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동원해 모금한적 없다-이회창총재 외신 회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는 24일 외신기자회견 기조연설의 대부분을 대여 (對與) 성토에 할애했다.

그는 "현정권의 실정을 비판할 게 많아 기조연설에 모두 담기가 어려웠다" 며 참았던 불만을 털어놓았다.

그는 최근의 정치권 사정을 "권력자의 개인적인 보복" 으로 규정한 뒤 "야당을 파괴해 국회를 독재권력에 복종하는 들러리 기관으로 만들려는 횡포에 맞서 끝까지 투쟁할 것" 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그는 "특별검사제가 도입돼 여야 대선자금, 정치인 비리및 부정부패에 대한 공정수사가 보장된다면 언제라도 수사에 적극 협조할 각오가 돼 있다" 며 무작정 투쟁일변도만은 아님을 강조했다.

- 정권이 들어서면 전정권 인사들을 구속하는 한국정치의 '패턴' 을 '전통' 으로 봐도 되나.

"정권 잡은 쪽이 얼마든지 이 순환을 끊고 민주주의를 완성할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해 안타깝다.

잘못된 관행이 반복돼선 안된다는 국민정서가 이를 막을 것이다. "

- 국세청 대선자금 모금의혹을 말해 달라.

"우리 당이 국세청을 동원.협박해 대선자금을 거둔 것처럼 알려진 것은 잘못됐다.

현정권은 우리 당과 '부도덕' 을 교묘하게 연결하려 한다.

우리 당은 일부 기업이 국세청의 권유를 받아 돈을 줬는지 알 수 없다.

국세청에 압력을 넣거나 이를 동원해 모금한 적이 없다. "

- 시민단체의 소송제기로 국회의원 전원에 대해 법원이 소환장을 발부했는데.

"국회의원의 정치적 행동이 적절했는지 여부는 사법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재판이 진행되면 절차에 따라 행동하겠다. "

- 권영해 (權寧海) 전안기부장에 대한 판결도 '정치보복' 인가.

"재판이나 징계 모두를 '보복' 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과거 반대자들에 대한 조치를 '보복' 이라 말한 것이다.

북풍 (北風) 사건에 대한 문제제기가 처음부터 옳았는지는 훗날 밝혀질 것이다. "

- 김대중 대통령이 방일 (訪日) 중 '천황' 이라는 공식 호칭을 사용한다는데.

"고유명사로서의 호칭 사용에는 큰 거부감이 없다.

하지만 일반명사로서의 '천황' 호칭은 맞지 않다. "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