1994.05.19 00:00

  • 국교생겨냥 한자학습서 봇물

    어린이 한자학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민학생을 겨냥한 한자익히기 학습서가 봇물쏟아지듯 출판되고 이를 찾는 부모들도 급격히 늘고있다.또 문화센터등에서 실시하는「어린이 한자

    중앙일보

    1994.02.26 00:00

  • 중국인들 한자체 통일싸고 內訌

    『이 단어는 어때? 홍콩에서는 이렇게 말하지 않아.』 『문장도 좀 문제야.잘 생각해보면 이해가 안가는 바도 아니지만….어쩐지 중국어에는 없는 표현같아.』 홍콩에 본부를 둔 일본계

    중앙일보

    1993.10.26 00:00

  • 본사·지방 동시인쇄

    신문사에 기록될 91년의 큰 변화는 지방동시 인쇄시대를 연 해라는 점일 것이다. 91년 후반기에 와서 서울에 본사를 둔 전국지들이 앞다투어 지방분산인쇄를 시작했다. 아직은 영남권

    중앙일보

    1991.09.25 00:00

  • 부르기·쓰기 쉬운 글자 작명 바람직

    애당초부터 우리말에서「말(마)」을 꼭「말」이라고 해야하고,「소(우)」를 꼭「소」라고 해야 됐던 것은 아니다. 어쩌다가「말」을「소」라고 해 왔더라면, 그런 대로 우리는 오늘날 「말」

    중앙일보

    1990.12.29 00:00

  • 『중공간화자』 펴내

    ○…건국대성원경교수가 『중공간화자』를 펴냈다 (건국대출판부). 중공은 1956년부터 사용 한자를 숫적으로 줄이고 글자의 획수를 간단히 한 간화자를 사용, 우리가 쓰는 한자와는 많은

    중앙일보

    1985.07.17 00:00

  • "치밀하고 잔인한 성격"|국립과학수사연, 범인들의 필적 감정

    『식품제과회사 독극물협박사건의 범인들은 치밀하고 논리적이며 잔인하다. 이 범죄 조직은 오랫동안 기획업무에 종사한 회사원 출신의 주범과 대졸이상 학력의 여자와 머리회전이 빠르고 침착

    중앙일보

    1985.01.29 00:00

  • 어려운 한자병용 고집하면 잃는 것 많아|자랑스런 한글 전용했으면

    「한국에도 글이 따로 있나요, 아니면 중국어나 일본어를 사용하나요?』외국여행 중에 흔히 받는 질문입니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면 신바람이 나서 설명을 합니다. 『물론 우리는 우리의

    중앙일보

    1979.10.10 00:00

  • 신춘「중앙문예」단편소설 당선작

    지붕 위에는 밤새 명을 다한 박꽃이 입을 오므렸다. 사립가에 선 감나무에서 제법 솔방울 만한 풋감이 뚝뚝 소리를 내며 떨어져 구른다. 계동이 녀석이 얼른 주워다가 물 담긴 항아리에

    중앙일보

    1979.01.01 00:00

  • "실생활에 쓰이는 기초한자 1,800자 국민학교 때부터 가르쳐야"|허웅 교수의 한자교육 소론을 읽고…남광우

    『무리수는 실수이면서 정수나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수를 말하고 유리수는 분수와 자연수를 포함한다. 자연수는 정수를 말하는데 정수 안에는 부수·정수·소수가 있다.』 지금 우리들의

    중앙일보

    1977.08.22 00:00

  • (13)작명백태

    『학생, 이 부근에「리바보」라는「아파트」가 어디 있지?「소핑·싼타」위층에 있다는데….』 「아파트」가 밀집된 한강변 도로에서 머리가 흰 할머니가 종이 쪽지를 하나 들고 길가는 학생에

    중앙일보

    1977.02.28 00:00

  • 사용빈도 무시한 선정이 산현

    지난7일 문교부는 중-고등학교 한문교육을 위한 기초한자 1,781자(중학교 888자·고등학교 893자)를 선정한 시안을 발표한바 있는데 이 시안은 첫째 우리고전문화 계승의 기초수립

    중앙일보

    1972.06.09 00:00

  • 한자 폐지는 가능한 일|한글로 기계화를

    한자는 매력있는 글자이다. 「상형문자」에서 출발하여「자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만이나 되는 글자를 만들어낸 중국민족은 과연 위대한 지혜를 가진

    중앙일보

    1970.01.06 00:00

  • 「542시안」에 이의있다

    문교부 한문분과위원회는 상용한자 1천3백자 가운데 5백42자의 「약자제정시안」을 마련, 발표했다. 약자제정원칙은 지난봄 문교부가 국어심의위에서 결정, 제정키로하여 한문분과위원회에

    중앙일보

    1967.11.13 00:00

  • 상용 한자의 약자화

    2월 28일 문교부 발표에 의하면 국어 심의회 한자분과 위원회의 제1차 회의에서 상용한자 1천3백자 중 획수가 많고 문체가 복잡한 것을 약자화 하기 위한 검토를 시작, 오는 8월말

    중앙일보

    1967.03.01 00:00

  • 한자를 약자화

    획수가 많고 쓰기 어려운 한자 대신 간편한 한문 약자가 새로 나온다. 28일 문교부가 교육한자의 약자를 제정하기 위해 27일 국어심의회 한자분과위 제1차 회의를 소집, 오는 3월

    중앙일보

    1967.02.28 00:00

  • 또 하나의 「한글 흘림체」|황해룡씨가 고안

    글자의 개혁은 문화의 혁명이다. 한글의 자체를 개혁하자는 논란이 학계에서도 있곤 했지만 쉽게 채택되진 않았다. 최현배 박사는 그의 「말본」교과서 속에서 풀어쓰기를 제창하고 있다.

    중앙일보

    1966.10.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