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총론:전체흐름 분석 <1> 정당 상향식 공천·시민단체도 입후보 지역 정책대결 뿌리내릴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번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앞두고 출마를 준비하는 후보들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특히 해당지역 당원들이 후보를 선출하는 상향식 공천 방식의 도입이 확산돼 기존 선거와는 대조를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이 지난 1월 29일 서울 서대문구청장 후보 경선에서 대의원 1천2백여명의 직접투표로 후보를 선출한 데 이어 지난달 26일 경기도 양평군에서도 당원 1만1천여명 중 4천3백여명이 참여해 군수 후보를 직접 뽑았다.

민주당도 지난달 20일 당원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장 후보를 결정했다. 민주당은 당초 경선을 실시하려 했으나 한명만 신청해 추대형식으로 후보를 확정했다.

여기에다 지방자치개혁연대(자치연대)와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이 이번 선거에 후보를 내세우기로 하는 등 직접 뛰어들어 지역중심의 정책선거 풍토를 앞당긴다는 방침이어서 선거 양상을 바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선거운동 방식도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기존 선거 때와 마찬가지로 대인접촉을 통한 고전적 방식에다 인터넷을 통한 선거전이 벌써부터 지역별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홈페이지를 운영 중인 일부 후보들이 이미 사전선거운동으로 지역선거관리위원회에서 주의처분을 받기도 했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후보자들의 홍보성 스팸메일 홍수가 역대 선거 가운데 최고조에 달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상대방 비난 등 흑색선전도 판 칠 전망이어서 지역선관위별로 감시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28일 국회를 통과한 개정선거법에 따라 지방의회 의원 선거기간이 14일에서 17일로 연장되는 대신 어깨띠 외에는 어떤 선거운동용 소품도 사용이 금지된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