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휴대전화료를 달러로 내는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2월16일)을 맞아 휴대전화통신을 지방의 군 소재지까지 확대하고 있다고 미국 아시아방송(RFA)가 보도했다.

RFA는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군 소재지에 휴대전화 중계소(기지국)을 세우고 있으며, 이같은 휴대전화통신 확대사업을 후계자 김정은의 업적으로 선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함경북도 회령시 소식통은 "회령시 뿐만 아니라 온성, 새별, 무산군에도 휴대전화 중계소들이 설치되었다”며 “시험적인 통신을 거쳐 16일부터 정식 개통한다"고 전했다. 함경북도 온성군 소식통도 "최근 '21세기 정보화시대를 개척한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의 업적에 대하여'라는 선전자료가 내려왔다"며 "아침 독보시간에 직장별로 선전사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증언했다.

이 자료에는 '세계 정보화 발전추세에 정통한 김정은이 이미 고등중학교 시절에 '앞으로 세계는 디지털 산업화의 시대로 완전히 변모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북한이 정보화시대에 밪는 세계적 추세에 한 발 앞서 나가야 한다고 그 방향까지 제시했다'고 적혀있다. '2002년에 처음으로 정보화시대의 정의를 (김정은이)내리고 북한을 디지털 산업혁명의 세계적 본보기로 만들었다'는 내용도 있다.

이와 관련 양강도 혜산시의 한 소식통은 "전화비는 한 달에 무조건 25달러, 혹은 중국인민폐로 160원을 내야 한다”며 “중국보다 휴대전화비가 훨씬 비싸 일반 사람들은 쓸 엄두도 내지 못 한다”고 주장했다. 전화비를 달러나 중국인민폐로 받는 이유는 “휴대전화 합영 대방인 이집트 기업이 달러 결제를 요구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온라인 편집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