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소득에 비해 세금 더 낼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올들어 시중 은행의 금리가 사상 처음 정부의 고시금리(국세청장 고시)보다 낮아지면서 납세자 소득을 실제보다 높게 간주해 세금을 매길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국세청의 법정고시금리는 세금뿐 아니라 법원공탁금.배상금이나 공공요금 연체료 산정 때 공공기관에서 기준 금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조정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현재 국세청이 고시하는 금리는 정기예금 금리와 당좌대월 이자율 등 두가지로 1999년에 마지막으로 수정 고시한 뒤 현재까지 각각 7.5%와 11%로 고정돼 있다.

정기예금 금리는 상가 임대보증금의 이자소득에 대한 부가가치세.소득세를 산정할 때와 아파트.일반주택의 전세금.보증금에 대한 종합소득세를 따지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당좌대월 이자율(3년만기 우량 회사채 기준)은 회사들이 자회사 등 특정 관계회사와 금융거래를 했을 때 법인세 부과를 위한 이자 기준으로 쓰인다.

즉 국세청은 납세자가 보증금.전세금을 은행에 예금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상가.주택의 최소 임대소득으로 간주해 이보다 낮은 임대소득액은 인정하지 않고 법정고시금리에 따라 과표액을 정해 세금을 매긴다. 따라서 고시금리가 시중 금리와 같거나 높을 때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현재처럼 시중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6.1~6.5%까지 떨어져 금리가 역전되면 상황이 달라진다.

상가임대업을 하는 최모(52)씨는 "월세는 대부분 관리비로 쓰고 은행에 넣어둔 보증금에서 나오는 이자로 생활하는데, 이대로라면 이자수입이 줄었는데도 세금은 실제 수입보다 높여 신고해야 할 판" 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세청은 "시중 금리는 변하는데 정부 고시금리가 고정돼 있어 나타나는 새로운 현상" 이라며 "금리역전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면 일단 금리를 낮춰 고시한 뒤 재발 방지를 위해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 고 말했다.

이효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