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국영 조선사 ‘비나신’ 디폴트 선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파산 위기설이 돌던 베트남의 국영 조선업체인 비나신이 사실상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했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비나신이 해외 컨소시엄으로부터 빌린 자금을 갚지 못한 채 이자만 지불하겠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비나신은 20일 대출금 6억 달러 중 1차분인 6000만 달러의 상환 기일을 맞았으나 이를 갚지 못했고, 이후 3일간의 유예기간에도 채무를 상환하는 실패했다. 대신 비나신은 채권단에 680만 달러의 이자를 송금했고, 내년 1월 둘째 주 하노이에서 채무상환 일정을 협의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나신은 금융위기 발발 이후 선박 주문 취소가 잇따르면서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려왔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비나신에 대해 올 들어 1억2800만 달러의 긴급자금을 제공했다. 8월에는 전임 회장 등 최고 경영진이 국영기업 경영 규정을 위반했다는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다. 비나신의 총 채무는 44억 달러로 베트남 국내총생산(GDP)의 4.5%를 차지한다. 문제는 재정 상태가 부실한 국영기업이 비나신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또 베트남 은행들의 여신 중 비나신 등 공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0~40%에 달해 이번 디폴트 사태가 금융권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들도 잇따라 베트남의 국가 신용등급을 떨어뜨리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3일 베트남의 외화표시 국채 등급을 ‘BB’에서 ‘BB-’로 한 단계 내리고 ‘부정적’ 등급 전망도 유지했다. 무디스도 지난주 베트남의 국가신용 등급을 ‘Ba3’에서 ‘B1’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 국채의 부도 위험을 반영하는 신용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은 3.1%포인트로,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 무디스 관계자는 “이번 비나신의 디폴트로 베트남 정부와 국영기업들이 해외에서 자금을 빌리기가 갈수록 어려워질 것”이라고 밝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