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광고 메일 규제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대학생이다.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한번쯤 광고메일 또는 전화번호가 찍혀 있는 광고성 문자 메시지를 받아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 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를 받고 불쾌한 기분이 드는 것은 나뿐만은 아닐 것이다.

얼마 전 내가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회사의 고객상담센터에 연락해 휴대전화 광고 메일·문자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문의했다. 그러자 그 직원은 www. nospam. or. kr이란 사이트 주소를 알려주면서 그곳에서 신상정보를 입력하면 그러한 메일이나 문자를 걸러낼 수 있다고 했다. "저처럼 불편하다고 전화를 하지 않으면 계속 그런 광고메일·문자를 받아야 하는 건가요? 사람들이 일일이 저처럼 전화로 신고를 하나요?"라고 물어보았다. 그 직원은 여러번 죄송하다고 사과하며 무차별한 광고메일을 미리 막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고 했다. 광고메일이 어제 오늘 시작된 것도 아니고 최근에는 음란 광고 메시지도 빈번하다. 여지껏 방치해 오다가 이제야 방지법을 개발하고 있단 말인가. 이동통신 회사가 깊이 반성하고 불필요한 광고메일을 막는 시스템의 개발을 서둘러 주기 바란다.

조한진·서울시 중랑구 묵1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