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전선 삼각파도] 한국기업 대응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아르헨티나 무역관은 지난해 6월 한국산 인조섬유류에 대한 덤핑조사가 시작된 후 한국의 시장점유율이 지난해 상반기 59%에서 올 1분기 14%로 급감했다고 전했다.

또 최근 미국이 덤핑관세를 부과한 건축용 형강제품은 수출이 거의 끊겼다.

이런 반덤핑 규제 외에 환경 등과 연계한 무역장벽도 기업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국내 자동차업계는 지난 4월 일본업계와 함께 EU측과 협상을 벌여 2009년부터 수출하는 신차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합의했다.

폐차처리 지침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기아 등 자동차업체들은 수천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하고, 유럽 현지에서 폐차를 수거할 협력업체를 찾고 있다. 그러나 자금력.기술력이 달리는 중소기업들은 대부분 속수무책이다.

이번 무역업체 대상 설문조사에서 기업들은 선진국 바이어들이 환경.위생.규격 등에 대한 요구를 강화하고 있고(79.2%), 특히 EU의 폐기물 처리지침은 수출에 큰 영향을 줄 것(73.1%)이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에 대비해 환경소재를 개발하고 있다는 응답률은 56.1%에 그쳤고, 전혀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도 26.9%나 됐다.

기업들은 또 66.1%가 앞으로 수출 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고, 주 원인은 경쟁국과의 가격경쟁 심화(48.9%)와 외국의 수입규제 강화(27.7%)로 꼽았다.

제조물책임제에 대한 대응책도 배상책임보험 가입(7.5%)등 적극적인 대응보다 품질관리 강화(77.4%)나 전혀 검토해 보지 않았다(13.2%)는 소극적 답변이 많았다.

전문가들은 "무역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정부.기업이 힘을 합쳐 새 길을 모색해야 한다" 고 입을 모은다.

무역협회 박종천 국제통상부장은 "단기적으로는 부담스럽지만 후발경쟁국보다 한걸음 앞서 기술개혁에 나서면 그동안 가격.품질면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에서 샌드위치 상태에 있던 우리 제품이 개도국을 확실히 따돌릴 수 있는 기회" 라고 말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인교 박사는 "정부는 적절한 대상 국가를 선정해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 등 통상외교를 강화해야 한다" 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