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파산보호 신청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미국 최대의 자동차회사인 제너럴 모터스(GM)가 파산보호 신청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GM은 17일 정부에 제출해야 하는 자구계획안에 추가 공적자금 신청 외에 파산보호 신청을 하는 방안을 포함시켰다는 것이다. 보통 ‘챕터(Chapter)11’으로 불리는 파산보호 신청은 기업이 파산법원의 감독하에 회생 절차를 밟는 것으로, 국내 법정관리와 비슷한 제도다.

WSJ는 유동성 상황이 급격히 나빠졌던 지난해 11월 GM 이사회가 이미 파산보호 신청을 심각하게 검토했으며 이를 위해 12월 초 파산 전문 변호사 등을 고용해 구체안을 마련해 왔다고 전했다.

그동안 미국 내부에선 GM의 파산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꺼렸다. 미국 산업의 상징같은 존재인 데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역시 대선 기간 전미자동차노조(UAW)의 표를 의식해 ‘빅3 살리기’를 공언해 왔기 때문이다.

GM 파산 시 쏟아질 실업 문제뿐 아니라 경제 전반에 미칠 정신적 충격까지 고려해 ‘대마 불사론’도 제기됐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상황이 바뀌었다. 그동안 공적자금 134억 달러를 쏟아부었지만 별 효과가 없었고 GM이 내놓은 각종 자구책도 시장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게다가 구조조정 등을 위한 노조와 채권단 간의 협상마저 지지부진하면서 여론도 등을 돌렸다.

월가와 정치권에선 차라리 GM이 파산보호 신청을 하는 게 정상화를 위한 가장 확실한 방안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WSJ는 파산보호 신청 가능성을 일축했던 릭 왜고너 GM 회장도 이젠 생각을 바꾸고 있다고 보도했다.

GM이 당장 1분기를 무사히 넘기기 위해 필요한 공적자금은 50억 달러 이상인 것으로 추산된다. 로이터는 이날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GM이 노조와 채권단 간의 합의를 이끌지 못한다면 당장 오바마 정부는 추가 지원과 파산보호 신청을 놓고 어려운 정치적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필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