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교역업체 80%, "사업 확대하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과 교역중인 업체의 82.5%가 대북사업을 확대할 계획인 반면 손해누적 등을 이유로 사업규모를 줄일 예정인 업체는 17.5%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업체는 위탁가공과 섬유.의류를 가장 유망한 사업형태와 분야로 꼽았고 국적선 왕래 등 육.해상 운송로 확보를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적했다.

한국무역협회는 남북정상회담이 끝난 뒤 지난 16-17일 40개 대북 교역업체를 상대로 `정상회담 이후 남북경협 전망'을 설문조사한 결과 앞으로 남북경협이 확대될 것이라고 답한 업체가 100%(대폭 62.5%, 약간 37.5%)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유망한 사업 형태로는 위탁가공(69.6%), 직접투자(19.6%), 단순반출입(6.5%) 등을 꼽았고 유망 사업 분야로는 섬유.의류(47.1%), 전기.전자(20.6%), 생활용품(13.2%), 철강.비철(5.9%), 기계.금속(5.9%), 농림수산물가공 (5.9%)을 들었다.

이에따라 지난해 대북 위탁가공 사업이 섬유.의류가 83.8%에 달한 반면 전기.전자(5.3%), 화학.플라스틱(3.9%), 생활용품(3.4%) 등은 미미했던 점을 감안하면 업체들은 대북진출에 있어 사업다각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었다.

이들의 82.5%는 대북사업을 확대하겠다고 했고 그 이유는 원가절감(43.9%), 노하우 축적에 따른 자신감(29.3%), 제3국시장 진출 위한 생산거점(19.5%) 등을 들었다.

반면 17.5%는 경협확대 전망에도 불구, 대북사업을 축소하겠다고 했으며 여건개선 난망(33.3%), 손해누적(22.2%), 과당경쟁에 따른 부작용 우려(11.1%), 사업성과의문(11.1%) 등을 주된 이유로 지적했다.

정부나 남북공동위원회가 추진할 과제로 `국적선 왕래 등 육.해상 운송로 확보'가 1순위로 꼽혔고 ▶투자보장.이중과세방지 등 제도적 뒷받침 ▶우편.전기통신 등 직접 통신수단 확보 ▶계약.대금결제 등 직교역체제 ▶경제협력창구 단일화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북경협 창구로 `반관.반민 형태 별도기구 설치' 제안이 43.6%를 차지했고 `무역협회 등 경제단체 중 하나로 단일화'(25.6%), `순수 민간 독립기구 설치'(15.4%),
`기존 조직 유지하며 비상설협의체 운영'(15.4%) 등의 의견도 나왔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