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 안 공무원 안 된다 96명 서울 보내는 논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시골 공무원도 서울에서 근무해야 업무능력을 키우고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8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논산시 서울사무소(마포구 도화동)에서 파견 근무하는 충남 논산시청 국방대이전지원사업단 조병구(56·6급)계장의 말이다. 조계장은 사업단 조재영(5급)과장과 한창권(6급)계장 등 2명과 마포구 도화동의 한 오피스텔에서 숙박했다. 이들은 서울 근무 첫날인 6일 국토해양부를 찾았다. 이곳에서 논산시 양촌면 거사리로 이전하는 국방대학교 진입로 공사(사업비 100억원) 예산 지원을 요청했다. 국방대 진입로공사는 호남고속도로 양촌IC에서 국방대 입구까지 2.6㎞구간을 왕복 2차선에서 4차선으로 넓히는 사업이다. 이들은 7일에는 용산의 국방부를 찾아 국방대 이전으로 삶의 터전을 잃게 되는 주민의 주거환경을 조성 문제를 논의했다. 국방대는 2015년까지 서울에서 논산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조계장은 “오전 9시부터 하루 종일 정부 부처 관계자를 두루 만났다”며 “자주 서울에 올라와 경험을 쌓고 싶다”고 말했다.

 논산시가 시청 5∼7급 직원을 대상으로 서울 파견근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에 이어 2년째다. 서울 파견근무에 참여하는 직원은 시 본청 29개 실·과와 15개 읍·면·동 직원 96명으로 논산시청 5∼7급 직원의 30% 정도다. 실·과별로 부서 주요 보직자를 중심으로 3∼5명씩 조를 편성한 뒤 서울로 올라 간다. 근무 시기는 3월부터 11월까지 부서별로 조정해 결정한다. 근무 기간은 2박3일씩이다. 2007년 문을 연 논산시 서울사무소 직원(3명)과는 별도로 활동한다. 논산을 포함한 자치단체 대부분은 예산담당 등 일부 직원에 한해 제한적으로 중앙부처에서 예산 확보활동을 해왔다. 황명선 시장은 “중앙정부와 유대관계가 없이는 지역 발전을 이룩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게 현실”이라며 “중앙부처 직원의 행정능력도 배우고 예산확보도 수월하게 하자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파견 근무 직원들은 주로 중앙부처를 찾아 예산(국비)확보 활동을 하거나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출향인사를 만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또 수도권 지역 우수 시책 현장을 찾아 벤치마킹한다. 서울사무소 직원과 함께 논산지역 농·특산물 판로 개척을 위한 홍보활동도 한다. 직원들은 파견근무에 앞서 활동 계획서를 제출한다. 추진 사업과 관련 부처 관계자 면담 계획, 목표 등을 정하는 것이다. 논산시 서울사무소 허원 부소장은 “직원 업무능력 향상이나 논산지역 현안 사업 해결을 위해서도 파견 근무제는 꼭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논산시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5∼7급 직원 95명을 서울에 파견해 근무시켰다. 그 결과 올해 국비 2472억 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김헌익 자치행정과장은 “서울 파견 근무제 실시로 국가 예산 확보액이 10% 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