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후보.유권자정책성향해부> 충남 : 성장-복지 어디에 비중 두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관선 2년8개월, 민선 7년의 풍부한 도지사 경험을 가진 현직 지사 심대평(자민련)후보와 김영삼 정부 시절 관선 지사를 지냈던 정치인 출신 박태권(한나라당)후보는 성장·복지 예산 배분, 수질 개선을 위한 수돗물값 추가 부담 금액 등의 정책에서 뚜렷한 차이를 드러냈다.

성장과 복지의 예산 배분에서 沈후보는 경제활성화 쪽에 70%의 비중을 두었고, 朴후보는 50대50의 균형을 선택했다.

沈후보는 "지금은 지역경제를 살리는 정책을 강력히 밀고 나갈 때"라며 "경제 규모가 커지면 사회 복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도의 사회복지 예산 비율은 전체 예산 규모의 16%, 경제 관련 예산은 50%"라며 "이 정도의 복지 예산 비율은 전국 7위인 도의 경제력을 감안할 때 상당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朴후보는 "현재 도의 복지정책은 너무 낙후돼 있다"고 전제한 뒤 "독거노인을 위한 보건진료소 현대화, 저소득 장애인들에 대한 복지서비스 강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복지를 소홀히 하면 사회 갈등이 심화된다"는 입장이다.

수돗물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기 위해 추가 부담할 용의가 있는 수돗물값은 沈후보 1만2천원, 朴후보 9천3백원이었다.

沈후보는 "현재 상수도는 요금이 원가에도 못미쳐 적자로 운영되고 있다"며 "원가를 보상하고 상수도 시설을 대체·확장하기 위해 이 정도는 올려야 한다"고 했다. 朴후보는 "생활수준이 낮은 읍·면 지역 등의 수도료를 소득 보전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정책 우선순위에서 두 후보는 경제 개발을 1순위로 선택해 유권자들의 선택과 흐름을 같이했다.

다만 2순위로 환경을 꼽은 沈후보는 '개발과 보존의 조화'를 명분으로 내걸었고, 복지를 꼽은 朴후보는 "불균형 사회가 되면 국민 통합과 건강한 민주주의 발전에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