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남유럽발 금융위기, 앉아서 당할 순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기어코 우려했던 사태가 벌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남유럽의 재정(財政)위기가 제2의 글로벌 금융위기로 번지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점차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남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 수습이 지연되면서 유럽계 금융회사들의 부실이 표면화하고, 이것이 세계적인 신용경색과 실물경제의 침체로 이어진다는 시나리오다. 그동안 재정위기 확산 여부를 가늠할 시금석(試金石)으로 여겨졌던 스페인이 저축은행들의 부실을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섰다. 부실이 더 커지기 전에 환부를 도려내기로 했다는 점에선 다행스럽지만 구조조정의 앞길이 험난하다. 구조조정이 판도라의 뚜껑을 열 듯 금융회사들의 숨겨진 부실을 드러내는 기폭제가 될 우려도 있다. 자칫하면 유럽계 금융회사들의 연쇄 부실을 부를 가능성도 있다. 남유럽의 재정위기가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확산될지 모르는 길목에 선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남유럽 재정위기의 장기화와 확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할 것을 여러 차례 촉구했었다. 이제 남유럽발 금융위기가 가시권(可視圈)에 들어선 만큼 대비책을 준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대책을 시행해야 할 때다. 이미 국내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이 남유럽 재정위기와 천안함 사태라는 이중의 악재를 맞아 크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주가가 폭락하고, 원화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특히 원화가치는 위기의 진원지인 유럽의 유로화보다 더 많이 떨어졌다. 대내외 충격에 대한 취약한 국내 외환시장의 한계를 다시금 드러낸 것이다.

정부와 외환당국은 일단 외환시장의 안정에 주력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 외화자금의 유출입 동향을 면밀하게 관찰하면서 국내 금융회사들의 외채 만기 상황과 외화 유동성 확보 여부를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이와 함께 금융위기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서둘러 마련할 필요도 있다. 동시에 남유럽발 재정위기가 글로벌 금융위기로 전이되지 않도록 G20을 통한 국제 공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위기가 덮칠 때까지 앉아서 당할 수만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