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1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3월 31일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4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5차] 현대경제연구원 김중웅 원장 개회말씀 안녕하십니까. 회장 김중웅입니다. 2

    중앙일보

    2005.09.24 10:46

  •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⑧기술진보] 73. 성장 동력 원자력 발전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⑧기술진보] 73. 성장 동력 원자력 발전

    ▶ 장인순 (전 한국원자력연구소장) 북한이 1948년 5월 14일 남한 송전을 일방적으로 중단했다. 서울 당인리와 강원도 영월의 화력 발전소 정도가 고작이었던 대한민국은 산소 호흡

    중앙일보

    2005.09.07 10:39

  •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⑥남북관계] 53. 남북대화, 야누스의 두 얼굴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⑥남북관계] 53. 남북대화, 야누스의 두 얼굴

    총검술‘시위’항의하자 “반동적 발언 조심하쇼” 송영대 전 통일부 차관이 겪은 적십자회담 ▶ 1984년 4월 9일 제 1차 남북체육회담에서 북측이 남측의 발언내용을 트집 잡아 사과를

    중앙일보

    2005.08.24 10:26

  • [2005]

    2005. 1. 1 北, 신년공동사설 발표 - 한미연합사령관, 2008년 이후에도 주한미군의 임무·역할 불변할 것임을 강조 2005. 1. 3 유엔, 2004년 대북지원모금 계획대

    중앙일보

    2005.03.22 15:48

  • 남북정상회담과 북한의 전략

    Ⅰ. 남북정상회담의 의의와 한반도 정세 변화 1. 1차 남북정상회담의 역사적 의의 6.15 남북공동선언 이전의 남북한은 ‘적대적 의존관계’라는 틀 속에서 서로 상대방의 위협을 강조

    중앙일보

    2004.12.24 15:40

  • [중앙 시평] 6·15 선언, 그 사방미인의 은덕

    북측은 6.15 공동선언을 김정일 위원장의 대표적 업적으로 꼽는다고 한다. 김일성 시대의 7.4 공동성명과 고려연방공화국 제안을 계승하면서 김정일 시대 특유의 새로운 성과를 이룩했

    중앙일보

    2004.09.22 18:30

  • [6.15 정상회담 4주년 전문가 좌담] "철도·도로 연결…더디지만 성과"

    [6.15 정상회담 4주년 전문가 좌담] "철도·도로 연결…더디지만 성과"

    ▶ 김영희 대기자 김영희=남북정상회담에서 6.15 공동선언이 나온 지 4년이 됐습니다. 남북 간 철도.도로 연결과 인적 교류 확대 같은 긍정적 흐름이 있는가 하면 2차 북핵 위기와

    중앙일보

    2004.06.13 18:22

  • [사설] 장성급 회담, 긴장완화의 기틀 되길

    어제 금강산에서 열린 제1차 남북 장성급 회담에선 꽃게철 서해 북방한계선(NLL) 부근에서의 양측 함정 간 충돌 예방문제가 집중 거론됐으나 구체적인 합의는 보지 못했다. 남측은 서

    중앙일보

    2004.05.26 18:52

  • 2004

    2004. 1. 1 2004년 「신년 공동사설」발표 2004. 1. 6 미국 민간대표단 방북, 영변 핵시설 참관(1. 6~10) 2004. 1. 9 남포시를 특급시로 개편 2004

    중앙일보

    2004.04.26 11:31

  • [DJ KBS대담 전문]"클린턴 김정일 초청했었다"

    다음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소설가 김주영씨와 나눈 일문일답 내용. -건강이 안 좋으시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저는 뵙고 보니까 청와대에 계실 때나 지금이나 거의 같습니다. 많은 국민들

    중앙일보

    2003.06.15 20:04

  • 北 얼버무리기式 해명 南 어물쩍 받아들여

    북한의 대남 위협 발언으로 회담 첫날인 지난 20일부터 표류한 5차 남북경협추진위원회가 23일 오후 늦게서야 가까스로 합의를 도출했다. 한.미 정상회담 이후 첫 남북 당국 간 대화

    중앙일보

    2003.05.23 18:31

  • 北核은 협상 대상 아니다

    새로이 불거진 북한 핵문제로 각광을 받았던 제8차 남북 장관급 회담이 23일 새벽에 끝났다. 그러나 평양에서 전해진 뉴스는 답답하고 우울한 내용들이다. 남북은 이번에 채택한 공동

    중앙일보

    2002.10.24 00:00

  • 현대 금강산 관광·개성공단 갈수록 불투명

    현대아산이 주축이 돼 추진해온 대북사업의 양날개 '금강산 육로관광' 과 '개성공단 조성' 사업이 난마처럼 얽혀 또다시 해를 넘길 전망이다. 정부는 현대아산이 4천5백억원의 자본금

    중앙일보

    2001.10.07 00:00

  • 현대 금강산 관광·개성공단 갈수록 불투명

    현대아산이 주축이 돼 추진해온 대북사업의 양날개 '금강산 육로관광' 과 '개성공단 조성' 사업이 난마처럼 얽혀 또다시 해를 넘길 전망이다. 정부는 현대아산이 4천5백억원의 자본금

    중앙일보

    2001.10.06 18:30

  • [장관급 회담 재개] 정부, 답방 실마리 기대

    남북한이 6일 장관급 회담 재개에 합의함으로써 당국간 관계가 일단 지난 3월 이전으로 복원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지난해 7월 29일부터 시작한 장관급 회담은 12월 4차 회

    중앙일보

    2001.09.07 00:00

  • 바이든 "부시, 김대통령에 실수 인정"

    조셉 바이든 미 상원 외교위원장은 11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자신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에게 실수를 저질렀음을 알고 있다" 고 말했다. 폴 사베인스(민주.

    중앙일보

    2001.08.13 00:00

  • "부시, DJ와 회담때 실수 인정"

    조셉 바이든 미 상원 외교위원장은 11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자신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에게 실수를 저질렀음을 알고 있다" 고 말했다. 폴 사베인스(민주.

    중앙일보

    2001.08.13 00:00

  • [MH의 현대호 앞날은…] 4. 대북사업 끝내 접나

    현대는 금강산 관광.개성공단 사업을 끝내 포기할까. 현대그룹측의 공식 입장은 "자발적으로 그만두지는 않는다" 는 것이다. 그러나 "남북한 당국의 지원이 없으면 중단이 불가피하다"

    중앙일보

    2001.05.18 00:00

  • [MH의 현대호 앞날은…] 4. 대북사업 끝내 접나

    현대는 금강산 관광.개성공단 사업을 끝내 포기할까. 현대그룹측 공식 입장은 "자발적으로 그만두지는 않을 것" 이라는 반응이다. 그러나 "남북한 당국의 지원이 없으면 중단이 불가피하

    중앙일보

    2001.05.17 18:57

  • [MH의 현대호 앞날은…] 4. 대북사업 끝내 접나

    현대는 금강산 관광.개성공단 사업을 끝내 포기할까. 현대그룹측 공식 입장은 "자발적으로 그만두지는 않을 것" 이라는 반응이다. 그러나 "남북한 당국의 지원이 없으면 중단이 불가피하

    중앙일보

    2001.05.17 18:57

  • [현대 금강산사업 결국 접나]

    남북화해의 상징인 금강산 관광사업이 현대상선의 철수로 특별한 계기가 없는 한 중단될 위기를 맞았다. 현대상선의 금강산 관광사업 포기는 현대의 대북사업 포기나 마찬가지여서 개성공단

    중앙일보

    2001.05.01 00:00

  • [현대 금강산사업 결국 접나]

    남북화해의 상징인 금강산 관광사업이 현대상선의 철수로 특별한 계기가 없는 한 중단될 위기를 맞았다. 현대상선의 금강산 관광사업 포기는 현대의 대북사업 포기나 마찬가지여서 개성공단

    중앙일보

    2001.04.30 18:44

  • [현대 금강산사업 결국 접나]

    남북화해의 상징인 금강산 관광사업이 현대상선의 철수로 특별한 계기가 없는 한 중단될 위기를 맞았다. 현대상선의 금강산 관광사업 포기는 현대의 대북사업 포기나 마찬가지여서 개성공단

    중앙일보

    2001.04.30 18:44

  • [우즈벡인 경수로 투입배경]

    북한 근로자들의 장기 파업으로 지난해 4월부터 뒤뚱거려온 북한 경수로 발전소 공사가 우즈베키스탄 인력의 대체 투입으로 돌파구를 마련했다. 부시 행정부 안팎에서 경수로 제공의 문제점

    중앙일보

    2001.03.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