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운대 이택 교수 연구팀, 엑소좀 검출을 위한 신개념 바이오마커 등 개발
사진제공=광운대 광운대학교 이택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안정윤 석사 과정, 박현준 박사 과정생)이 엑소좀 표면 단백질인 cluster of differentiation (CD)
-
광운대 전자융합공학과 BK21 교육연구팀, 1단계 성과평가 최종 통과
광운대 전자융합공학과 4단계 BK21 미래인재양성 교육연구팀 ‘초연결 인간경험 기반 웰니스 융합기술 인재양성팀(팀장 이종철 교수)’은 상반기 사업 4차년도 1단계(2020-202
-
인하대, 심해 청소부 ‘사르202’ 세균 세계 최초 배양
(사진 왼쪽) 사르202 세균을 어둠 조건에서 21일 동안 배양 후 강도가 다른 빛에 노출하면 빛의 세기에 비례하여 생장이 저해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약 3일에 1번 분열하며,
-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4단계 BK21 미래인재양성 교육연구팀, 1단계 성과평가 최종 통과 및 2단계 진입
광운대 전자공학과 4단계 BK21 미래인재양성사업 교육연구팀 구성 및 전문 분야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4단계 BK21 미래인재양성 교육연구팀 ‘반도체소자/차세대통신융복합 교육연구
-
서강대 생명과학과 졸업생 최주영, 국제 학술지에 단독논문 게재
서강대 생명과학과 최주영 동문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최주영 졸업생이 단독연구를 통해 새로운 단백질 결합 예측 방법을 개발하여, 국제저명학술지 ‘셀’의 학제간연구 전문 자매지인 i
-
"자넨 수업 안 와도 A" 마광수 홀린 히트가수…그뒤 반전의 28년
오는 30일 퇴임을 앞둔 조진원(65)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교수. 라이너스의 '연' 작사·작곡가이기도 한 그는 "다시 음악을 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경록 기자 70
-
사이버한국외대, 미시간 주립대 Peter De Costa 교수 초청 콜로퀴엄 개최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장지호) 영어학부와 TESOL대학원은 오는 8월 16일(수) 18시, 사이버한국외대 소강당에서 제48차 콜로퀴엄을 연다. 이번 콜로퀴엄에서는 미
-
스승을 독사과로 죽이려 했다…스파이 오명 '원폭 아버지' 기행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세계 최초로 원자폭탄을 개발한 미국의 저명한 핵물리학자다. 영화계 거장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이 그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한 영화 '오펜하이머'를 제
-
[건강한 가족] 불쾌지수 높은 여름철, 수퍼푸드 키위로 활력 충전 OK
기고 최석재 응급의학과 전문의 여름철에는 유독 습도가 높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가 빨리 식지 못한다. 이로 인해 한밤중에도 기온이 25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가 나타나
-
재료연 연구팀, 이차전지 수명연장 기술 개발
본 연구에 참여한 이지훈 박사 (재료연), 최인석 교수 (서울대), 신중호 교수 (강릉원주대), 전종한 연구원 (재료연, 서울대 박사과정) (좌측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
-
다이어트 왜 맨날 실패하지? 행동 전문가의 초간단 해결법 유료 전용
hello! Parents가 양육자의 문제 상황, 고민을 주제로 4권의 책을 선정해 대신 읽어드립니다. 이번 주제는 ‘습관’입니다. 많은 사람이 금연이나 다이어트, 독서, 어학
-
[유창동의 미래를 묻다] 인류의 잠재적 위험 AI…인간의 감시망 안에 넣어야
유창동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2019년 3월 세계 생명공학계가 연구중단을 선언한 일이 있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등의 세계 과학자들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
삼육대 최종완 교수, 한국고무학회 ‘신진학술상’ 수상 ‘기능성 고분자 복합소재 연구’로 학술발전 기여
삼육대 화학생명과학과 최종완 교수는 제57회 한국고무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신진학술상’을 받았다. 이 상은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이하 또는 만 45세 이하 연구자 중
-
광운대-ETRI, 비전 AI를 활용한 메타표면 기반 액체 식별 센서 개발
광운대 이상신 교수 연구팀(전자공학과)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김진태 박사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 스케일(Micron-scale)의 메타표면과 비전 인공지능(Art
-
골수 줄기세포로 프리온 질환 치료제 개발 ‘한걸음’
프리온 단백질은 동물과 사람의 뇌에 증식해 신경세포를 파괴함으로써 사람에서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CJD)과 광우병 등을 일으킨다.
-
서울시립대-건국대 공동연구팀, 신경독소 생성․분해 조절로 신경세포 생존력 강화 가능성 제시
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 유권열 교수 연구팀(제1저자 정병권 박사)과 건국대학교 융합생명공학과 김동은 교수 연구팀이 성상세포의 신경독소 생성 및 분해 조절에 의한 신경세포 생존력
-
서울시립대학교-서울대학교 공동연구팀, 기존 태양전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 제시
서울시립대학교 융합응용화학과 이종우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오준학 교수 연구팀 (제1저자, 김홍기 박사)이 기존 태양전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
켄텍 연구팀, QLED안정성 기술개발로 ‘자발광’ 화면 상용화 앞당겨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의 이승진 교수 연구팀과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사전트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꿈의 디스플레이로 꼽히는 QLED (양자점발광다이오드)의 안
-
성신여대 대학원생·학부생 연구팀, SCI급 국제 학술지에 연구논문 게재
성신여자대학교(총장 이성근) 융합보안공학과 학부생과 미래융합기술공학과 대학원생들이 참여한 논문이 국제 저명 학술지인 〈컴퓨터스 앤 일렉트리컬 엔지니어링〉(Computuers an
-
전기연구원. 부산대와 하이브리드형 레독스흐름 전지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박준우 박사팀과 부산대 박민준 교수팀이 기존 레독스흐름전지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을 개발해, 관련 논문이 우수한 평가를 받아 국제 저명
-
서강대, 신소재 안정성 예측하는 AI모델 개발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백서인 교수 연구팀은 신소재의 안정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 ‘D-CGCNN(Direction-based Crystal Graph C
-
전기연구원, ‘고체전해질 제어기술’ 세계 최초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용매 치환 기반 고체전해질(황화물계) 입도 제어 기술’ 관련 연구결과가 우수한 평가를 받아 국제
-
서울시립대 김정현 교수, 교육부장관 표창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서순탁) 화학공학과 김정현 교수가 교육부에서 주최하는 ‘2022년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에 선정돼 13일,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을 받는다.
-
켄텍, 삿갓조개 이빨서 거미줄보다 강한 나노복합체 발견
한국에너지공과대학(KENTEK)는 오상호 교수 연구팀이 한양대학교, 싱가포르 난양공대, 미국 브라운대학교, 독일 부퍼달 대학교, 오스트리아 레오벤 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