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노무현 전대통령 국민장 엄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관련사진

29일 시청앞 서울 광장에서 시민들이 대형화면을 통해 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을 지켜보고 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이레만인 29일 열린 국민장(國民葬) 영결식과 노제가 무사히 치러졌다.

영결식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 경복궁 앞뜰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 김대중·김영삼 전 대통령, 한승수 국무총리 등 정·관계 주요 인사, 주한 외교사절, 권양숙 여사와 노건호ㆍ정연씨를 포함한 유족 등 2천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하게 거행됐다.

영결식은 오전 5시께 봉하마을에서 발인식을 치른 운구 행렬이 식장으로 들어서는 순간 군악대의 조악 연주로 시작, 송지헌 아나운서의 사회로 국민의례와 묵념,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의 고인 약력보고, 공동 장의위원장인 한승수 총리와 한명숙 전 총리의 조사 순으로 진행됐다.

한승수 총리는 "우리는 대통령님의 뜻을 되새기면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다짐을 새롭게 할 것"이라고 애도했으며, 한명숙 전 총리는 "대통령님은 온 국민의 가슴 속에 영원히 남아있는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기원했다.

영결식은 조사에 이어 불교와 기독교, 천주교, 원불교의 종교의식, 노 전 대통령 생전의 영상 방영, 권양숙 여사를 포함한 유족과 이명박 대통령 내외를 비롯한 고위인사 및 외교사절의 헌화, 국립합창단의 합창, 육ㆍ해ㆍ공군 조총대원들의 조총 발사 의식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이날 전국 공공기관에는 조기가 게양됐으며, 영결식 장면은 방송사 TV뿐 아니라 광화문과 서울광장, 서울역 일대 대형 전광판에서도 생중계됐다.

영결식을 마친 운구 행렬은 유족과 장의위원, 영결식 조문객들이 뒤따른 가운데 서울광장으로 이동해 오후 1시20분께부터 광장 일대 도로까지 가득 메운 시민 약 18만명(경찰 추산)의 애도 속에 약 30분간 노제를 치른 뒤 서울역까지 도보로 이동하며 시민들의 배웅을 받았다.

노 전 대통령 유해는 곧바로 수원 연화장으로 옮겨져 화장되며, 유골을 담은 함은 이날 밤 봉하마을로 옮겨져 봉화산 정토원 법당에 임시로 안치됐다가 향후 사저 옆 장지에 안장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