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화한 서울대 입시 '지역할당제' "계층구조 허물 용기있는 발상" "교육까지 지역 解法 도입해서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지난달 23일 서울대 정운찬 총장이 "대입 전형에서 지역별 쿼터제를 도입할 수 있다"고 운을 뗀 데 이어 13일 구체적으로 "군(郡)별로 1~2명씩을 선발하는 방안도 있다"며 지역 할당제를 공식화했다.

鄭총장의 개인적인 의지가 이제 막 공론화되는 단계여서 여론도 찬반으로 나뉘어 뜨거운 공방을 벌이고 있다. 중앙일보 인터넷 조인스닷컴(www.joins.com)에서 네티즌들의 의견을 들어봤다.

ID 'judelove'는 "서울에 집중된 교육환경을 지방으로 분산시키고 다양한 지역문화를 아우를 수 있는 획기적인 조치"라며 적극 환영했다. 'cybercat'도 "알게 모르게 서울대가 갖고 있던 기득권의 상당 부분을 자발적으로 포기하는 것"이라며 "용기있는 발상"이라고 했다.

또 'idoc'는 "'명문대'입시를 위한 교육 여건이 좋다는 이유로 그동안 치솟았던 서울 강남 일대의 집값 폭등을 막을 수도 있다"며 "학벌로 시작되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풀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다"고 의의를 부여했다.

'hvyrain'은 "지역·경제·문화적으로 다양성을 지닌 우수한 인재가 모이는 것만으로 서울대는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다"고 했다.

"아예 서울대를 지방으로 옮기자"는 의견도 나왔다. 'helmut'는 "학생들이 굳이 복잡한 서울에 있을 필요가 있느냐"며 "외국의 대학도시들처럼 지방에 명문학교를 유치하면 지역 균형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밖에 'ms0102'는 "언제부터인가 사회 저변에 깔린 보이지 않는 계층 구조를 허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고, 'radi calbbh'는 "교육 여건의 차이 때문에 발생한 서울과 지방간의 차별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는 제도"라고 했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만만찮다.'young dae95'는 "서울대가 전국구 국회의원을 뽑는 것도 아닌데 지역 할당제는 말도 안된다"며 혀를 찼다. "실력이 있다면 어디에 살든지 원하는 학교에 갈 수 있는데 학생 선발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ID 'mijk'는 "미국처럼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된 나라에서 흑인·여성 등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소외계층 우대정책(affi rmative action)'을 도입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우리처럼 단일민족 국가에서는 적절하지 않다"며 "할당제가 자칫 학력 저하로 이어질까봐 염려된다"고 했다.

"교육계마저 '지역'이라는 해법을 도입한다는 게 어이없다"는 'jeong247'은 "현행 농어촌 특별전형으로도 충분한데 할당제까지 도입된다면 입학정원이 줄어들어 대도시 학생들이 역차별 받을 게 뻔하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jasminkim'도 "서울대는 누가 뭐래도 우리나라의 최고 국립대학인데 총장 개인의 의지에 따라 정책을 쉽게 바꿔서는 안된다"며 "鄭총장이 혹시 임기 동안의 치적 쌓기에 급급해 정치적 발언을 한 게 아니냐"고 했다.

김동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