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빛의 정원에서'연작 전시

    '전준엽 근작전'이 19일까지 서울 청담동 박영덕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투박한 우리 땅 위에 서 있는 소나무와 거기서 흘러나오는 빛을 통해 동·서양화를 뛰어넘은 우리 식 조형어법을

    중앙일보

    2002.10.16 00:00

  • 韓·獨 작가 교류전 열려

    한·일 월드컵을 주제로 한 한국과 독일 작가들의 교류전 '0:0'이 7월 2일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보다에서 열리고 있다. 독일 베를린의 대안공간인 코흐 & 케슬라우 화랑이 기

    중앙일보

    2002.06.26 00:00

  • 40대 후반의 불안정한 자아

    벌거벗은 남자 몸 하나가 비스듬히 허공에 매달려 있다. 손과 발이 잘려나간 이 위태로운 중년 사내 얼굴엔 표정이 없다. 꺼칠한 수염과 차렷 자세로 웅크린 어깨가 슬퍼 보인다. 그

    중앙일보

    2002.06.19 00:00

  • 수묵·채색의 명상…김보희 근작전

    검은 먹 일색의 산등성이가 무겁게 드러나고 햇빛을 받은 강물은 엷은 청색이나 주황색으로 미묘하게 빛난다. 수묵과 채색의 경계면에 부옇게 번져나간 색은 갈대숲이나 잡초의 이미지이리

    중앙일보

    2002.05.14 00:00

  • [미술계 쪽지] 오상길 비디오설치전 外

    *** 오상길 비디오설치전 서울 서초동 한원미술관은 24~30일 비디오 작가 오상길의 비디오 설치 근작전을 연다. 자극적인 이미지들을 프레임 단위로 잘라서 재구성함으로써 현실적 대

    중앙일보

    2001.07.24 08:04

  • [미술계 쪽지] 오상길 비디오설치전 外

    *** 오상길 비디오설치전 서울 서초동 한원미술관은 24~30일 비디오 작가 오상길의 비디오 설치 근작전을 연다. 자극적인 이미지들을 프레임 단위로 잘라서 재구성함으로써 현실적 대

    중앙일보

    2001.07.24 00:00

  • 박대성 '근작전' 우리의 경치 화폭에 옮겨

    활달한 붓놀림과 강인한 필세, 청명한 갈필(渴筆) 과 은은한 먹빛. 정갈하고 자유로운 선과 묵향의 세계. 대자연을 스승으로 독학, 한국 수묵화의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해 온 소산 박

    중앙일보

    2001.04.24 07:50

  • 박대성 '근작전' 우리의 경치 화폭에 옮겨

    활달한 붓놀림과 강인한 필세, 청명한 갈필(渴筆)과 은은한 먹빛. 정갈하고 자유로운 선과 묵향의 세계. 대자연을 스승으로 독학, 한국 수묵화의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해 온 소산 박대

    중앙일보

    2001.04.24 00:00

  • 분방한 화면에 담은 '김종학-설악산…'전

    빠르고 힘찬 선이 화면을 가득히 채우고 있다. 두터운 유화물감을 듬뿍 칠한 선들은 자유분방한 반추상의 배경을 이룬다. 굵은 선들은 때로 용틀임치면서 나무를 이루거나 폭넓게 이어져

    중앙일보

    2001.04.17 08:05

  • '김종학-설악산 풍경 겨울·봄' 전 관심

    빠르고 힘찬 선이 화면을 가득히 채우고 있다. 유화물감을 두텁게 칠한 선들은 자유분방한 반추상의 배경을 이룬다. 굵은 선들은 때로 용틀임치면서 나무를 이루거나 폭넓게 이어져 바위

    중앙일보

    2001.04.17 00:00

  • 한국 전위미술 대변 '김구림-현존과 흔적' 전

    한국 미술계의 풍운아 김구림(64)씨. 시대를 앞서는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작품활동, 제도와 인습을 거부하는 비타협적이고 고집스런 스타일로 인해 기성미술계에서는 '이단아' 로 평가된

    중앙일보

    2000.09.27 00:00

  • 17일부터 원화랑서 구본창 근작 사진전 개최

    우리나라에선 아직 '사진 = 필름' 이라는 말이 맞다. '사진은 카메라만 있으면 누구나 찍는다' 는 일반의 인식에다 '한번 찍으면 계속 인화가 가능하다' 는 점이 더해져 순수미술의

    중앙일보

    1999.04.12 00:00

  • [미술계쪽지] 明代 문인화 관련글 소개 外

    *** 明代 문인화 관련글 소개 홍익대 예술학과 한정희 교수의 '한국과 중국의 회화 - 관계성과 비교론' (학고재) 이 나왔다. 명나라때 문인화가인 동기창 등 문인화에 관한 글이

    중앙일보

    1999.03.22 00:00

  • [전시화제]극사실주의 작가 이석주 근작전

    그냥 지나치기 쉬운 일상의 모습을 사실보다 더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극사실주의 회화는 때로 너무 정교하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느낌을 준다. 국내 대표적인 극사실주의 작가 이석주 (46

    중앙일보

    1998.10.26 00:00

  • [가을 전시]홍소안 근작전…23일부터 공평아트센터

    동양화에서 종이.붓.먹 3가지는 철옹성같은 위력이 있다. 강한 전통의식이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에도 붓 대신 손가락 끝에 먹을 찍어 뾰쪽뾰쪽한 맛을 살린 지두화 (指頭畵)가 있었다

    중앙일보

    1998.09.21 00:00

  • [전시]이정신 한국화전

    산수화는 쉽지 않다. 중국에서 산수화 이론을 세우면서 고도의 상징체계란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 이정신 (54) 씨는 눈에 보이는 산과 강의 모습을 그리면서 정신세계를 담고자 애써온

    중앙일보

    1998.07.31 00:00

  • [전시]색채 思索人 유희영전

    그 앞에 서면 보이는 것은 널디 넓은 색의 바다다. 짙은 군청이 깊은 바닷속처럼 침묵한 채 펼쳐져 있거나 투명한 오렌지색이 소리없이 빛을 낼 뿐이다. 색의 바다에서 맴돌다 결국 원

    중앙일보

    1998.06.16 00:00

  • [전시]이성순 섬유작품전

    직선과 곡선. 애매한 문제지만 원시인 화가는 어느 쪽 선을 먼저 그었을까 하는 물음에는 앞뒤 문제보다 절대적인 자연에 대한 경외감을 표현하는데 직선이 적합하다는 것 그리고 곡선은

    중앙일보

    1998.06.02 00:00

  • [전시]김지현 근작전 30일까지 성곡미술관

    남성 중심적인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은 끊임없는 정체성 혼돈에 빠진다. 그래서 격앙된 목소리로 사회 모순을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나지막하게 개인사를 담담하게 보여줌으로써

    중앙일보

    1998.05.26 00:00

  • [사석원씨 근작전]노화랑서 30일까지

    화가 가운데는 가만히 앉아 있어도 가슴이 울렁거리는 사람이 있다. 천성적으로 그랬던 화가 가운데 가깝게 꼽을만한 사람이 구한말 장승업 (張承業) 이다. 붓으로 세상에 못 그리는 것

    중앙일보

    1998.04.28 00:00

  • [채색화가 2인 근작전]김성호

    전통 채색화의 기본색은 오방색 (五方色) 이다.파랑.빨강.까망.노랑 그리고 흰색. 단청이나 민화의 강한 원색에서는 오방색이 쉽게 드러난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 우리 색이라고 느끼

    중앙일보

    1998.04.14 00:00

  • [채색화가 2인 근작전]서정태

    채색화하면 우선 떠오르는게 곱게 그린 꽃그림.새그림이다.그러나 채색화 영역도 과거에는 수묵화만큼 넓었다. 구한말 전통의 몰락과 일본 채색화 유입에 밀려 화려한 전통이 무너져버리고

    중앙일보

    1998.04.14 00:00

  • [전시]권순철전

    주름이 깊어 짙게 그늘진 얼굴이나 황토 거죽이 드러난 거친 산의 모습은 흔히 인간의 고독을 상징한다. 사람들 사이의 고독보다는 무한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숙명적인 고독에 가까운 이

    중앙일보

    1998.04.03 00:00

  • 사진작가 김장섭 근작전…현실을 넘어선 공간체험

    '안면도' 란 부제가 붙은 김장섭 (金壯燮.44) 의 사진은 해가 떨어지는 안면도의 텅빈 갯벌을 멀리서,가까이서 잡은 사진 두매를 나란히 이은 것이다. 썰물때 소나무를 이고 있는

    중앙일보

    1997.12.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