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해군特科장교 동우회 96년 이사총회

    …해특회(해군특과장교동우회.회장 金淇春)는 96년 이사총회를10일 저녁 서울여의도 63빌딩 57층 백리향에서 가졌다. 해특회는 해군 예비역장교 1만2천여명의 친교모임으로 91년 창

    중앙일보

    1996.06.11 00:00

  • 과학기술계 출신 總選 당선자 축하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崔亨燮)는 지난달31일 오후 과학기술회관에서 과학기술계 출신 15대 국회의원 당선자 축하연을 가졌다. 이날 참석한 국회의원 당선자는 李祥羲.金明燮.李

    중앙일보

    1996.06.01 00:00

  • 수석부총장 박광태씨-국민회의 중간당직 개편

    국민회의는 16일 수석사무부총장에 박광태(朴光泰.광주북갑)의원,수석부대변인에 설훈(薛勳.서울도봉을)당선자를 각각 임명하는등 중간 당직개편을 단행했다.다음은 새 당직자 명단. ▶사무

    중앙일보

    1996.05.17 00:00

  • 제15대 총선 격전지 40곳 긴급점검-나주

    국민회의가 『영.호남 화합』이란 명분으로 경북대 교수인 정호선(鄭鎬宣)씨를 공천,농림수산부장관 출신인 신한국당 최인기(崔仁基)후보와 접전중. 국민회의가 싹쓸이를 노리는 호남에서 이

    중앙일보

    1996.04.09 00:00

  • 제15대 총선 고전하는 정치신인들 판세

    세대교체는 이번 선거의 공천때부터 큰 관심사였다.여야 각당도앞다퉈 『참신하고 새로운 인물을 등용하겠다』고 공언해 왔다.각종 여론조사는 『유권자들은 더이상 과거인물들로 가득 채워진

    중앙일보

    1996.04.04 00:00

  • 총선 일부후보 지역감정 노골적 자극

    당선만 되면 다인가.너도나도 지역감정을 자극,표를 긁어 모으려하고 있다.후보에서 당지도부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당선되고 보자다. 인물이나 정책대결을 통해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 하

    중앙일보

    1996.04.03 00:00

  • 국민회의 공천자

    ^종 로 이종찬 60 의원 ^ 중 정대철 52 의원 ^용 산오유방 56 전의원 ^성 동 갑 나병선 61 의원 ^성 동 을조세형 64 의원 ^광 진 갑 김상우 41 위원장 ^광 진

    중앙일보

    1996.03.04 00:00

  • 국민회의 공천에 담긴 뜻

    국민회의가 3일 공천을 마쳤다.2백53개 지역구 가운데 2백18개 지역에 공천자를 발표했다. 박지원(朴智元)대변인은 공천자들을 『총선 승리를 위한 최선의카드들』이라고 강조했다.호남

    중앙일보

    1996.03.04 00:00

  • 국민회의 화제의 공천자 정호선씨

    「발명왕 교수」가 3일 국민회의의 전남나주 공천을 따냈다.경북대 전자공학과 정호선(鄭鎬宣.52)교수. 그는 음성.문자 인식로봇,신경망 컴퓨터 발명등 국내특허 44건,국제특허가 59

    중앙일보

    1996.03.04 00:00

  • 호남 현역9명 탈락-국민회의 공천 확정

    국민회의는 3일 호남지역 현역의원 9명을 탈락시키는등 15대총선에 출마할 공천자 2백18명을 확정,발표했다. 〈관계기사 4,21면〉 광주의 6개 지역구 가운데 1명,전북의 14개

    중앙일보

    1996.03.04 00:00

  • 영호남출신 교수부부 총선나선다-경북대 정호선.박남희씨

    22일 국민회의의 대구 당무회의장(금호호텔)에서 김대중(金大中)총재는 『지역감정을 해소하겠다』며 영.호남에 각각 공천신청한 경북대교수 부부를 소개했다.金총재는 『40년 정치를 해오

    중앙일보

    1996.02.23 00:00

  • 국민회의 공천 신청자

    ^종로 이종찬(60.현의원)^중 정대철(52.현의원)^용산 오유방(55.전의원)^성동을 조세형(64.현의원)^광진갑 김상우(41.아태민주지도자회의사무총장)^광진을 추미애(37.전광

    중앙일보

    1996.02.14 00:00

  • 「세계 원주민의 해」특별 기획시리즈(5)|작업복 입으면 못나오는 "생지옥"|조선인징용 북해도 탄광

    20만에서 50만명으로 추정되는 홋카이도(북해도) 강제징용조선인들은 해방 후 귀국한사람들을 빼고는 대부분 일본 땅에 뼈를 묻었거나 「또 하나의 소수민족」재일한국인 또는 조선인으로

    중앙일보

    1993.02.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