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KAL편(31일 상·하오) ▲신현동씨(현대자동차중역) 일본에 업무 보러 ▲김화수씨(계명대교수) 일본에 유아교육「세미나」 참석하러 ◇CPA편(31일 하오) ▲정보섭씨(서울대약대교

    중앙일보

    1973.08.01 00:00

  • 전국 장학사 연수회 「유네스코」한위서

    「유네스코」한위는 19, 20일 동 위원회 회의실에서 국제 이해 교육을 위한 전국 장학사 연수회를 갖는다. 문교부 장학관, 전국 시·도 교위 장학사 등 19명이 참가하며 강우철 (

    중앙일보

    1973.07.10 00:00

  • 신희원 피아노 독주

    신희원양의 제2회「피아노」독주회가 14일 하오 8시 대구계명대 대강당에서 열린다. 연주 곡목은「하이든」의「소나타」제52번,「베트벤」의「소나타」작품 110,「라벨」「소나티네」「쇼팽」

    중앙일보

    1973.06.11 00:00

  • 『변화를 위한 대학의 역할』

    「뉴요크」에 본부를 둔 「아시아」기독교 고등교육재단은 연세대의 후원으로 23일∼29일 연세대와 충남유성 관광「호텔」에서 『변화를 위한 대학의 역할』을 주제로 국제「워크숍」을 갖고

    중앙일보

    1973.05.23 00:00

  • 서창환 11회 유화전

    서창환씨의 11회 유화전이 4∼9일 명동 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서씨는 미협 경북 지부 부회장으로 계명대 강사.

    중앙일보

    1973.05.07 00:00

  • 한국 소설발달에 큰 역할 조선왕조 말 이야기꾼

    이른바 고대소설·신소설·근대소설로 연결되는 우리 나라 소설사에 있어서 조선왕조말기에 소설의 발달에 큰 역할을 담당한 「이야기꾼」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다. 임영택 교수(계명대·국문

    중앙일보

    1973.04.18 00:00

  • 국민회의는 13일 상오 곽상훈 운영위원장 주재로 운영위원 간담회를 열고 국민회의의 기본사업계획과 당면문제에 관해 협의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대의원으로 하여금 통일의지를 조직화하

    중앙일보

    1973.04.13 00:00

  • 통일주체국민회의- 7일 시·도별 회의 개최

    통일주체 국민회의는 오는 7일 상오10시 각 시·도별로 회의를 열어 박정희 대통령이 추천하는 국회의원 후보자 73명(국회의원 정수의 3분의1)에 대한 찬반투표를 실시한다. 국민회의

    중앙일보

    1973.03.02 00:00

  • 오랜만에 반가운 인사|오늘 각 대학 일제개학

    휴교 중이던 전국84개 대학은 1일 일제히 개학했다. 이날 대학마다 교수와 학생들은 아침 일찍부터 등교, 오랜만에 만나 반가운 인사를 나눴다. 일부대학은 이날 개학과 함께 곧장 학

    중앙일보

    1972.12.01 00:00

  • 포구락 춤 기능보유자 정소산 여사-인간문화재로 지정 신청

    【대인=이용우기자】조선왕조시대의 궁중무용인 포구락을 전날에 구황실 아악부 출신이던 정소산 할머니(70·대구시 하서동13)가 보존하고 있음이 계명대 김진균 교수에 의해 밝혀졌다. 김

    중앙일보

    1972.11.13 00:00

  • 김진균 가곡발표회 19일 국립극장서

    김진균 가곡발표회가 19일 하오 7시 국립극장에서 열린다. 「빈」음대작곡과서 수학한 김 교수(대구계명대)의 이번 작곡발표회에는『문둥이』(서정주시), 『윤4월』(박목월 시), 『묘지

    중앙일보

    1972.10.13 00:00

  • (48)|유치원교사

    불평등한 사회를 평등화시킨다는 교육의 기능 면에서 불 때, 유치원교육은 가장 중요한 뜻을 갖는다. 공공교육기관인 국민학교에 입학할 때 어린이들은 벌써 심한 개인차를 갖게 되며, 이

    중앙일보

    1972.08.03 00:00

  • 전국 대학생 백 명에 유네스코 교육과정

    제15회 「유네스코」 학생 지도자 교육과정이 8월 13일∼19일 대구 계명대학에서 열린다. 전국 40개 대학에서 1백 명의 학생이 참가하는 이번 교육과정은 강연·견학 및 토론으로

    중앙일보

    1972.07.31 00:00

  • 한국기독교대학의 방향

    개화기 이후 개혁의지의 가장 두드러진 표상은 기독교 기관에 의한 근대적 대학제도의 도입이었다. 이조의 봉건사회에 이은 일제의 압제 사회속에서 기독교정신에 입각한 근대적 대학들은 합

    중앙일보

    1972.07.07 00:00

  • 토속문화로 본 한국의 서민의식|도민예술과 종교의 분석에 의한 접근

    한국의 서민은 역사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고 그 서민들은 어떤 문화를 형성해 왔는가? 서민이 형성해온 민화와 구비문학, 민간연희와 토속신앙은 그들의 예술의욕과 정신과 미중사상, 사회

    중앙일보

    1972.06.19 00:00

  • 학술발표대회

    국어국문소회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는 공동으로 24, 25일 고대강당에서 학술발표대회를 갖는다. 국어국문학회 창립20주년 기념 제15회 전국국어국문학 연구발표 대회와 고대민족문화연

    중앙일보

    1972.06.15 00:00

  • 대학에 있어서의 교양 교육

    한국의 종합대학들은 대부분 교양 학부를 별도로 두고 1∼2년간의 일반 교양 교육을 실시한다. 입학 한 학과에 관계없이 실시하는 교양 교육은 국민 윤리·국어·철학 개론·문화사·자연과

    중앙일보

    1972.04.21 00:00

  • 대학가 졸업「시즌」|오늘 연세대

    21일 연세대의 졸업식을 시작으로 올해 대학가 졸업「시즌」의 막이 올랐다. 연세대학교 71학년도 졸업식은 21일 상오11시 동 대학 노천극장에서 많은 내의인사와 학부형들이 참석한

    중앙일보

    1972.02.21 00:00

  • 미국인 「슈발즈」씨 명동 화랑서 도기전

    미국인 도예가 「디·슈발즈」씨(계명대 회화과 교환교수)의 한국 접시·꽃병·컵 대접 등을 주로 한 도기전이 4일∼10일 명동화랑(서울 충무로1가)에서 열리고 있다. 북「아이오아」주립

    중앙일보

    1972.01.08 00:00

  • 계 대 조복렬 교수도 대연 각 화재로 사망

    대연 각 호텔 화재희생자가운데 대구 계명대학교수 조복렬씨(39·음악과주임 교수)가 있었음이 27일하오 조교수의동생 조성렬씨(36·용산구 동빙고동4) 에 의해 확인됐다. 조교수는 2

    중앙일보

    1971.12.28 00:00

  • 신희원 피아노독주

    계명대학 대학원에 재학중인 「피아니스트」신희원양의 졸업독주회가 20일 하오 7시 계명대학 대강당에서 열린다. 연주곡목은「바흐」의 전주곡「푸가」11번, 「베토벤」의 정열「소나타」등

    중앙일보

    1971.12.18 00:00

  • 자유중국 월간 시지「입」에 신동집씨 작품 16편 수록

    자유중국의 월간 시지「입」 제44집에 신동집씨 (계명대 교수)의 시 16편이 번역 게재되었다. 번역은 진천무씨가 맡았다. 『귀환』등 7권의 시집을 낸 신씨는 55년 자유 문학상,

    중앙일보

    1971.11.09 00:00

  • 한국교육의 자율성

    최근 국가적 관심사로 「클로스업」되고있는 「한국교육의 자율성」문제가 28일∼30일 전남광주 조선대에서 가진 한국교육학회(회장 유형진)의 제10회 학술연구발표대회에서 집중적으로 다

    중앙일보

    1971.10.29 00:00

  • 소천 아동문학상 수상|김성도씨

    제6회 소천 아동문화상을 받게 된 김성도씨(56·대구 계성고교 교사)는 32년간 교육계에 몸 바쳤으며 아동문학으로 어린이들의 티 없이 맑은 가슴에 아름다운 얘기를 안겨주고 있다.

    중앙일보

    1971.09.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