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금리 석달새 0.38%P 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7월 담합 의혹이 불거진 이후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지표금리인 국고채 3년물보다 하락폭이 3배를 넘었다.

 1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날 CD 금리는 연 2.87%로 공정거래위원회가 CD 금리 담합 의혹 조사에 착수한 7월 17일(3.25%)보다 0.38%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국고채 3년물 금리가 2.94%에서 2.84%로 0.1%포인트 하락한 것에 비하면 낙폭이 4배에 육박한다. CD 금리는 연초 3.56%에서 7월 17일까지 7개월간 0.31%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쳐 증권사 간 담합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처럼 최근 CD 금리가 가파르게 떨어진 데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았던 게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한국은행은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2.75%로 석 달 만에 0.25%포인트 내렸다.

우리투자증권 박종연 연구원은 “은행의 CD 금리 발행이 의무화되면서 시장 금리가 반영됐고, 공정위가 담합 의혹에 대해 조사에 들어가면서 최종 호가를 제출하는 증권사의 부담도 커지게 됐다”며 “과거보다는 시장 금리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 시작한 것 같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만기가 3개월에 불과한 CD 금리가 만기가 이보다 더 긴 국고채보다 높은 ‘금리 역전’현상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CD와 국고채 3년물의 금리 역전은 지난 4월 5일 이후 6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으며, 5년물과의 금리 역전도 5개월 넘게 지속되기도 했다. 박 연구원은 “외국인 자금이 국내로 계속 들어와 국고채를 사들이고 있어 당분간 금리 역전현상이 계속될 것 같다”며 “미국 재정 문제가 해소되고 경기회복 기대가 더 높아져야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6월 말 원화 대출 잔액 1093조원 중 CD 연동 대출은 297조1000억원(27.2%) 수준이다. CD 금리는 연동 대출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CD 금리가 떨어지면 대출이자도 하락, 대출자의 부담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