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째 표류하는 위천공단 조성…낙동강 오염시비 대립 팽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대구시달성군논공면위천리 일대 2백10만평. 대선때도 후보들의 공약으로 관심을 끈 이 방대한 땅이 바로 위천국가공단 건설 예정지다.

그러나 건설계획이 발표된지 만6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개발의 손길이 닿지 않고 방치된 채 올 한해도 넘기고 있다.

위천공단 조성사업은 91년 경북도와 달성상공회의소가 공장용지난이 심각한 섬유.염색.기계업체들의 입주를 위해 이 일대 1백4만평에 지방공단을 만들기로 하면서 본격화됐다.

그러나 처음부터 부산.경남지역 주민들이 "낙동강을 오염시킬 수 있는 공단 조성은 불가능하다" 며 강하게 반발, 난항이 예고됐다.

부산.경남지역과 대구.경북지역간 '남북 갈등' 은 문희갑 (文熹甲) 대구시장이 당선되면서 더욱 심화됐다.

文시장은 95년 7월 취임과 함께 "위천공단을 3백4만평으로 늘려 지방공단이 아닌 국가공단으로 조성, 대구의 섬유 중심 산업구조를 바꾸겠다" 고 밝혔다.

달성군이 같은 해 3월 경북도에서 대구시로 편입된 지 4개월여 뒤의 일이다.

대구시는 이 곳에 섬유.염색등 부가가치가 낮고 공해를 유발하는 업종 대신 자동차.공작기계.컴퓨터.반도체.항공산업을 유치, 무공해 첨단공단으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마련했다.

그러나 부산.경남지역의 시.도의원과 시민단체 대표들이 6차례 대구시를 방문, 공단조성 작업의 중지를 요구하고 연일 궐기대회를 열었다.

또 대구시.시의회.사회단체들은 이에 맞서 20여차례에 걸쳐 공단지정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대구시는 지난 2월 위천국가공단의 규모를 2백10만평으로 최종 확정, 건설교통부에 제출했다.

대구시는 또 폐수를 전혀 내보내지 않는 무방류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무공해 공단 건설 계획을 세웠다.

특히 대구시는 지난 6월 위천공단을 만드는 대신 수질개선대책으로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계획도 정치권의 이해 관계가 첨예하게 맞서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이후 대구시가 "낙동강의 수질이 2급수로 개선되고 있으니 빠른 시일안에 위천국가공단을 지정해 달라" 고 촉구하는 공문을 지난8월 하순 정부와 각 정당에 보내는 것을 끝으로 위천공단문제는 일단 물밑으로 가라 앉은 상태. 그러나 대구시는 김대중 (金大中) 씨의 당선을 위천공단 지정의 청신호로 보고 있다.

金당선자가 지난 9, 10월 대구 기자회견을 통해 "전문가들의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대구.경북과 부산.경남이 납득할 수 있도록 공단지정문제를 조기에 해결하겠다" 고 밝혔기 때문이다.

대구시 장석준 (張錫俊) 공단조성계장은 "낙동강 수질 개선과 완벽한 폐수처리방안으로 내년엔 틀림없이 공단지정이 될 것" 이라고 낙관했다.

대구시는 金당선자가 취임후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을 경우 대통령에게 공단지정을 다시 건의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낙동강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부산.경남지역 주민들이 공단조성을 결사 반대하고 있는 점 때문에 이 문제가 술술 풀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찮다.

대구 =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