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현산, 슬라브 두께 승인없이 두배 늘렸다…"붕괴 영향 가능성"

    현산, 슬라브 두께 승인없이 두배 늘렸다…"붕괴 영향 가능성"

    HDC 현대산업개발이 붕괴 사고가 발생한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주상복합아파트의 최상층인 39층의 바닥 면 슬래브(콘크리트 판상)를 당국 승인 없이 두 배 이상 두껍게 설계 변경

    중앙일보

    2022.01.20 17:38

  • '광주 붕괴 사고' 현산 주가도 반토막…시총 1조원 붕괴 위기

    '광주 붕괴 사고' 현산 주가도 반토막…시총 1조원 붕괴 위기

    서울 현대산업개발 본사. 연합뉴스 광주 화정아이파크 외벽 붕괴 사고 이후 HDC 현대산업개발이 52주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2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은 8거래일

    중앙일보

    2022.01.20 16:28

  • 광주사고 6일 만에 입 연 정몽규 "현산 회장직 물러나겠다"

    광주사고 6일 만에 입 연 정몽규 "현산 회장직 물러나겠다"

      정몽규 HDC그룹 회장이 17일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와 관련해 머리 숙여 사과했다. 정 회장은 또한 사고 아파트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 회장직에서 물러나

    중앙일보

    2022.01.17 13:56

  • 정몽규, 17일 광주 붕괴사고 입장발표…HDC 회장직 내려놓나

    정몽규, 17일 광주 붕괴사고 입장발표…HDC 회장직 내려놓나

    정몽규 HDC그룹 회장이 2021년 6월 10일 오전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광주 철거건물 붕괴 사고 관련 기자회견하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는 전날 9명이 숨지고 8명이 다

    중앙일보

    2022.01.16 23:15

  • 박원순 "뒤로 숨지 않겠다. 역사의 대열에 앞장서겠다"

    박원순 "뒤로 숨지 않겠다. 역사의 대열에 앞장서겠다"

     박민제 기자의 보이스택싱. 승객은 박원순 서울시장. 강정현 기자박원순 서울시장이 13일 "뒤로 숨지 않겠다. 역사의 대열에 앞장서서 역사의 부름 앞에 부끄럽지 않도록 행동하겠다"

    중앙일보

    2016.05.13 15:27

  • 광주사는 中동포, 인육캡슐 3000정 모두 먹은후

    중국동포가 밀반입한 인육캡슐이 국내에 유통된 정황이 포착됐다. 경찰은 세관과 공동으로 수사에 들어갔다. 7일 SBS 등 주요 매체는 민주통합당 안민석 의원실이 관세청으로부터 받은

    온라인 중앙일보

    2012.10.09 09:13

  • 광주사는 中동포, 인육캡슐 3000정 모두 먹은후

    중국동포가 밀반입한 인육캡슐이 국내에 유통된 정황이 포착됐다. 경찰은 세관과 공동으로 수사에 들어갔다. 7일 SBS 등 주요 매체는 민주통합당 안민석 의원실이 관세청으로부터 받은

    온라인 중앙일보

    2012.10.08 16:00

  • 광주도시철도 ‘메트로 축제’

    광주도시철도공사는 2~12일 ‘타는 곳마다 여유, 내리는 곳 마다 즐거움’이란 주제로 ‘메트로 축제’를 연다. 축제기간 ‘광주사랑 시화전’ ‘원로 작가전’ 등 다양한 전시와 시 낭

    중앙일보

    2009.09.03 01:01

  • [새영화] '선동렬과 5·18' 대체 무슨 상관?

    [새영화] '선동렬과 5·18' 대체 무슨 상관?

    연출과 시나리오를 병행하는 김현석(35) 감독은 영리한 이야기꾼이다. 추억의 가요와 함께 떠올려지는 평범하고 소심한 남자들의 얘기 속에 시대와 역사를 슬쩍 건드린다. 일제시대 국

    중앙일보

    2007.11.12 17:35

  • 국민 열명중 여덟은 비엔날레 시기 몰라-광주사회조사연 조사

    열명 중 여덟은 광주비엔날레(3월29일~6월7일) 개막 시기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사회조사연구소(소장 김순흥.광주대 교수)가 최근 전국의 성인남.녀 1천

    중앙일보

    2000.03.25 00:00

  • 국민 10명중 7명 "장기 기증하겠다"-광주사회연 조사

    자신의 사후 장기기증 뜻을 가진 사람이 국민 10명 가운데 7명으로 조사됐다. 또 장례 문화에 대해서도 화장(火葬)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광주사회조사연구

    중앙일보

    2000.01.11 00:00

  • 광주사남구백운1동 암반 발파작업으로 주민들 피해 심해

    『발파음으로 벽에 금이 가고 집이 흔들려 불안해서 못살겠어요.』 광주시남구백운1동 56,66번지 벽산건설 고층아파트 신축현장. 이곳에서 20여 떨어진 곳에 사는 주민 이현호(李炫浩

    중앙일보

    1996.06.08 00:00

  • 부산아지매의 광주사랑 7년-해마다 망월동에 꽃.모역단장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그날의 아픔을 함께하고 민주주의를 위해숨진 영령들을 위로하기위해 바친 것뿐입니다.』 5.18 14돌을 하루앞둔 17일 국화.철쭉.동백.무궁화로 만든 꽃다발을

    중앙일보

    1994.05.18 00:00

  • 관세읽기 분주 『비방』총동원/한달남은 총선 불붙은 득표전

    ◎드러난 열세.취약지구 당력집중 민자/국민 거점 강원에 총공세/민중 공장.광산지역 공략/젊은층 겨냥한 기권방지에 총력 민주 총선(3월24일)을 한달앞둔 24일 여야는 제각기 선거대

    중앙일보

    1992.02.24 00:00

  • 국회「광주청문회」지상중계|"16일 심야 시국회의 있는 것 몰랐다" 김옥길씨

    국회 광주특위는 20일 청문회를 속개, 김옥길 전 문교장관·유병현 전 합참의장·최웅 전11공수여단장·권승만 전 7공수 33대대장 등을 출석시켜 증언을 들었다. 김옥길·유병현씨 증언

    중앙일보

    1988.12.20 00:00

  • "큰귀로 모든 국민소리 듣겠다" 민정

    ○…민정당의 노태우후보는 26일 제주유세에서도 야당정권은 곧 국가유실을 가져온다는 주장을 강조. 노후보는『황당무계한 약속을 남발하는 야당에 이나라 운명을 맡길수 있겠느냐』며『야당이

    중앙일보

    1987.11.26 00:00

  • 학원침투 유학생간첩단 개인별 혐의사실

    ▲간첩 양동화는 79년8월 조선대 기계과2년재학시 문제학생으로 제적된 후 82년 8월 미국 웨스턴 일리노이대학에 유학차 도미, 동대학 어학과정을 이수중 학업을 중단하고 84년9월

    중앙일보

    1985.09.09 00:00

  • 광주사태 사망자 추가 신고받겠다|윤국방 보고 국회 정당 민권 단체 등 어디든 무방

    국회 국방위는 7일 하오 윤성민국방장관으로부터 광주사태전모에 관한 보고를 들었다. 윤장관은 『광주사태로 인한 사망자는 1백21명이었으며 이를 신분별로 보면 민간인1백64명, 군인2

    중앙일보

    1985.06.07 00:00

  • 천주교신부 11명수사

    치안본부는 6일 부산미문화원방화사건 배후조종자 김현장(32)을 은신시켜온 혐의로 원주교구 최기식신부(42)등 5명을 연행, 서울로 이송한데 이어 광주사태주동자 정순철(27·검거)과

    중앙일보

    1982.04.06 00:00

  • 공범4명 이미검거

    가톨릭 농민회 회원인 정순철과 문국주(28·서울S대2년중퇴)·임모 (22) 군등 5명이 광주사태후 7개월만인 80년12월9일 10시쫌 광주시황금동80에 있는 미공보원에 방화, 단층

    중앙일보

    1982.03.25 00:00

  • (10)전남

    11개선거구에서 22명을 뽑는 전남지역에는 80여명의 후보예상자가 뛰고있어 평균 경쟁률이 대체로 4대1을 넘어선 전망. 이지역은 다른곳에 비해 정치쇄신법규제를 벗어난 기성 정치인이

    중앙일보

    1981.03.04 00:00

  • 정규방송을 중단 광주사태만을 보도

    【동경=22일합동】북한의 평양방송은 21일 하오부터 일체의 일반「프로」방송을 중단, 광주지역 사태만을 연속 방송하고 있다고 22일 일본의 북한문제전문통신인 신아통신이 보도했다.

    중앙일보

    1980.05.23 00:00

  • 전국학련나의 학생운동 이철승|탁치위한 미소공위에 민족진영갈등

    47년5월21일 재개된 미소공위는 또 다시 정국을 들끓게 했다. 민족의 양거두 이승만 김구는 신탁통치와 독립정부와는 서로 모순된다는 등의 이유를 내세워 공위참가를 거부했다(5월22

    중앙일보

    1975.10.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