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연착·회항도 배상해야"…서울지법 '신체상해' 판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항공기의 연착과 회항 등으로 승객들이 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느꼈다면 항공사측이 이에 대한 정신적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지법 민사합의22부 (재판장 徐希錫부장판사) 는 5일 姜모씨 등 탑승객 75명이 인도네시아 가루다 항공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항공사측은 원고들에게 60만원씩 지급하라" 며 원고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항공운송사고의 보상기준이 되는 헤이그 의정서에서 규정하는 '신체상해' 는 신체에 가해진 직접적 피해뿐만 아니라 인격.재산.명예 등에 대한 포괄적인 피해를 의미한다" 며 "항공사는 비행기의 심한 흔들림이나 급강하.저공비행.회항.연착 등으로 인해 승객들이 느낀 불안과 공포감에 대해서도 배상할 책임이 있다" 고 밝혔다.

姜씨 등은 지난해 3월 인도네시아 덴파사르를 출발, 김포공항으로 향하는 여객기에 탑승했다 바퀴 작동대에 이상이 생겨 두차례 자카르타 공항으로 회항하는 등 예정시간보다 20시간 가량 지연 운항되자 소송을 냈었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