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행단 '기아회의' 무산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당초 기아의 채권은행단측은 1일 열린 제2차 채권단회의에서 기아지원문제에 대해 어느정도 결론을 낼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기아의 긴급한 상황이나 여론흐름으로 봐 채권단의 요구를 기아가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혀 예상치 못한 현대.대우의 기아특수강 공동경영발표가 나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기아의 입지가 하루아침에 달라졌고, 이를 토대로 기아측이 경영권 포기각서 제출을 강하게 거부하고 나선 것이다.

결국 '항복문서' 를 받고 자금지원을 매듭지으려 했던 채권단의 이날 회의는 줄다리기를 거듭하던 끝에 무산됐다.

기아그룹의 가장 큰 골칫덩이인 기아특수강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면서 채권금융기관들의 입장이 다소 누그러진 것은 사실이다.

최악의 경우 부도유예협약 적용을 취소할수도 있다는 채권금융기관의 입장이 일단 유보됐고 아시아자동차 합병문제도 다소 너그럽게 받아들인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선홍 (金善弘) 기아회장이 경영권 포기각서 제출을 명백히 거부하고 있고 노조동의서문제에 대해서도 모호한 입장을 계속함에 따라 여전히 난항이 거듭되고 있는 것이다.

채권금융기관들은 그러나 金회장의 무조건적 경영포기각서 제출요구와 관련해선 한발짝도 양보하지 않았다.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경영권 포기각서가 제출되지 않는한 추가자금 지원은 어렵다는게 채권금융기관들의 확고한 입장" 이라고 밝혔다.

결국 金회장이 경영권 포기각서를 제출하지 않으려면 스스로 자금을 조달해 회사를 꾸려 나가라는 것이다.

어찌됐든 현상황에선 金회장의 경영권 포기각서 제출문제가 풀리지 않는한 한걸음도 나아갈수 없게 돼가고 있다.

이날 대표자 회의가 시작될 무렵엔 다소 낙관적 분위기가 감돌았다.

당초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던 金회장이 회의장에 나타나면서 모종의 해결책이 나올 것이란 기대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회의를 주재한 류시열 (柳時烈) 제일은행장은 이같은 기대를 회의시작과 함께 일축해 버렸다.

柳행장은 첫발언으로 "金회장의 입장은 이미 지난달 30일 회의에서 모두 들었다" 며 "오늘 회의는 채권금융기관의 입장을 정리하는 자리인 만큼 金회장의 발언기회는 없다" 고 못박았다.

기아로부터 더이상 들을 이야기가 없다는 것이다.

현대.대우가 기아특수강문제 해결을 거들어 주겠다는 '호재' 에도 불구하고 채권단측이 이처럼 강경자세로 돌아선 것은 주요 은행장들의 회의가 사전협의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현대.대우의 개입이 채권은행단들은 전혀 모르는 가운데 진행된 것이므로 이같은 의외의 결정 내용을 자세히 파악하기 전에는 믿을 수 없다는 불신에서 비롯된 측면도 없지 않다.

특히 부도유예협약 자체가 기아문제를 상호협의하기 위한 제도인데도 불구하고 기아가 채권은행들은 제외하고 특정기업들과 일방적인 결정을 내렸다는 것이다.

아무튼 현대.대우라는 재계의 거물들이 기아문제에 끼어든 만큼 오는 4일에 속개될 다음회의까지 어떤 물밑 교섭이 이뤄질지 주목거리다.

송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