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 재개발 계획 10개월 만에 또 수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상업적 개발에 치우쳤다는 비난을 받아온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이 시민들을 위한 공공사업으로 거듭나게 됐다.

 18일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 계획안은 2008년 11월 처음 나왔다. 북항 앞바다 113만여㎡(약 34만 평)를 매립한 뒤 기존 북항 배후 부지 40만㎡를 포함한 153만㎡(46만 평)에 대한 항만을 재개발하는 사업이다.

 해양매립지에는 미래형 복합 도심과 정보기술(IT) 및 첨단 전시지구를 조성한다. 중앙부두 앞 바다에는 인공섬을 건설해 세계적 규모의 오페라하우스를 짓는다. 또 크루즈터미널과 세계적 마리나도 짓는다. 국제여객터미널 등 기존 부두시설들도 재배치한다. 정부와 BPA가 2015년까지 2조원의 예산을 들여 기반 조성을 마치면 민간 사업자를 유치해 2020년까지 사업을 마칠 계획이었다.

 문제는 2011년 8월 GS건설 컨소시엄(현대건설·대림산업·STX건설 등)이 북항 재개발 사업에 민간사업자로 참여하면서 시작됐다. BPA가 민간사업자의 의견을 받아들여 애초 계획안에 대한 변경안을 지난 2월 발표했다.

 BPA와 민간사업자의 변경안에서 큰 논란이 된 것은 복합도심지구(8만9280㎡)의 위치였다. 애초 계획안에는 사업지구 끄트머리에 있었으나 중심지구로 200m 쯤 당겨졌다. 복합도심지구는 사업지구 내에서 주거시설을 지을 수 있는 유일한 땅이다. 민간사업자는 이곳에 2800여 세대의 초고층 아파트를 짓는 계획이었다. 민간사업자는 아파트 단지를 옮기면서 기존 IT·영상·전시지구 면적을 애초 6만450㎡에서 3만2451㎡로 절반 가까이 줄였다. 여기다 인공섬을 둘러싼 수로를 확장해 수로 길이를 900m 더 늘이는 계획도 추가됐다. 주거시설의 상품성이 한층 더 높아지게 된 것이다. 최초 사업계획에는 없었던 관광유통지구(1만6529㎡)가 변경안에 새롭게 추가되기도 했다.

 이 변경안이 발표되자 반발이 잇따랐다. 부산환경운동연합과 녹색연합 등 환경·시민단체들로 이뤄진 ‘북항재개발 라운드 테이블’이 문제제기를 하고 나섰다. 이 단체는 공공사업을 상업적 개발로 몰아간다면서 반박 자료를 냈다.

 결국 BPA와 민간사업자는 라운드테이블의 의견을 받아들여 16일 북항재개발 사업 변경안에 대한 조정안을 다시 발표했다. 문제가 됐던 도심지구는 제자리로 옮기고, 줄어들었던 IT·영상·전시지구도 원래 자리에 들어서게 됐다. 난개발 논란을 유발한 관광유통지구 신설안은 아예 폐기됐다. 주거지 쪽으로 확장 배치됐던 수로는 주거지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면서 논란이 누그러지게 됐다.

 임기택 BPA 사장은 “다음달 시민 공청회를 거친 후 사업 계획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면서 “그 사이에 조정안에 대한 추가 의견 수렴 과정도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위성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