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국회 '문전' 기싸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6대 국회 문을 열기 위한 여야 협상에 24일 시동이 걸렸다.

여야 총재가 대화정치를 다짐했으나 이날 총무간의 첫 대좌에선 국회개원을 앞둔 주도권 싸움이 치열했다.

하지만 여야는 1998년 1월 국회의원 수당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도입키로 했다가 IMF사태로 유보됐던 국회의원 4급보좌관 1인 증원문제를 16대 국회부터 시행키로 합의했다.

◇국회의장 = "여당몫" 이란 민주당 주장에 한나라당이 "다수당에서 해야 한다" 고 맞섰다.

민주당 박상천 (朴相千) 총무는 "13대때도 여소야대였지만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 여당에 의장을 양보했다" 며 "야당이 국회의장을 맡게 되면 사실상 국회 운영전권이 야당으로 넘어가는 것" 이라고 주장.

한나라당 이부영 (李富榮) 총무는 "여당이 버티면 국회법에 따라 투표로 의장을 뽑는 경선 (競選) 으로 갈 수밖에 없다" 고 역공을 취했다.

◇상임위원장 = 여야 모두 의석비율에 따른 배분엔 동의했다. 문제는 핵심 상임위원장 자리를 누가 차지하느냐였다.

민주당은 국정운영에 중요한 운영.법사.정무.정보.문화관광위 외에 16대 국회부터 상설될 예결특위 위원장을 가져야 한다고 버텼다. 반면 한나라당은 법사.정무.문광.예결특위만은 양보할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이밖에 의원정수 축소 (2백99명에서 2백73명) 로 상임위별 정수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도 쟁점으로 떠올랐다.

◇자민련 예우문제 = 朴총무는 "15대 국회임기 (5월29일) 까지 자민련이 총무협상에 나올 자격이 있다" 며 '3자 회동' 을 주장했다.

반면 李총무는 "16대 원 (院) 구성 협상엔 자민련이 참가할 자격이 없고 15대 국회에 관련된 사안만 논의해야 한다" 며 '제한적 참여' 를 주장. 자민련이 추진중인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 (17명)에 대해서도 李총무는 "불가" 를 분명히 했으나 朴총무는 "당에 가서 논의해 보겠다" 며 여지를 남겼다. 다른 현안 못지않게 앞으로 적지않은 논란을 불러올 공산이 크다.

한편 이날 회동엔 자민련 대표로 이긍규 (李肯珪) 총무가 나왔으나 회담후에 별도 브리핑 없이 서둘러 회의장을 빠져나가 약화된 자민련의 위상을 보여줬다.

이정민.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