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삼성상용차 퇴출' 반발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삼성상용차 퇴출과 관련해 대구 시민들과 시민단체.시의회.공무원 등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들은 삼성측에 상용차 퇴출에 따른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한편 범시민적인 삼성제품 불매운동을 계획하고 있다.

시민단체와 달구벌공무원직장협의회.노동단체 등 39개 단체 회원들은 10일 대구시민들을 상대로 '삼성카드 안쓰기 서명운동' 을 벌였고 다음주초 문희갑 대구시장 규탄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 반발〓39개 시민단체 회원 1백여명은 10일 오후 4시 대구시 동성로 대구백화점 앞길에서 시민들을 상대로 삼성카드 안쓰기 서명운동을 벌였다.

이들 단체는 오는 14일 대구시청 앞에서 문희갑 대구시장 규탄대회를 갖기로 했다.

이들은 이날 집회에서 "문시장이 삼성상용차 대구 유치를 빌미로 삼성에 특혜만 주었을 뿐 얻은 것은 전혀 없다" 며 시 차원의 대책마련을 촉구할 계획이다.

한편 대구시의회는 9일 대표단을 서울 삼성그룹 본사로 보내 "삼성이 정부의 퇴출결정 이전에 상용차 사업을 포기했다" 며 "이는 대구시민에 대한 배신행위" 라고 항의한 뒤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앞서 39개 시민단체 회원들은 8일 '삼성제품 불매와 삼성그룹 규탄을 위한 시민모임' 을 결성하고 삼성금융플라자와 홈플러스 앞에서 삼성그룹 규탄대회를 열었다.

공무원직장협의회도 지난 6일 발표한 성명에서 '대구시의 삼성제품 구매중단을 포함한 범시민 삼성제품 불매운동' 을 제의했었다.

◇ 삼성상용차 비상대책위〓비대위 측은 종업원 고용보장 등 생존권 확보를 위한 투쟁을 시민단체 등과 연계해 벌인다는 입장이다.

비대위 김영호(金英浩.38)위원장은 "회사가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할 경우 협상에 나서겠다" 며 "사원들의 고용.생존권 보장을 위해 그룹을 상대로 끝까지 싸울 것" 이라고 말했다.

◇ 협력업체〓삼성상용차의 1차 협력업체는 2백26개로 이중 대구지역에 위치한 기업은 32개다. 이 가운데 삼성에만 납품해 온 협력업체는 7곳이다.

이들 업체들은 "삼성만 믿고 추진해온 기술개발 등의 투자가 허사가 됐다" 며 대구시와 삼성 등에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요청키로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개인적으로 대구시민들의 반 삼성 정서를 이해는 하지만 감정적인 대응이 확산되고 있어 대처하기에 곤혹스럽다" 고 말했다.

◇ 삼성측 입장〓비대위가 협상팀을 구성하면 곧바로 협상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회사측은 ▶고용보장▶판매한 상용차의 AS조직 구성▶사직하는 사람에 대한 위로금 지급 등의 대책을 비대위측에 통보해놓고 있다.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는 상용차 직원들을 삼성 관계사 등으로 재배치하는 문제를 그룹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삼성상용차 종업원들의 재고용을 위해 관계사 사장단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논의를 끝냈다" 며 "사원들이 원하면 얼마든지 일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민단체 등의 반발과 관련, "대구 시민들에게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하며 대구지역에 어떤 형태로 다시 투자할지를 진지하게 연구하고 있다" 고 밝혔다.

정기환.홍권삼 기자

사진=조문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