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적과 타협 안 한다” … 통수권자 MB, 전격 소탕 명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사상 처음으로 우리 해군력을 이용해 소말리아 해적을 상대로 군사작전을 편 데는 ‘정치적 결단’이 숨어있었다. ‘납치-협상-몸값 지불-석방’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대의는 분명했지만 작전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커질 경우 “무리한 작전으로 우리 국민을 희생시켰다”는 여론의 비판이 쏟아질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21일 이번 작전이 이명박(사진) 대통령 결단의 산물이라고 밝혔다. 김희정 대변인은 “납치사건을 보고받은 뒤 이 대통령은 ‘돈으로 딜(흥정)을 하거나 타협해선 안 된다. 해적과 타협하지 않는 선례를 만들어야 한다. 군사작전으로 들어가야 한다. 하지만 어떤 인명피해도 있어선 안 된다’는 메시지를 줄곧 군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사건 발생 뒤 매일 청와대 내 국가위기관리실을 한두 차례씩 방문해 관련 보고를 받았다. 20일과 21일은 아예 본관 집무실이 아닌 국가위기관리실로 먼저 출근했다. 이 대통령이 20일 오후 4시30분부터 시작된 관계 장관·참모회의에서 여러 가지 정황에 대한 보고를 받다가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고 판단해 오후 5시12분 해적 소탕 작전 명령을 내렸다는 게 김 대변인의 설명이다.

  ‘대국민 담화’에선 “국민 여러분, 우리 자랑스러운 청해부대가 드디어 해냈다…국민 여러분들에게 소식을 먼저 전해 드린다”며 기쁜 마음을 숨기지 않았다.

서승욱·허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